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능가사 칠성탱은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를 위시한 칠성여래(七星如來)와 일광·월광보살 및 칠원성군(七元星君)과 8권속을 비단 바탕 위에 먹과 채색안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불화이다. 전체적인 구도는 화면을 크게 양분하여 상단 중앙에는 청연화좌(靑蓮花座)에 결가부좌한 치성광여래를 일광· 월광 두 협시보살과 함께 삼각형의 구도로 배치하고 있다. 협시보살 측면에는 좌우 각각 4구씩 8권속을 묘사하고 있으며, 주존 광배 후면 양 측면에는 6여래를 각각 3위씩 나누어 배치하고 있다. 하단에는 거의 화면 절반 크기로 칠원성군을 큼직하게 배치한 후 뒷면을 구름으로 처리하여 상·하단 경계를 구분 지었다. 주존인 치성광여래의 머리부분은 정상계주를 지닌 융기하는 모양의 육계와 나발을 먹으로 채색한 후 윤곽선을 감색선으로 처리하고 있다. 얼굴에는 바림질이 없는 면색 위에 세필을 사용하여 담묵 선묘의 눈, 코, 귀와 감색의 눈썹과 콧수염, 턱수염 및 호분으로 표현된 백호, 그리고 주색의 조그만 입 등이 짜임새가 있게 잘 묘사되어 있다.
당당한 체구를 지닌 주존은 목에 삼도가 있으며 쳐진 가슴선 및 유두 표현도 묵선으로 그어져 있다. 주존은 주색의 대의와 녹색의 군의 및 주색의 군의 띠 묶음을 착용하고 있는데, 대의에 원권문 속 연화보상화문을, 군의와 청색으로 채색된 대의 속단에는 십자를 겹친 문양을 금으로 듬성듬성 그려 넣고 있다. 또한 주존의 원형 두광에는 양록색 바탕에 가장자리를 백색선으로 처리한 후 분홍색, 주색, 청색, 삼청색 순으로 채색하고 있으며, 신광에는 황색 바탕에 금채를 한 후 먹으로 광선문을 조밀하게 그어 놓았고 백색선으로 구획된 가장자리에는 분홍색, 주색, 청색, 양록색 순으로 채색하고 있다.
일광·월광 좌우 협시보살상은 주존 쪽으로의 1/4의 측면관을 지닌 채 주존에 비해 거의 절반가량 축소된 형태로 묘사되어 있다. 주존과 같은 온화한 상호를 지닌 두 협시보살은 보관의 해와 달, 법의의 주색과 청색만 달리하고 있을 뿐 거의 도상이 같다. 이러한 점은 주존의 신광 좌우측 후면에 묘사된 6여래상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있다. 협시보살상과 유사한 상호를 지닌 여래상들은 동일한 측면관과 합장인을 결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다만 좌우 첫 번째 여래상들만 두광 표현이 없는데, 이는 제작 당시 착오로 빠뜨렸던 것으로 보인다.
화면 하단에는 반신상 형태의 상단 도상들과는 달리 전신상의 칠원성군을 전면 가득 크게 배치하고 있다. 홀(笏)을 지니고 시립하고 있는 칠원성군 중 가운데 성군만 정면관에 면복(冕服)을 입고 면류관(冕旒冠)을 쓴 모습이며, 나머지 성군들은 측면관에 원유관(遠遊冠)을 쓰고 있다. 칠원성군은 세필로 수염 등이 세밀하게 묘사된 거의 동일한 인상을 지니고 있으며, 다른 도상들과는 달리 얼굴에 약간의 바림질이 있다. 칠성원군 후면 좌우 측면에 각각 4구씩 상반신을 드러낸 채 가장 작게 묘사된 8권속 또한 칠원성군과 같은 인상을 지니고 있지만 머리에 상투만 튼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칠성탱은 제작 당시의 화기가 없어 정확한 조성연대를 파악할 수 없지만, 가늘고 고른 세련된 필선에 의한 도상인물들의 한결같이 온화한 얼굴 표현과 비례감 있는 신체 표현, 주색, 녹색, 청색 및 양록색 안료의 적절한 설채(設彩) 등에서 조선후기 불화의 표현기법을 잘 보여주고 있다.
○ 창나루주차장 (경남 창녕군 남지읍 용산리160-2)(수변공원)
- “산과 들의 억새 향연“표석-나루터 목선(구조물)-억새조망
○ 억새전망대(2중1개 보수중)-개비리길진입-무더위쉼터(정자)-
- ‘낙동강전투 최후의 방어선’설명문-파고라(멧돌과 디딤방아)-
○ “홍의장군 붉은 돌 신발”-사각정자-용산양수장-(라마11240)-
○ 옹달샘쉼터(옹달샘/“玉貫子바위”/“관직 登官시킨 층층나무”)
○ 마삭줄 군락지-이정목(창나루2.21,영아지1.53)/라마1257)-
- 금천교(파고라/목교)-돌탑-“여양진씨 감나무 시집보내기”
○ 대형대나무군락-동천교(파고라/유래문)-죽통풍경군-
- 匯洛齋遺墟地(회락재유허지)-죽림쉼터(육각정자)-하트포토죤-
○ 마삭줄군락-야생화쉼터(야생화군/사각전망데크)-전망대(망원경)
○ 영아지마을(사각정자/옆,영아지주차장)-(일행은 원점향 턴빽)
- 삼거리(마분산갈림)-삼거리(영아지주차장 갈림/라마1363))-
○ 영아지전망대(팔각루/‘낙동강전투 최후의 방어선’설명문/조망)
- 낙랑장송 솔숲길-영아지쉼터(육각정자/임도삼거리)-임도입구
○ 삼거리(우슬봉&마분산갈림)右산길로-영아지고개(左도초산갈림)
- 시그날걸이줄(시그날들)-삼거리右행-‘마분산갈림(상)’이정목
○ 전설의 마분송(馬墳松말무덤소나무)-벤치2쉼터-도초산갈림삼-
- “목동의 이름 새긴 돌”-시그날걸이줄-
○ ▲마분산(“마분산180m”표기바위)(준희‘화왕지맥179.9m)(묘1)
- 이정목(벤치)-삼형제소나무-육남매나무-창나루전망대(팔각루)
○ 전망터(망원경/화왕지맥종점,낙동강&남강합수부 두물머리 조망)
- 비리길 산길들날머리(목계단/먼지털이기/안내도)-
○ 6.25전쟁 기음강전투 전적지(설명문)-남지수변공원 종합안내도-
- 억새전망대 조망-주차장(트레킹&산행종료)-능가사로 차량이동
...........................................................................................
○ (卍)능가사(표석/원주석2/석등/석조약사여래불입상/포대화상상)
(범종각/감로당/대웅전/관음전/碧潭禪室)
○ 남지철교(6.25격전지/지방문화재)(남강 암벽위 능가사 절경 조망)
- (절앞)‘아라가야냉면’식당에서 비빔냉면 간식 후 귀가착(18:30)
▣ 후기
○ 가족트레킹을 위한 장소를 물색하던 중 월간산지 5월호에서
소개된 창녕남지 낙동강개비리길과 화왕지맥구간의 마분산을
포함한 산행길을 선택한다.
(개비리길의 비리는 벼랑의 경상도 방언으로 개만이 다닐수 있는
마분산아래 암벽 좁은 벼랑길이란 뜻)
- 낙동강개비리길은 초행이나 출발점인 억새와 유채밭은 과거
(18.1.28) 화개지맥 종주시 능가사와 남지철교를 추가진행.
- 마분산도 역시 화왕지맥 종주시(18.3.10) 기행한 바 있음.
○ 지역지자체에서 비리길 조성을 위해서 많은 공을 들인 것이
여실히 보인다. 짧은 거리임에도 스토리텔링 요소를 가미한
볼거리를 곳곳에 만들어 놓았다.
- 화왕지맥 마분산 산행길도 비리길 구간의 일환으로 포함시
키면서 역시 다양한 이야기꺼리들을 만들어 놓았다.
- 따라서 일일이 읽고보고찍느라 거리 비해 시간이 많이 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