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국헌 예비역 육군소장의 글
● 한신 장군 -한신은 누구도 이의를 달 수 없는 ‘참 군인’이었다- 한신은 함경남도 영흥 출신으로 일본 중앙대 법대를 나왔는데 일본군에 징집되어 남방에서 전투한 학도병출신이다. 박정희와 같이 육사 2기생으로 임관한 한신은 수도사단 1연대장으로 1950년 7월 김석원 사단장 예하에서 안강·기계 방어를 성공적으로 이끈다. 1951년 5월 대관령 전투에서는 중공군과의 고지 점령에서 간발의 차로 고지를 선점하여 3군단의 치욕의 현리전투 이후 밀리던 동부전선을 안정시켰다. 1953년 6월 화천 전투에서는 정일권 군단장의 명령을 받고 5사단 부사단장으로 화천 댐을 사수해내었다. 이승만 대통령이 현지에 나와 무전기로 독전하던 전투였다. 625전쟁 중 한신은 가장 전투를 잘한 연대장으로 꼽힌다. 516후 감사원장으로 잠시 혁명정부에 참여하던 한신은 곧 군에 복귀, 참군인의 길을 걷는다. 주월사가 귀국하여 제3야전군사가 되기까지 제1야전군이 전방 전체를 담당하고 있었는데, 그는 이때의 제1야전군사령관이었다. 그의 최종직책은 합참의장이었는데, 818이전의 합참의장은 지금과 달라 일종의 閒職이었다. 박정희 대통령이 한신을 참모총장을 시키지 않고 이세호를 시키는 것을 보고 모두들 군의 앞날을 걱정하였는데, 그 우려는 10.26으로 터졌다. 한신의 지휘철학은 장병을 잘 먹이고, 잘 입히고, 잘 재운다는 장병 제1주의였다. 수도사단에서 2등병으로 군복무를 시작한 한신은 사병의 고충을 잘 알았다. 당시 병사들은 배를 채우는 것이 소원인 상황이었다. 장병들로서는 취사병이 선호보직이었다. 장교들의 봉급은 가족의 끼니를 겨우 차릴 수 있을 정도여서 장교들의 부패는 문자 그대로 ‘생계형 부패’이었다. 그러다보니 전군이 부패고리로 연결되었다. 한신은 이를 바로잡기 위해 단호한 숙정에 나섰다. 한신은 헬기를 타고 가다가 아무 부대라도 불시 내려앉아 1종을 검열하여 부족량이 발견되면 바로 지휘관을 체포하여 압송하는 초강경 방법을 썼다. 1960년대에 군의 부패는 이런 방법으로 잡혀간 것이다. 월남참전이 시작되자 장병들의 생활도 피어나기 시작하였다. 월남전은 국가경제에도 큰 뒤받침이 되었지만 군인들도 활로를 틔우는 한 방법이었던 것이다. 整軍 과정에서 한신은 ‘안일한 불의의 길보다 험난한 정의의 길을 걷는다‘는 신조로 길러진 육사출신에 기대를 걸고 이들을 ’사단장의 분신‘으로 활용, 사단장의 지휘력을 물샐 틈 없이 침투시켰다. 휴전 후 흐트러진 교육훈련을 바로잡는데 이들 원칙대로 배운 정규육사 출신들은 교범이 되었다. 한신은 육사 출신 가운데 將材를 특별히 선발하여 부관으로 두고 철저히 훈련시켰는데, ’빈틈없는‘ 조성태 장관도 그중 하나다. 이들 부관출신들이 후일 ’참 군인 한신 장군‘을 출간한다. 부관 조성태 대위가 ‘춘천호에 트럭이 빠졌는데 지금 구조하고 있습니다’고 보고하자, 한신은 ‘춘천호의 깊이가 얼마냐’고 물었다. 제대로 답을 못한 부관은 얼굴이 붉어졌다. ‘면도날’ 한신은 ‘군인은 하나라도 철저히, 면밀히,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된다.’고 가르쳤다. 항상 전투를 생각하고 준비하는 군인은 당연히 교육 제1주의, 장병 제1주의로 나갈 수 밖에 없다. 한신은 누구도 이의를 달 수 없는 ‘참 군인’이었다.
● - 故 韓信 장군 영전에 -
(1) 이 글은 1996년 5월 故 장태완 장군께서 “한신”장군 영전에 올리는 글, 동아일보에 게재한 조사입니다. “겨레 가슴에 참 軍人 像 남기시고...” (2) 그 아래는 문화일보 사설내용입니다. "한 군인의 뒷 모습"
참군인, 한신 장군 (1) “겨레 가슴에 참 軍人 像 남기시고...” - 故 韓信장군 영전에 - 겨레의 가슴 속에 “불멸의 군인 상”을 남기시고 온 생애를 국가와 군의 발전에 다 바치신 한신장군님의 영전에 삼가 머리 숙여 명복을 비옵니다. 이 나라 이 겨레의 큰 기둥이고 참 군인의 표상이셨던 존경하는 장군님. 이제 장군님의 존안을 정녕 뵈올 길이 없습니까. 이제는 장군님의 음성을 들을 수 없는 것입니까. 장군님이 그토록 갈망하시던 조국통일의 그날을 못 보시고 이토록 홀연히 떠나십니까. 아직도 나라와 겨레를 위해 하실 일이 태산 같은데 그리고 장군께서 혼신의 정열을 불태우신 군의 발전상과 장한 모습을 더 지켜보시지도 못한 채 이렇게 유명(幽明)을 달리하시니 애통한 마음 가눌 길이 없습니다. 장군께서는 군에 재직 시 책임과 용기, 결단력과 추진력, 확고한 민족의식과 국가관, 민주적인 신념, 통일에 대한 의지, 군인으로서의 덕목 등 그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교훈을 주셨습니다. 6.25 자유 수호 전쟁당시에는 백척간두의 조국과 운명을 같이하시면서 그 처절했던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서도 불사조처럼 전선을 누비면서 야전지휘관으로서의 용맹을 보여주셨습니다. 특히 한강탈환의 혁혁한 공로 , 그리고 낙동강 방어선 돌파와 반격은 후세에 길이길이 빛날 것입니다. 67년 6월 전체전선에서 대전차 방벽을 설치하도록 하신 것은 오늘날까지도 큰 업적중의 하나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장군께서는 야전군 사령관을 거쳐 합참의장을 지내시기 까지 군 발전에 실로 지대한 업적을 남기셨고 국가기간산업육성에 크게 기여하셨습니다. 항상 우국충정의 일념으로 국익추구와 국가안보를 뒷받침해 주셨으며, 늘 크고 넓으신 도량과 포용력을 발휘하시어 향군회원들의 친화단결을 도모하심으로써 향군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하셨습니다. 청렴과 강직의 상징이셨던 존경하는 장군님. 늘 자랑스럽게 들려주시던 글귀가 생각납니다. “사업과 문장은 몸과 더불어 사라지되 정신은 만고에 새롭도다. 공명과 부귀는 세월을 따라 바뀌건만 기절(氣節)은 천년이 하루 같다. 군자는 진실로 저것으로 이것을 바꾸지 않을 것이다” 어려울 때일수록 정론과 대도를 택하신 장군님의 진정한 용기에 새삼스레 존경을 표합니다. 장군님의 자랑스런 후배인 국군장병과 5백34만 향군회원은 장군님의 높은 뜻을 이어받아 못다 이루신 조국의 통일과 선진화를 기필코 달성할 것을 굳게 다짐합니다. 부디 가시는 길 평안하시고 영원히 안식하시길 간절히 빕니다. 1996년 5월8일 < 대한민국 재향군인회장 장태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