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1분기 매출 71조원
글로벌 수요 늘고 가격도 올라
영업이익 10배 늘어 6조6000억
작년 전체 영업이익보다 많아
반도체, 5분기 만에 흑자 전환
삼성전자가 올 1분기 시장의 예상치를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의 실적을 거뒀다.
삼성전자는 5일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매출 71조원, 영업이익 6조600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밝혔다.
저년 동기 대비 먀출은 11.37%, 영업이익은 931% 늘었다.
삼성전자의 분기 매출이 70조원대를 회복한 것은 2022년 4뷴가 아후 처음이다.
특히 1분기 영업이익은 작년 전체 영업이익(6조5700억원)보다 많다.
KB증권은 이날 '반도체 부문 실적 개선으로 어닝 서프라이즈를 실현했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사업 부문별 세부 실적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증권 관계자는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이 1조8000억~1조9000억원 가량 영업이익을 내며 5분기 만에 흑자로 돌아선 것으로 보고 있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데이터센터 등에 들어가는 매모리 반도체 수요가 금증했기 떄문이다.
거기에 지난해 반도체 업계의 참산으로 번도체 가격이 크게 뛴 것도 영향을 미쳤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 부문은 지난해 1분기 4조5800억원 적자를 시작으로 작년 1년 동안 총 14조8800억원의 영업적자를
냈었다.
최근 글로벌 반도체 수요가 늘고 가격까지 상승하면서 삼성전자의 실적이 앞으로 더 좋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경기는 코로나가 시작된 2020년 초 상승세로 돌아섰다가 2022년 상반기 정점을 찍은 후 내리막을 탔다.
박재근 한양대 교수는 '글로벌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바닥을 찍고 상승 국면에 집어들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1분기 반도체 이외에 모바일 사업에서도 약 4조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추산된다.
다만 변수는 있다.
AI 반도체에 주로 들어가는 고용량고대역폭메모리(HBM)에서 삼성전자는 열세에 있다.
올해 상반기 중 경쟁사보다 더 높이 쌓아 용량과 성능이 앞선 12단 HBM3E를 업계 최초로 양산할 계획이지만,
최대 고객인 엔비디아의 검증을 아직 통과하지는 못했다.
반도채 업계 관계자는 '만약 HBM3E를 엔비디아에 납품하는 데 성공한다면
삼성전자가 반도체 슈퍼 사이클에 올라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AI 훈풍에 '반도체의 삼성' 깨어났다...'앞으로 실적 더 좋아질 것'
AI 서버, 메모리 반도체 수요 급증
심성 주력인 D램-낸드 가격 뛰어
빅테크 등 큰손 고객들 본격 구매
텍사스 공장 투자액 2배로 늘려
스마트폰 갤럭시S24도 호실적 견인
모바일 부문서 영업이익 4조 추산
AI 탑재한 TV.가전도 실적 개선
삼성전자가 5일 잠정 발표한 매출(71조원)과 영업이익(6조6000억원)은 시장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실적이었다.
증권가는 삼성전자의 1분기 매출액을 72조6200억원, 영업이익은 5조2600억원 수준정도로 예상했다.
매출은 이보다 소폭 적지만, 영업이익은시장 예상치보다 1조원 이상 많다.
메모리 등 반도체 업황 개선이 시장의 예상보다 강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지난해부터 인공지능(AI)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매모리 반도체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AI 열풍으로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연산하기 위한 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AI 서버'에는 일반 서버의 8배에 달하는 D램과 최대 3배 수준의 낸드플래시가 들어간다.
빅데크를 비롯한 큰손 고객들이 메모리 반도체 구매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것이다.
AI 덕분에 빠른 회복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경계현 사장은 지난 20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반도체는 1월부터 흑자 기조로 돌아섰고
액수를 정확하게 말씀드릴 순 없지만 궤도에 올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실적 개선을 예고했었다.
1년 전 만 해도 상황은 달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분기에 640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2009년 1분기(5900억원) 이후
14년 만에 1조원대 이하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메모리 반도체는 공급과 수요의 흐름에 따라 사이클을 반복하는데, 지난 해 초대형 불황기(다운사이클)를 맞으면서
2.3위 업체인 SK하이닉스, 마이크로에 이어 1위 업체인 삼성전자까지 감산에 들어갔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감산 효과가 나타나면서 삼성전자의 주력인 매모리 반도체 가격이 오른 것이 이번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댜만 시장조사 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1분기 D램 평균 판매 단가(ASP)는 전 분기 대비 최대 20% 상승했다.
낸드도 23~28% 올랐다.
게다가 지난 3일 발생한 대만 강진으로 현지의 D램 생산 기지가 피해를 입었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미국 마이크론 등은 가격 상승에 대비해 고객사와 진행하던 2분기 가격 협상을 잠정
중단했다.
가격뿐 아니라 AI 시장이 전 세계적으로 커지면서, 앞으로 메모리 바녿체 수요도 덩달아 늘어날 예정이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에 ㄸ르면 1~2월 글로벌 반도체 시장 매출은 각각 476억달러, 462억달러로, 이는 전년 동기보다 15.2%, 16.3% 증가한 수치다.
수요 증가에 대비해 삼성전자는 미국에 지어질 반도체 공장에 대한 투자를 늘릴 예정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에서 기존 발표 금액에서 배 이상 늘어난 약 440억달러를 '투자할 것'이라며 '이 경우 삼성전자는 반도체지원법(칩스법)에 따라 미국 정부로부터 수식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을 받을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S24가 끌고 반도체가 밀었다
삼성전자의 첫 AI 스마트폰 갤럭시 S24를 비롯한 스마트폰 사업도 반도체와 함께 실적을 견인했다.
증권가에선 삼성전자의 모바일 부문이 4조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삼성전자의 사업 부문 중 가장 큰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한다.
TV와 가전 사업도 직전 분기 대비 실적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작년 4분기 가전 부문에서 500억원의 적자를 냈지만
증권가에선 올 1분기 4000억원 가량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본다.
지난 2월 말 내놓은 삼성전자의 일체형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 같은 고부가가치 가전 판매가 수익성을 개선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변희원.이해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