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풋살의 시작
풋살은 1930년 우루과이의 후앙 까를로스 쎄리아니가 창안했고 그 해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YMCA 청소년대회에서 처음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이래 유럽에서는 스페인, 남미에서는 브라질, 아시아에서는 태국을 중심으로 현재 전세계 약 3,000만 이상의 인구가 즐기고 있는 명실상부한 독립스포츠로 각광을 받고 있다.
포르투갈어로 축구를 의미하는 Futebol과 큰 홀을 의미하는 Salao의 합성어인 Futebol de Salao. 실내축구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풋살(Futsal)은 5인제 실내축구로서 사용구는 11인제 축구의 5호 공보다 약간 작은 4호 공을 사용하는데 공의 탄력에 있어서는 5호 공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빠른 경기진행과 높은 득점률, 그리고 정교한 개인기술을 요하는 풋살은 이미 오래 전부터 남미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해 지금은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본래 풋살은 발바닥만을 사용하여 경기를 진행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일찍부터 브라질은 풋살의 보급 및 다방면으로의 활용을 꾀하기 위해 풋살을 더욱 세분화하여 운영해옴으로써 브라질에서는 현재 여러 형태의 미니축구가 성행하고 있다.
그 중 실내에서 하는 경기를 브라질에서는 풋살이라고 칭하고 있으며 실내외 모두 가능한 경기 스타일은 쏘사이어티(Society), 유럽식의 실내축구 스타일은 프리(Free)라고 구분 지어 즐기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실내외 모두 가능한 쏘사이어티의 경기 스타일을 받아들여 즐기고 있으나 이를 잘못 받아들여 풋살경기로 운영하고 있는 곳도 적지 않다. 그리고 규칙 또한 국제표준의 풋살과 다소 차이가 있어 국제규정에 맞추는 작업이 필요한 실정이다.
풋살은 원래 11인제 축구선수를 양성하기 위해 개발된 스포츠였다. 하지만 지금의 풋살은 그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스포츠로 정착되었고 전세계적으로 스포츠클럽에서 운영하는 풋살팀, 프로풋살, 일반인을 중심으로 하는 풋살동호회, 지역별 풋살모임 등을 중심으로 저변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풋살강국, 브라질
 |
 |
|
▲ 풋살은 축구의 기본기를 다지는 데도 효과적이다. |
|
ⓒ2002 신재명 |
브라질에서 풋살이 처음으로 시작된 시기는 사실 브라질현지에서도 확실히 알고 있지 못하다. 다만 보편적으로 1940년경 상파울로에 위치해 있는 기독연합회의 젊은이들이 시작한 것이 브라질 풋살의 시초라고 알고 있을 뿐이다.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축구장 이외에는 풋살을 즐길만한 마땅한 공간이 없어 규모가 작은 농구장이나 하키장에서 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서 경기가 이루어지다 보니 축구공과 같이 탄력이 뛰어난 공으로는 도저히 경기하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초창기에는 매트리스 속의 짚이나 나무톱밥을 이용해 공을 만들어 사용하였고 시간이 지나면서 풋살경기에도 적합하고 사람들에게도 편한 공을 찾기 시작, 지금의 무게도 무겁고 크기 또한 축구공보다 작은 공을 사용하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 이용인구가 늘어나면서 풋살은 상파울로 주를 주축으로 브라질 전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는데 그와 함께 1954년 7월 28일 아메리카 푸치볼 클럽(America Futebol Clube)에서 결성된 메트로폴리타나 풋살협회(Federacao Metropolitana de Futebol de Salao)가 탄생하기에 이른다. 그 후 1955년 브라질에서 첫 공식 풋살대회가 개최하게 되며 이 대회에서 브라스 지 피나(Braz de Pina)팀이 참가한 히우 데 자네이루 챔피언전이 전국대회로 첫 개최하게 되면서 브라질 전역에 풋살 열풍이 일기 시작, 최고의 전성기를 누리게 된다.
그러나 풋살이 각 주를 중심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다 보니 풋살에 대한 규정 및 규칙의 통일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가 되기 시작했고 그에 따라 그 당시 브라질스포츠연맹(Confederacao Brasileira de Desportos)이 나서 각 주로 나뉘어 진행되어 오던 풋살 규칙을 하나로 통일하게 되었고 급기야 자신들의 산하기관으로 수용, 브라질 풋살대회에 대한 모든 사항을 총괄하게 되었다. 현재 매년 브라질에서 열리고 있는 각종 크고 작은 풋살대회들은 모두가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만들어진 대회들이다.
미래의 축구, 풋살
브라질축구에서 히오 데 자네이로와 쌍파울로 주의 두 라이벌전은 치열하기로 정평이 나있다. 그러나 11인제 축구뿐만이 아니라 풋살에서도 그 세력다툼이 치열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만큼 풋살을 즐기는 인구 또한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브라질에서 풋살은 이처럼 사람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각종 후원사들로부터 나오는 후원금으로 매년 LIGA FUTSAL 이라는 리그가 개최되고 있다.
브라질에서는 축구와 같은 방식으로 매년 LIGA FUTSAL 이라는 풋살리그를 운영해오고 있다. 브라질의 프로풋살대회에 참가하는 풋살선수들 중에는 11인제 축구스타들과 비슷한 수준의 연봉을 받는 일류급 선수들도 많다. 지난 10년 동안 정부와 민간차원에서 풋살에 대한 투자를 계속해 왔고 개인기량 등 잠재력이 풍부한 선수들을 다수 확보해 체계적으로 육성해왔다. 그만큼 브라질의 풋살에 대한 지원은 11인제 축구 못지 않다.
전 FIFA 회장 후앙 아벨란제가 미래의 축구라고 했던 풋살. 그렇지만 오히려 풋살은 과거의 축구와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축구와는 달리 과격한 태클이나 몸싸움과 같은 불필요한 반칙은 기본적으로 금지가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심판(주심 1명, 부심 1명)에 의해 그러한 반칙들은 미연에 방지가 되고 있기 때문. 물론 11인제 축구처럼 심판이 경기장내에서 선수들과 함께 호흡하며 경기가 진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축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기장 면적(축구장의 4/1)이 작은 풋살 경기장에서는 오히려 세심한 부분까지도 식별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풋살 경기에서 반칙하기란 그리 쉽지가 않은 것.
이처럼 풋살만큼이나 정직한 경기는 아마도 없을 것이다. 축구에서는 선수들이 계속해서 상대방과 심판을 속여가며 경기를 풀어가야 하지만 풋살에서는 그런 일들이 필요가 없기 때문에 훨씬 더 신사적으로 경기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풋살은 브라질사람들에게 인기가 상당하다. 비록 아직까지는 축구에 비해 인기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긴 하나 경기장에서의 응원분위기만큼은 축구 못지 않다고 할 수 있는데 무엇보다도 풋살의 인기비결은 바로 온 가족이 함께 관람하는 응원문화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풋살은 경기장의 규모가 작아 경기진행이 빠르게 이루어지다 보니 보는 이들로 하여금 스릴을 만끽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며 전체적인 분위기가 활기로 넘쳐난다. 그 이유에서 풋살이 인기를 잃지 않고 있는 지도 모른다.
|
//
document.writeln("<\/iframe>");
function popupMyAvatar() {
mname = "JAE";
rurl = "http://cafe412.daum.net/reload.html";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MyAvatar?TYPE=POPUP&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친구 앨범
function popupAlbum() {
mname = "JAE";
rurl = "http://cafe412.daum.net/reload.html";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ViewFriendAlbum?TYPE=POPUP&EUSERID=ud6cTqbXQxc0&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찜목록
function popupZim() {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ViewFriendWishList?TYPE=POPUP&EUSERID=ud6cTqbXQxc0&MNAME=JAE&URL=http://cafe412.daum.net/reload.htm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