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년 기출입니다.
1번 지문 : 모든 파레토 효율적인 배분상태는 모든 파레토 비효율적인 배분상태에 대해 모든 사람에게 선호된다.
2번 지문 : 파레토 개선시 어느 누구도 손해보지 않는다.
답에는 1번 지문이 틀렸고 2번 지문이 맞다고 나옵니다...
보통 파레토 개선이라하면, 파레토 비효율적인 배분상태 --> 파레토 효율적인 배분상태로 옮겨가는 것 아닌가요???
그런데 2번 지문에서 보면 파레토 비효율적인 배분상태 --> 파레토 효율적인 배분상태로 옮겨갈 때 누구도 손해보지 않는다 라고 했습니다.
1번 지문에서 유추해보면 파레토 개선시 효용이 감소되는 사람이 있다는 거잖아요..(모두에게는 선호되지 않으니까요..)
그렇다면 2번 지문도 틀린게 아닐지요??? 누군가는 손해를 보게 되는 거잖아요...
첫댓글 파레토 개선은 어느누구의 효용도 감소하지않고 최소 한사람의 효용이 증가하는것을 말하고 파레토 최적은 어느 한사람의 효용이라도 감소하지 않고서는 효용이 증가할수 없는 상태를 말하는것으로 알고있는데요
1번지문은 그래프 그려보시면 알거고... 2번지문은 파레토개선의 정의가 그러네요..!
1번이 말하는건 파레토개선이 아님 처음생각부터 잘못됨
1번이 말하는 게 파레토개선이 아니고 뭔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