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바꽃 : 꽃의모양이 투구를 닮았으며 씨방은 4~6개로,투구꽃류와 구분되고,잎은 4~5개의 큰잎이 부채살 처럼 펴져서 갈래쳐진 톱니가 일정하고, 여러갈래쳐저있어. 큰 갈래침이 몆개되지않는 세잎돌쩌귀와 구분이 된다
흰투구꽃 : 흰 투구꽃은 선자령에서 송신소를 거쳐, 내려오며 발견한 꽃으로 순백색의 투구꽃으로,백부자의꽃과 잎과는 다른 투구꽃의 잎과 꽃의 모양으로, 흰투구꽃으로 게재하였다
2. 세잎돌쩌귀 꽃류 설명
투구꽃류.세잎돌쩌귀꽃류.진범류.노젖가락나물
♣ 특징비교
세잎돌쩌귀.한라돌쩌귀.백부자(흰노랑꽃세잎돌쩌귀) 비교
세잎돌쩌귀 : 세잎돌쩌귀는 줄기를 따라서 잎이 달리는 모양이, 큰잎이 세잎씩 달리고, 돌쩌귀는 경첩을 달때 여닫는데 편하도록 끼워넣은 쇠를 말하는 것으로 이 돌쩌귀를 닮은 꽃에서 유래한것으로, 꽃이 새의부리처럼 앞이 나왔고, 잎은 부채살처럼 펴진 잎이, 크게 3갈래로 갈라지고, 개구리발톱 모양으로다시 3~4가닥으로 넓게 갈라진다
한라돌쩌귀 : 한라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한라돌쩌귀라고 하고, 줄기가 가늘게 올라오고,잎이 육지의 돌쩌귀보다 작지만, 세잎돌쩌귀의 전형적인 모습을 하고있으며,꽃도 세잎돌쩌귀보다 작다
백부자 : 백부자는 세잎돌쩌귀의 꽃이 흰노랑의 꽃을 피우고, 뿌리도 흰색의 뿌리색을 띄기 때문에 백부자라고 하는데 세잎돌쩌귀의 특징에 흰색의 꽃과 뿌리를 가지고있어 흰세잎돌저귀라고 말하며, 바곷류의 뿌리부분의 이름인 "부자"와는 구분되는 의미이다
3. 진범류 설명
투구꽃류.세잎돌쩌귀꽃류.진범류.노젖가락나물.용머리.기타종
♣ 특징비교
진범과 흰진범 비교
진범 : 진범의 중국의 투구꽃종류의 하나인, 진교의 한문표기를 잘못 해석하여 진범이 되었다고 전하지만 정확하지 않고, 진범은 길게 자라는 줄기에 잎이 단풍잎의 모양을 하고있으며, 꽃은 마치 물위에서 오리가 헤엄치는 모습을 하고 있고ㅡ 꽃의 색상은 밤색을 나타낸다
흰진범 :
흰진범을 꽃의 색상이 흰색을나타내는데, 흰노랑의 색상이 대부분이고,진범의 중국의 투구꽃종류의 하나인 진교의 한문표기를 잘못해석하여 진범이 되었다고 전하지만 정확하지 않고, 진범은 길게자라는 줄기에, 잎이 단풍잎의 모양을 하고있으며, 꽃은 마치 물위에서 오리가 헤엄치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꽃의 색상은 흰색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