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 모촌 이공 묘갈명 병서(府使茅村李公墓碣銘 並序) - 재령이씨
정종로(鄭宗魯) 찬(撰)
군자의 학문은 오직 부모와 임금과 스승을 한결같이 섬기는 의리에 본분을 극진히 함이니, 이것이 큰 절개가 됨이 분명하다.
모촌(茅村) 이공(李公) 같은 사람은 그 남긴 일이 비록 간략하다마는, 이 때문에 하찮게 여겨서야 되겠는가.
공은 휘가 정(瀞)이고 자가 여함(汝涵)이며 그 선조(先祖)는 월성인(月城人)으로, 신라 때 좌명 공신(佐命功臣) 이알평(李謁平)이 시조이다. 고려 때 이우칭(李禹偁)은 재령군(載寧君)에 봉해졌는데, 자손이 이로 인해 본관으로 삼았다.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증직된 이오(李午)에 이르러 비로소 함안(咸安)의 모곡리(茅谷里)에 거주하였으니 이분이 공의 5세조가 된다.
증조는 휘가 중현(仲賢)이니 병조 참지(兵曹參知)를 지냈다. 조부는 휘가 무(珷)이니 수군우후(水軍虞候)를 지냈다.
고(考)는 휘가 경성(景成)이니 감찰(監察)을 지냈으며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증직되었다.
공은 가정(嘉靖) 신축년(1541, 중중36)에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명민(明敏)하고 재주와 국량을 지녔다.
일찍이 남명(南冥) 조 문정공(曺文貞公 조식(曺植))의 문하에 종유하여 학문하는 큰 방도를 듣고서 받들어 행하였다.
만력(萬曆) 임진년(1592, 선조25)에 왜적이 크게 쳐들어왔는데, 영남이 제일 먼저 적병에게 점령되자 사민(士民)들이 모두 새나 짐승처럼 숨었다. 하지만 공은 창의(倡義)하여 군대를 모집하고 무기를 마련해서 왜적을 잡아 베어 죽이는 등 여러 번 기특한 공을 세웠다.
이 일이 조정에 알려져서 특별히 사포 별좌(司圃別坐), 사근 승(沙斤丞)에 제수되었고, 단성 현감(丹城縣監)으로 옮겼다.
또 공로가 있다는 것으로 청주 목사(淸州牧使)에 승진되었고, 상주 목사(尙州牧使)로 천직(遷職)하였으며, 선산부(善山府), 창원부(昌原府)를 맡아 다스렸는데, 이르는 곳마다 너그럽고 은혜로우며 공평 정대한 것으로 명성이 있었다.
공은 만년에 진주(晉州)의 원당리(元塘里)에 우거(寓居)하였는데 고향 동산에서 매화를 옮겨 와 심어 놓고 매양 한가로이 읊조리고 감상하면서 유유자적하였으니, 이로 인하여 모촌(茅村)이라고 호를 삼았다. 계축년(1613, 광해군5)에 집에서 세상을 떠났으니 73세를 살았다.
함안(咸安) 대리(大里) 덕산(德山) 신좌(辛坐) 언덕에 장사 지냈다. 아들은 이장(而樟)이고, 손자는 욱(燠)이다.
욱의 사자(嗣子)는 지한(之翰)이다. 공은 초년에 반고(班固)와 사마천(司馬遷)의 역사서를 즐겨 읽었다.
이윽고 또 정자(程子)와 주자(朱子)의 학문을 존숭하였는데, 일찍이 시를 지어 “성(性)을 논하면서 진실로 마땅히 이(理)를 이야기해야 하니, 공허한 담론으로 이(理)를 구하는 것은 참으로 성(誠)이 아니라네.”라고 하였으니, 그 학문과 식견의 정밀함을 알 수 있다.
대개 공은 덕성(德性)이 순일하고 순수하며 기상(氣象)이 온화하고 굳세었다. 효성과 우애는 친족들에게 칭송을 받았고, 공정(公正)함으로 고을에 드러났다. 왜적을 토벌하고 백성을 잘 보살폈으니, 이미 도(道)를 배우고 사람을 사랑하여 의병을 거느리고 적과 싸워 사직(社稷)을 지키는 의리를 극진히 하였다.
일찍이 지리산(智異山)에 있을 적에 꿈에 백발을 한 노인이 와서 말하기를, “찬바람이 뼈에 사무쳐 참을 수가 없다.”라고 하였다.
공이 깜짝 놀라 깨어나서 선대의 묘에 변고가 있는 줄을 알아차리고 가서 보니, 증조 참지공(參知公)의 널이 적에 의해 파헤쳐져 드러날 지경이었다.
즉시 개장(改葬)하였다. 사람들이 “그 혼령의 감응이 정성스런 효에 말미암았다.”라고들 한다. 덕산서원(德山書院)을 창건하여 남명(南冥) 선생을 제향하였고, 전쟁을 겪고 나서 다시 중건하여 새롭게 하였다. 그 부모와 임금과 스승을 한결같이 섬김이 이와 같은 점이 있었다.
공은 일찍이 병란이 일어난 이후로 전쟁과 굶주림으로 인해 널려 있는 죽은 시신들을 마땅히 땅에 묻어야 한다는 일로써 관찰사(觀察使) 학봉(鶴峯) 김 문충공(金文忠公 김성일(金誠一))에게 고하였는데, 문충공이 막 잠자리에 들려고 하던 차에 벌떡 일어나 좋다고 칭찬하고, 즉시 삼태기와 삽을 준비하여 거행하도록 하였다. 좋구나, 이 또한 어진 사람의 마음이로다.
공의 7대손 기경(基慶)이 족손(族孫) 진엽(震燁)을 시켜 나에게 묘갈명을 지어 달라고 부탁하였다. 명은 다음과 같다.
군자의 크나큰 절개는 / 君子大節
오직 효도와 충심이요 / 惟孝與忠
스승을 존숭하여 정성을 다함도 / 尊師竭誠
또한 떳떳한 충정에서 나옴이라 / 亦由彝衷
공은 실로 이것을 잘 행했으니 / 公實能之
학문이 어찌 이를 벗어나겠는가 / 學豈外是
명을 지어서 후세에 알리노니 / 銘以詔後
영세토록 아마 볼 수 있으리라 / 永世其視
[주01] 부모와 …… 섬기는 :
원문은 ‘생삼사일(生三事一)’로, 진(晉)나라 대부 난공자(欒共子)가 “백성은 부모와 스승과 임금 밑에서 사는지라,
섬기기를 한결같이 한다.[民生於三, 事之如一.]”라고 말한 데서 유래하였다. 《國語 晉語》
[주02] 덕산서원(德山書院) :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건립한 서원으로, 조식(曺植)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가 강학하던 곳에 창건하였다.
1609년(광해군1)에 사액되었으며, 조식, 최영경(崔永慶) 등을 배향하였다.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山淸郡)에 속한다.
출처 : 입재집 제38권 / 갈명(碣銘)
--------------------------------------------------------------------------------------------------------------------------------------------------------
[原文]
府使茅村李公墓碣銘 並序.
立齋 鄭宗魯 撰 / 1738年(英祖 14)~1816年(純祖 16)
君子之學。惟盡分於生三事一之義。則斯其爲大節也審矣。若茅村李公。其遺事雖略。可以是少之哉。公諱瀞字汝涵。其先月城人。新羅佐命功臣謁平。其始祖也。麗有禹偁封載寧君。子孫因貫焉。至贈兵曹參議午。始居咸安茅谷里。是爲公五世祖。曾祖諱仲賢兵曹參知。祖諱珷水軍虞候。考諱景成監察贈兵曹參判。嘉靖辛丑公生。少明敏有才局。嘗遊南冥曺文貞公門。聞爲學大方而服行之。萬曆壬辰倭大搶。嶺南首刳於兵。士民皆鳥獸竄。公倡義旅。設機捕斬。屢立奇功。事聞特授司圃別坐沙斤丞。轉監丹城縣。又以功陞淸州牧使。遷尙州知善山府昌原府。所至以寬惠公明有聲。晩歲寓居晉州元塘里。移植故園梅。每從容吟賞以自適。因號茅村。癸丑終于家。壽七十三。葬于咸安大里德山負辛原。有子而樟。孫燠。燠嗣子之翰。公初嗜班馬書。旣又尊程朱學。嘗有詩曰。論性固當惟說理。談空求理諒非誠。可見其學識之精矣。盖其德性醇粹。氣象和毅。孝友稱於族。公正著於鄕。其討賊字民。旣盡學道愛人。執干戈衛社稷之義。嘗在智異山。夢白頭老人來言風寒逼骨不可忍。公愕然驚悟。知先墓有變往視之。參知公柩爲賊所掘至暴露。卽改葬之。人謂其冥感由誠孝云。刱德山院以祀南冥。及經兵燹又重新之。其事一有如是矣。嘗以兵興來戰骨殍骸當掩埋事。告觀察使鶴峯金文忠公。文忠公方寢。蹶起稱善。卽令具畚鍤擧行。善乎亦仁人之心也。公七代孫基慶。使族孫震燁屬余爲墓銘。銘曰。
君子大節。惟孝與忠。尊師竭誠。亦由彝衷。公實能之。學豈外是。銘以詔後。永世其視。
출처 : 立齋先生文集卷之三十八 / 碣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