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12. 8. 그림자 호위무사 출신 네이버 오두막지기 B-3 그룹.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는 전체 국민경제의 일 부분으로 국민경제의 안정적 성장, 국민 경제 선순환 구조 구축에 이바지 하면서, 지역 경제 발전과 지역민의 일자리와 소득 증가, 그리고 각종 주택 재정비 사업을 통해 지역의 도시 및 주거환경 개선에 비례해야 함을 다시 한번 더 재강조한다.
또한 전국 부동산 시장은 당연히 더불어 고르게 잘 사는 사회를 위한 국토 균형발전과 각종 양극화 완화 해소에도 기여해야함을 재강조한다.
상기한 이 모든 이상, 당위의 실현은 혹독하고 냉험한 현실에서 쉽지않은 과제 이지만,
역대 최악의 경제 무능 문재인 정권들어 이 모든 이상, 당위는 더욱 급속도로 악화 되었다.
경제 영역 중에서 부동산 시장, 역대 최저 성장, 재정 건전성 세개 만으로도 문재인 일당은 차기 정권에서 혹독한 법적, 정치적, 역사적 책임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
한계, 평균 소비성향이 높은 경제적 하위층들의 소득과 자산이 많이 늘어나야 더불어 고르게 잘사는 사회에 부합하고 소비, 투자등 내수에 기여하여 국민 경제의 선순환 구조 구축에 이바지 하게 되는데 문재인 정권들어 지역 자산 양극화와 국민 경제 선순환 구축은 더욱 급속도로 나빠졌다.
문재인 정권들어 낙후된 지방, 지역의 경제, 일자리, 근로소득과 자영업자들의 장사 소득은 많이 늘지 않았거나 감소했지?
문재인 정권 들어 집 한 채당 집값이 수억에서 수십억 오른 강남 등 서울 백, 흑돼지들이야 수천만원, 1~2억은 껌값에 불과 하겠지만, 낙후된 지역민들 대다수에게 있어서 문 정권 들어 오히려 내린 집값 그 수천만원, 1~2억은 평생의 전재산에 가깝다.
지금부터 다음 정권까지 계속될 낙후된 지방 부동산 시장 대세 상승은 문가 패거리가 망쳐 놓았던 낙후된 지방 경제, 일자리 회복, 그리고 도시 및 주거환경의 발전이다.
그 부수, 반사적 효과로 낙후된 지방, 지역의 집값은 머잖아 전고점을 회복하고 추가로 수천만 원에서 수억원 상승해야 하고 또 상승하게 될 것이다.
지방, 도시 내의 낙후지역, 헌 아파들도 마찬가지다.
이하, 서울, 부산 등 외부 투자자들의 낙후된 지방 투지 편의를 위해,
한 때 잘 나갔거나 잘 나가고 있는 대구, 대전, 광주는 제외하고,
또, 천안 불당 지웰 더샵, 호반 베르디움, 써밋, 전주 혁신 에스 클레스, 청주시 가경 아이파크, 포항 대잠 자이 등등과 수원, 화성 동탄 등등 지방의 동향은 다음에 제시 하기로 하고 오늘은 울산, 창원, 김애 부동산 시장 동향 몇이다.
2023년을 전후하여 낙후된 지방, 지역의 집값도 전용면적 25평의 가격을 기준으로, 각 지방 주택 총수의 0.1%는 12~15억 대, 1~2%는 9~10억 대, 10~20%는 5~7억대로 상승해야 하겠지?
그리되면 쉽지 않겠지만 대다수 수천만 원에서 수억 대에 그치고 있는 낙후된 전국 지방 집값이 보다 수월하게 전고점을 뚫고 수천만원에서 1~2억대 추가 상승이 보다 수월해 지겠지?
대단지 다대포 바다, 비치, 낙동강 영구 조망권이 탁월함에도 부산 부동산 2차 상승기에도 철저히 소외된 데다가 부산 침체기에 수천만원에서 1억 집값이 하락하여 현재 33평 가격이 1억 대 후반에서 2억 대 초반에 그치고 있는,
다대 캐슬 몰운대, 하단 가락타운 등 부산 원도심, 서, 북부산, 외곽지역의 집값도 쉽지 않겠지만, 보다 빠르게, 보다 많이 전고점을 회복하고 더욱 상승하길 바래본다.
전용 면적 25평의 집값이 마찬가지로 1~2억 대인 부산 외곽지역 양산 신도시, 정관 신도시 등도 마찬가지다.
2023년 경 대연비치, 삼익타워의 집값이 15억을 넘기고 이에 비해 집값이 많이 저렴하다고 여겨진 인근 화명 캐슬 카이저, 대림타운, 대림 쌍용 강변 타운, 서대신동 푸으지오, 캐슬, 더 샵, 일광 자이, 푸르지오, 비스타, 더 휴 등의 전용면적 25평의 집값이 6~8억 대로 올라 주면 부산에서도 낙후된 지역의 처참한 1~2억 대 집값은 지금보다 1~2억 더 상승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 애들이 2019년 10월 29일에 모니터링한 울산 부동산 시장 동향 일부.
1.
10월에 울산 동구에서 KCC 스위첸 웰츠타워가 분양중입니다.
미분양이었던 문수로 두산위브제니스가 최근 P 5000~6000에 날아가는 것을 보고...
동구의 KCC도 P가 붙을까 궁금해졌습니다. 위치는 현대중공업 정문 길건너편 ( 초직주근접 ) // 대학병원/호텔/백화점 슬리퍼 생활권으로 동구에서 유명한 전하3총사보다 좋아보입니다.
전하3총사가 대단지 프리미엄을 가진 시장생활권이라면 KCC는 백화점 생활권일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KCC가 입주할 시점이면 전하3총사도 10년이 넘는 구축이 되면서 신축 프리미엄도 누릴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도 핫한 울산에서 계약금만으로 투자 할 수 있다는 점도 좋아 보입니다.
2.
울산 중구 우정혁신 kcc스위첸입니다.
문수로1차 전세끼고 갭1.7
옥동 롯데인벤스로얄 전세끼고 갭 1.1
신정 푸르지오 등등...)
남구에서 핫하다는 08과 수암힐 바로 옆에 있는 한라훼미리입니다.
대현 더 샵의 상승세가 가파르고
101형 기준으로 얼마전까지 보이던 초 저가 급매들은 다 빠진 상태이고
저가 거래 되었던 물건 보다 2~3천 정도 높은 매물들이 몇개.
3.
[울산]
안정적이나 산업영향큼
그동안 외곽의 공급이 많았다
[창원]
창원이 울산보다 좋은점은 창원은 중심부쪽 입주물량 많아서, 많이 떨어졌다 심리가 무너졌다
왜냐하면 매수후 많이 오를수 있다
[김해]
창원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가격이}
[수원]
매전갭이 적음
많이 오르면 투과 묶일수 있음
팔달구는 너무 올라서 조정대상자역으로 묶여져 있음
울산 전세가율 전국 최하위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이달 14일 기준
전세가율은 62.58%로, 정점을 찍었던 2016년
74.09%에 비해 11.5% 포인트 하락했습니다.
특히 울산의 전세가율은 57.4%로
전국 광역시 가운데 가장 낮음.
4.
타지 투자자 진입으로 인한 매수세로 올 추석 이후 울산 남구부터 신축물건들이 동나기 시작하더니만,
부자동네 옥동 대장 문수로아이파크2차1단지 네이버기준 매물0, 전세18, 월세2, (33평 기준 실거래 6.35억)
문수로아이파크2차2단지 네이버기준 매물0, 전세25, 월세7 (33평기준 실거래 6.5억)
남구 신축 물건들이 동나고, 중구 신축도 매가 기본2~3천 오르고, 집주인들 매물 거둬들이는 상황에, 동구는 어떨까 싶어 가봤습니다.
아직 동구까지는 타지 투자자가 많이 진입은 안한터라 전하3대장은 33평 기준 3.7~3.9억 선.
매매물건도 좀 있는 편이구요. 이번달 분양한 KCC스웨첸 웰츠타워 1단지(아파트), 2단지(주상복합) 청약경쟁율이 2:1 이하...
여기까지는 남구, 중구 만큼 탄 분위기는 아닌듯 하군요.
분양가도 84기준 3.8~4.2억선 딱 미분양각이라 전하3총사가 더 나아보입니다.
그 옆에 선분양 했던 2020.2월 입주예정인 전하KCC스웨첸 분위기를 한번 예상해봅시다.
세대수가 210세대 , 30평 단일 평수 분양가 3.3~3.7억 선, 마피 -500~ 플피 1000까지 있군요.
5.
최근 2019년 12월 모니터링된 울산 부동산 시장.
남구 신축 문수로 대연더샵, 두산 힐스 약사더샵 All 4억대 >> 5억대
남구 옥동, 남구 신축 신정동 무거동
08 P 1.5 1.7
05 P 1.0 -대형없음 - 일반분양 로또~~~
04 P 대형 다들 원함
감평 2.5억 넘어야 44평 받을수 있을꺼라고 함.
B14 - 입지가 안좋다
투자자는 좋으나, 실거주는 비추
C03 - 심리적으로 투자가 갑자기 와서 6~7천오름
C02- 삼호주공
울산은 중심부 신축이 없으므로, 울산의 중심부 재개발 좋아보인다.
창원 인근의 김해 율하도 자이 -5000 업고 요즘 플피~~~~
2019년 10월 29일에 모니터링한 창원 부동산 시장 동향 일부.
1.
1. 용지 아이팍.더 샵은 7억 이상 거래가 몇 건 되었 물건이 없고.더 샵도 마찬가지지만 노블.트리.무학.일동.현대..등도 3~4천 올랐네요.
2. 가음동의 푸르지오 등 새 아파트들 역시 호가가 5억 2천 이상합니다.
대방.성주동도 작년 저점대비 3천 이상 올랐고..
3. 유니도 최근 피가 2~3천 이상
4. 대방.성주동도 작년 저점대비 3천 이상 올랐고..
대방동 디지털아파트, 반지동 트리비앙, 가음정동 꿈에그린, 푸르지오, 한림 등도 나쁘지 않네요.
2.
최근 용지아이파크가 급등했다는 소식에 성산구 지역만 둘러보고 왔는데요.
상남동 성원, 대동의 경우 3주 전부터 투자자 대거 유입으로 괜찮은 매물들이 모두 빠져나갔으며 남은 매물은 매전갭 6,000 정도였습니다.
다음으로 반림동 노블트리를 보고 왔습니다.
용지 급등으로 다음 순서는 노블트리라고 말씀을 많이 하시더군요.
역시 최근 괜찮은 매물들은 모두 소진되었으며(네이버에서 확인되는 급매 가격은 현재 모두 거래 완료되었더군요), 현재 매전갭은 10,000 정도입니다.
트리비앙 RR 인테리어+확장 완료된 43,000 매물.
4.
최근, 2019년 12월 모니터링된 창원 부동산 시장.
창원은 성산구는 모두 학교 등 인프라 좋음.
성산동 라인
대방동 라인
성주동 라인 : 학원이랑 학교등이 좋음
창원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같은 생활권에 대체물(새아파트 재건축이 많았다)
창원 역사이래 최초 하락(많은 공급 중심지 때문에)
가음정 5억초가 대부분 P주고 초반에 산 가격들임
구축은 재건축 이주시에 수요 많을것 같다.
대방동 1억 떨어졌는데 전세가도 바닥이다
왜냐면 신축 주위 전세가가 낮아졌으니,
내년 신축전세 없어지면, 전세가가 오를것 같고, 전세가가 오르면 매매가도 오를것 같다.
2019년 10월 29일에 모니터링한 김해 부동산 시장 동향 일부.
1.
김해 율하 1지구는 대장으로 모아미래도1,2차와 이편한2차 그리고 넓은 동간거리와 대형평수위주인 중앙하이츠등
중앙하이츠 분양초기 평당600만원대 미분양.
2자구원메이저(힐스테이트,자이,푸르지오)
자이힐(자이,힐스테이트) 1군외에
계룡건설(리슈빌)
시트건설(프라디움)등 이 있습니다
율하2지구 아파트도 물량 소진중이며 마이너스피 거의 없어졌다고 하네요. .
실거주 들어간 지인분 자이힐 RR 확장비 포함 거의 4억 가까이 들어갓다 합니다.
부원동과 봉황동 2014년식 부원역 부르지오 봉황동 이편한정도가 김해 최전방에 위치하네요^^
남향이라면 84기준으로 부원역 푸르지오는 4.2억이라 김해 대장이라 할수 있습니다.
2.
구산동과 삼계동이네요 이 지역은 10~15년차 구축도 많은데 경전철 왼쪽라인만 2013년 12월 입주로 실제 임장해보시면 지하 엘베 연결 아파트 IOT 시스템등 최근 신축과 비슷해 김해 구시가지 (율하 장유을 제외한)내에선 신축 아파트로 분류됩니다
구산동 이진 캐스빌1차가 연지공원의 덕인지 나름 선방을 하고 있고
그뒤로 일동 미라주 삼계 아이파크가 보이네요
삼계 아이파크는 2017년 3.2억 까지 2년만에 2.6억도 보이니 급격한 하락아닐까 생각됩니다
19년도에도 11채의 거래량이 있는거보니 인기가 없은 아파트는 아니나 하락이 좀 크네요
6년전 분양가 까지 덜어졌으니 뭐 바닥이 아닐까합니다
주촌의 두산 센텀큐 입주가 끝
주촌에 입주가 끝난 두산 3000세대와 큐시티1500세대 협성 1000세대 정도 입주가 마무리되고 전세 매물이 총 4개 나와있었습니다. 두산 34평짜리 2개 최소2억 / 협성 1층 4층 2개 정도 / 월세는 저렴하지 않지만 몇개 있는것 같고 매매물건은 모두 등기친 후라 분양가 이하는 없다고 하네요...
내외동 구축들은 전세 매물이 조금 있네요. 그래도 망할것 같은 동네도 바닥은 있나 봅니다~ㅎ
2015년에 개설된 네이버 블로그 대표글.
2014, 2015, 2016 남북 통일, 외교, 안보 등 국제, 정치, 사회, 경제. 조회수 865 2019. 9. 17.
2015, 2017 국민 경제 안전과 재도약, 지역 발전과 지역 부동산, 바른 용어 사용 등. 조회수 1124 2019. 9. 12.
2019년 8월 26일에 보관한 글입니다. 잠시 흔적 남기기. 조회수 465 2019. 8. 26.
2017, 2018 국토 균형발전, 지역민들의 자산 증가를 위한 낙후된 지방 부동산 시장 대세 상승. 조회수 619 2019. 8. 2.
2015, 2016, 2017, 부동산 등 경제. 조회수 1,023 2019. 7. 31.
2017, 사드, 그 보복, 한국 핵, 미사일 능력, 군사, 외교, 안보. 조회수 737 2019. 7. 25.
2012, 2017, 2018, 다양성 존중, 여성 인권, 실질적 남녀평등 등 사회. 조회수 693 2019. 7. 24.
2019년 06.16, 06.27 보관한 글입니다. ********* & *********** 조회수 2,243 2019. 7. 1.
2019년 6월 26일에 저장한 글입니다. 조회수 741 2019. 6. 26.
과제 12&13. 조회수 629 2019. 6. 25.
2018년 8월 24일 오후 6시 46분에 저장한 글입니다. 2015, 삶, 인생, 일상, 문화, 경제 등 가볍고 소소한 이야기. 무명인.
조회수 1,234 2018. 8. 24.
2018년 8월 13일 오전 9시 7분에 저장한 글입니다. 2011, 부동산 등 경제, 사회, 정치. 달빛산행.
조회수 1,129 2018. 8. 13.
2018년 8월 12일 오전 3시 36분에 저장한 글입니다. 2011, 사회, 부동산 등 경제, 기타 정책 제안. 방관자, 개승.
조회수 586 2018. 8. 12.
2017년 3월 10일 오전 11시 3분에 저장한 글입니다. 2013, 2014, 2015. 가치있는 삶, 일상, 정치, 사회 등 별헤는밤, 일상의 행복.
조회수 1,221 2017. 3. 10.
정치등 아고라. 2017년 1월 11일 오전 9시 5분에 저장한 글입니다. 2008, 2013. 일상, 경제, 법, 정치, 문화 등 별헤는밤, 일상의행복. 조회수 1,340 2017. 1. 11.
2016년 8월 22일 0시 18분에 저장한 글. 2010, 2013, 정치, 경제, 재정, 사회, 남북 통일 등. 일상의 행복,별헤는밤.
조회수 1,288 2016. 8. 22.
2016년 7월 20일 오후 9시 38분에 저장. 2014, 2015. 가치있는 삶, 정치, 사회, 국민의 경제의지 등 경제, 일상 등 달빛..베다.
조회수 1,254 2016. 7. 20.
2016년 6월 26일 오전 1시 44분에 저장한 글입니다. 사회, 정치 등. 달빛..베다, 늘술췐별빛.
조회수 919 2016. 6. 26.
2016년 6월 21일 오전 10시 4분에 저장한 글입니다. 일상, 삶, 정치, 사회, 경제 등. 별헤는밤.
조회수 898 2016. 6. 21.
네이버 카페와 마찬가지로 개설한 지 1여년 남짓된 비닐 비박.
2020년 7월 26일자 다음 카페 조회수 등 흔적.
2019. 5. 17.
해야해야 19.10.16 7973
@@
해야해야 19.10.16 7425
2013년 마스터 일상의 행복. 2014년 달빛..베다
해야해야 19.10.10 6590
2016, 2018, 정치, 군사, 안보, 경제, 사회, 인생 등.
해야해야 19.10.16 6157
2015/06/11.05:53. 따사로운 햇살 햇니미.
해야해야 19.10.10 5858
과제 15의 2.
해야해야 20.03.12 6226
2017, 2018. 가치있는 삶, 정치, 사법 등 개혁, 나라 대청소. 외교, 안보, 신공항 등 국책사업 등. 태양은 가득히.
해야해야 19.10.14 5652
2016, 2017, 2018 정치, 사회, 경제.
해야해야 19.10.16 5463
과제 16의 3.
해야해야 20.03.15 5447
0000000000
해야해야 19.10.20 5101
2017, 지역 균형발전, 부동산 등 사회, 경제. 햇빛한줌 1.
해야해야 19.11.07 4883
과제 16의 8.
해야해야 20.03.15 5008
통일, 외교, 안보, 정치, 경제 영역 등 3.
해야해야 20.04.06 5205
과제 16의 10.
해야해야 20.03.15 4785
%%%%%
해야해야 19.10.17 4640
00000
해야해야 19.10.20 4574
과제 17의 2.
해야해야 20.03.15 4878
중복으로 삭제예정 4.
해야해야 19.11.07 4146
2015, 부동산, 주식 시장 등 경제, 기타 가치있는 삶, 사회 등 무명인 2.
해야해야 19.11.07 4261
2017. 태양은 가득히 5.
해야해야 19.10.29 4183
2011. 방관자 1.
해야해야 19.10.29 4496
남북 통일, 군사, 외교, 안보 등 국제관계, 기타 정치, 사회, 경제 영역 3.
해야해야 20.04.06 4367
2012, 2014. 낙후된 지방 경제, 부동산 시장. 정치, 일상 등. 일상의 행복.
해야해야 19.10.14
2020.07.26. 05:20 답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