마중할 아(迓)자는 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성부(聲符)로 어금니 아(牙)자를 했습니다. 어금니 아(牙)자는 어금니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아속(迓續) 아상복(迓祥服) 아가진(迓駕鎭) 후오덕이아지(厚吾德以迓之) 오후오덕이아지(吾厚吾德以迓之)
예쁠 아(娥)자는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에, 성부(聲符)로 나 아(我)자를 했습니다. 나 아(我)자는 손 수(手)자에 창 과(戈)자를 한 글자입니다. 무기를 들고 나를 비키는 글자지요. 나의 본질은 내 생명을 보전하는데 있습니다. 아리영정(娥利英井) 아자(娥子) 아림(娥林) 아미(蛾眉) 아미월(娥眉月) 아양동(娥洋洞) 상천아(商天娥)
높을 아(峨,峩)자는 의부(義符)로 산 산(山)자 변에, 성부(聲符)로 나 아(我)자를 했습니다. 나 아(我)자는 나를 스스로 외적(外敵)으로부터 보호하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산 산(山)자와 나 아(我)자를 상하(上下)로 배열하든, 좌우(左右)로 배열하든 모두 같은 글자입니다. 아관(峨冠) 아관박대(峨冠博帶) 아참(峨參) 아참속(峨參屬) 아산(峨山) 아산이족자치현(峨山彛族自治縣)
지칭개 아(莪)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나 아(我)자를 했습니다. 나 아(我)자가 손 수(手)자에 창 과(戈)자를 해서 창을 들고 있는 모습인 것처럼 나 여(予)자나, 나 여(余)자도 창을 그린 글자입니다. 나를 나타내는 글자들이 모두 무기를 그려서 외적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방어적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적으로부터 나 자신을 지키는 것이겠지요. 생명 유지를 무기를 그려서 표시한 것입니다. 아출(莪朮) 봉아술(蓬莪荗) 아호(莪蒿) 설양아(雪養莪) 청아(菁莪) 승아(僧莪) 육아(蓼莪)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