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 自由路 ]
요약:경기도 고양시 행주대교 북단에서 파주시 문산읍 자유의 다리에 이르는 고속화도로로 길이 46.6㎞, 너비 51m이며 1990년 10월에 착공하여 1단계 구간인 행주대교에서 통일전망대(29㎞) 구간은 1992년 8월에 완공하고, 2단계 구간인 통일전망대에서 임진각(17.5㎞) 구간은 1994년 9월에 완공하였다.
▲자유로
길이 46.6㎞, 너비 51m이다. 남북한간 연결 간선도로망 건설 및 수도권 서북부지역의 교통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990년 10월에 착공하여 1단계 구간인 행주대교에서 통일전망대(29㎞) 구간은 1992년 8월에 완공하고, 2단계 구간인 통일전망대에서 임진각(17.5㎞) 구간은 1994년 9월에 완공하였다. 노반 축조는 10차선 너비로 했으나, 우선은 4∼6차선만 포장 개설하고 나머지 차선은 남북한간 교류 확대와 교통 소통의 추이에 따라 점차 확대 개설하기로 하여 1997년 고양세계꽃박람회를 앞두고 행주인터체인지에서 이산포인터체인지 구간 10.7㎞가 왕복 6차선에서 왕복 10차선으로 확대되었다. 통일전망대를 향하여 이산포 인터체인지를 지나면서 왕복 6차선에서 왕복4차선으로 바뀐다. 이 도로가 전구간 개통됨에 따라 행주대교에서 임진각까지 도로소통이 좋아져 30분만에 달릴 수 있게 되었으며, 일산·능곡·화정 일대 신도시에서 통일로·수색로를 거쳐 서울 방향으로 통행하는 차량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교통량을 분산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주요 통과지역은 고양시 행주외동·신평동·백석동·장항동·송포동· 법곶동·대화동·토당동, 파주시 산남리·서패리·문발리·신촌리·연다산리·송촌리·갈현리·성동리·대동리·금산리이다.
교통의 요충지로서 행주인터체인지에서는 신행주대교, 자유로인터체인지에서는 김포대교와 서울외곽순환고속국도에 이어지고 새로 건설된 방화대교 및 인천국제공항고속국도를 통해 서울·김포·부천·인천 등과 연결된다. 대도시와 가깝고 교통이 편리하여 도로변에는 채소·화훼농업이 발달했으며, 파주문발산업단지를 비롯한 중소 산업단지가 들어서 있다. 가까이 행주산성(사적 50)·장릉·자운서원·화석정·지석묘군 등의 유적지를 비롯하여 재두루미도래지(천연기념물 203), 오두산 통일전망대, 임진각 등의 관광지와, 교통개발연구원·시설안전기술공단·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의 공공기관이 있다.
출처:(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내포리[Naepo-ri , 內浦里]
요약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에 있는 리(里)이다.
북서쪽에 임진강이 흘러 넓은 모래톱이 형성되었다. 서쪽에 남북으로 문산천(汶山川)이 흘러 임진강(臨津江)으로 유입하고 있다. 문산천 주변으로 넓은 농경지가 발달하였다. 남쪽에는 주로 산지가 위치하고 있다. 자연마을로는 가래울, 굴춘이, 안골, 덕갯골, 뺑골, 샛말, 성촌, 앙쪽, 오무기, 이촌, 잣나무골, 장괘, 지렛글, 행정 등이 있다. 내포리는 내동과 장포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굴춘이는 장괘 북쪽에 있는 마을로 거북처럼 생겼다 하여 굴춘, 구촌이라고도 하였다. 성촌은 주로 창녕 성(成)씨들이, 이촌은 전주 이(李)씨들이 주로 모여 산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잣나뭇골 잣나무가 있었다 하여 이름 붙여졌고, 행정은 은행나무 정자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출처:(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2025-02-02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