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갑술보(甲戌譜)
단종(端宗) 2년(서기 1451년) 마천공휘일동(麻川公諱逸童)께서 도보(圖譜)를 발간,
그 원본(原本)이 전해지지 않고 다만 서문만이 전해오고 있다.
2.병신보(丙申譜) 7권4책,목판(木板)
숙종(肅宗) 42년(서기 1716년)에 봉사공(奉事公) 휘서하(諱敍夏)와
정아공(靜窩公) 휘우영(諱禹寧)께서 합의, 영남감영(嶺南監營)에서 발간 , 판각(版刻)은
경남함양군 함양읍 백천리 척지문중 장판각에 보관
3.을미보(乙未譜)49권 14책 교서관 목활자(교서관 목활자)
영조(暎祖) 51년(서기 1775년) 남양군파(南陽君派) 정언공(正言公) 휘주익(諱柱翼)과
담와공(澹窩公) 휘계희(諱啓禧) 두분께서 64조의 범례(凡例)를 제정하고 도횡보종
(圖橫譜縱)으로 만들고 고증록(考證錄)을 창설하는 등 이른바 남양대보(南陽大譜)이며
만세(萬歲)에 표준정보이다.
4.갑오보(甲午譜) 81권20책 , 고목활자본(枯木活字本)
순조(順祖) 34년(서기 1834년)에 발간, 이 때에 비로소 오행상생(五行相生)법에
따라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순으로 항렬자(行列字)를 29世~39世까지 제정하였음.
(서울대 규장각 소장번호 제4179호)
5.병자보(병자보)43권17책 , 목활자본(목활자본)
고종(高宗)10년(서기 1873년)에 편집하다가 끝맺지 못하고 3년후인 1876년 병자(丙子)에
남양군파(南陽君派) 대보(大譜)만을 수록하는데 그쳤다.
6.경신보(경신보) 100권59책 신연활자판(신연활자판)
1920년 경신(庚申)해에 발간, 종래 서자(庶子) 서녀(庶女)를 족보상에 명기하던 관습을
폐지하여 “서(庶)”사를 일체 쓰지 않았다.(정신문화연구원 도서관 제2-1729호 소장)
7.무술보(무술보) 53권15책 연활자판(연활자판) 1958년 무술(戊戌)년에 발간,
이 때에
예사공파(禮史公派)가 합보(合譜)하여 명실 공히 대보(大譜)로서 진면목을 더 하였다.
다만
고증록(考證錄)이 첨부 안 된 것이 유감이다.
8.남양대보(남양대보) 8책(一部: 4편 5책,二部: 12편3책)양장본
1974년 갑인(甲寅)년에 시작
1977년 정사(丁巳)년에 발간,일명,정사보(丁巳譜)라 한다.
일부(一部)편 : 5권(남양군,문정공,판밀직공, 판중추공 4파 수록)
이부(二部)편 : 3권(대언공,익산군,당성군, 경력공,사간공,중낭장,예사공,재신공 등 12파 수록)
부림홍씨(缶林洪氏)가 합보하여<재신공파(宰臣公派>로 명명(命名)하였다.
특징은 횡서를 원칙으로 현대인 이름에 국문을 기록, 생졸을 서기로 표시하였다.
누락된 종인(宗人)을 위하여
그뒤 증보편(增補編)으로
1회 1981년 , 2회 1985년 , 3회 1988년 , 4회 1992년 , 5회 1996년에 각각,중간되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