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견&문의 이용 안내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전체메뉴
천은사 (泉隱寺)
글자 크기
의견 제시
URL 복사페이스북 공유트위터 공유
구례 천은사 전경
구례 천은사 전경
불교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지리산(智異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인도 승려 덕운이 창건한 사찰.
이칭
이칭
감로사(甘露寺)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3600350000
지정기관
전라남도
명칭
천은사
원어
泉隱寺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종목
문화유산자료
더보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접기/펼치기
목차
정의
내용
참고문헌
접기/펼치기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지리산(智異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인도 승려 덕운이 창건한 사찰.
접기/펼치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의 말사이다. 화엄사 · 쌍계사와 함께 지리산 3대 사찰의 하나로서, 828년(흥덕왕 3) 인도 승려 덕운(德雲)이 창건하였으며, 앞뜰에 있는 샘물을 마시면 정신이 맑아진다고 하여 감로사(甘露寺)라 하였다.
그 뒤 875년(헌강왕 1)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건하였고, 고려 충렬왕 때에는 남방제일선찰(南方第一禪刹)로 승격되었다가 임진왜란의 전화로 완전히 불타버렸으나, 1610년(광해군 2)에 혜정(惠淨)이 중창하였고, 1679년(숙종 5)에 단유(袒裕)가 중건하여 천은사라 하였다.
중건 당시 감로사의 샘가에는 큰 구렁이가 자주 나타났으므로 한 승려가 이를 잡아 죽였더니 그 뒤로부터는 샘이 솟아나지 않았고, 샘이 숨었다 해서 천은사로 개명하였다 한다. 절 이름을 바꾼 뒤 이상하게도 이 사찰에는 원인 모를 화재가 자주 일어나서 절에 큰 걱정거리가 되었지만, 재화가 끊이지 않자 주민들은 절의 수기(水氣)를 지켜 주는 뱀을 죽였기 때문이라며 두려워하였다.
그 때 조선 4대 명필의 한 사람인 이광사(李匡師)가 수체(水體)로 물 흐르듯 ‘智異山泉隱寺’라는 글씨를 써서 수기를 불어 넣은 현판을 일주문에 걸게 한 뒤로는 다시 화재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지금도 새벽녘의 고요한 시간에 일주문에 귀를 기울이면 현판 글씨에서 신운(神韻)의 물소리가 연연히 들린다고 전하여 내려온다.
1774년(영조 50)에 혜암(惠庵)이 그 전년에 화재로 소실되었던 전각을 남원부사 이경륜(李敬倫) 등의 도움을 얻어 중창하였고, 1996년에는 천왕문 · 종각을 지어 오늘에 이른다.
현존하는 당우들은 대부분이 1774년에 중건한 것으로, 2019년 보물로 지정된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팔상전(八相殿) · 응진당(應眞堂) · 칠성각 · 삼성전(三聖殿) · 첨성각(瞻星閣) · 감로전 · 불심원 · 회승당(會僧堂) · 보제루(普濟樓) · 방장선원(方丈禪院) · 종무소 · 일주문 · 수홍문(垂虹門)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수홍문은 무지개가 드리워 내린 듯 계곡과 함께 아름다운 운치를 띤다.
극락보전 그외 문화유산으로는 극락전아미타후불탱화(보물, 1987년 지정), 괘불탱(보물, 2002년 지정), 금동불감(보물, 2008년 지정), 삼장보살도(보물, 2016년 지정), 목조관세음보살좌상 및 대세지보살좌상(보물, 2016년 지정) 등이 있다.
접기/펼치기
참고문헌
『전통사찰총서』11(사찰문화연구원, 1996)
『한국의 명산대찰』(국제불교도협의회, 1982)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6)
접기/펼치기
관련 항목
대한불교조계종 불교 단체 우리나라 불교 18개 종단 중 최대 종파.
구례 화엄사 불교 유적 국가지정문화재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지리산(智異山) 남쪽 기슭에 있는 삼국시대 승려 연기가 창건한 것으로 전하는 사찰.
쌍계사 불교 유적 국가지정문화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지리산(智異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삼법이 창건한 사찰.
도선 불교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도선비기』, 『송악명당기』, 『도선답산가』 등을 저술한 승려.
임진왜란 조선시대사 사건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서 우리나라에 침입한 일본과의 싸움.
이광사 회화 인물 조선후기 「고승간화도」, 「산수도」 등을 그린 서화가.
일주문 불교 유적 사찰에 들어서는 산문(山門) 중 첫 번째 문을 지칭하는 용어.
더보기
접기/펼치기
관련 미디어
(10)
구례 천은사 전경
구례 천은사 전경
구례 천은사
구례 천은사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 일원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 일원
구례 천은사 중 일주문 정측면
구례 천은사 중 일주문 정측면
구례 천은사 중 일주문 현판
구례 천은사 중 일주문 현판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 정면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 정면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 정면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 정면
구례 천은사 중 팔상전 정면
구례 천은사 중 팔상전 정면
구례 천은사 중 설선당 정측면
구례 천은사 중 설선당 정측면
구례 천은사 중 회승당 정측면
구례 천은사 중 회승당 정측면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접기/펼치기
집필자
김위석
불교 유적 문화재
가산사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채운산(彩雲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불교 유적 문화재
가섭사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가섭산(迦葉山)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나옹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문화재
가토사
북한 황해북도 수안군에 있었던 고려시대에 창건된 사찰.
불교 인물 문화재
각민
조선 후기에, 청허계 정관문파로 『해의』 등을 저술한 승려.
불교 인물 문화재
각성
조선시대 때, 판선교도총섭, 팔도도총섭, 규정도총섭 등을 역임한 승려.
불교 인물 문화재
각우
고려 후기에, 『자경문』을 저술한 승려.
불교 유적 문화재
각화사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각화산(覺華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원효가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문화재
간월사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간월산(肝月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문화재
감로사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신어산(神魚山)에 있었던 고려후기 승려 해안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문화재
감로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조계산(曹溪山)에 있는 고려후기 선승 충지가 창건한 암자. 송광사.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13455]
문의전화 : 031-709-8111
Copyrigh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