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챨스 윌크스 중위는 미 해군의 남극 탐험대를 1838년부터 1842년까지 지휘했으며, 그의 항법에서 지속적으로 동쪽으로 벗어나는 것에 관해 기록했고, 때때로 18시간도 안 되어 20 마일 이상 벗어나기도 했다.
38) 토마스 밀너 목사의 말을 인용한다.“남반구에서, 인도로 항해하는 자들은, 종종 여전히 서쪽에 있으면서, 자신들이 그 희망봉의 동쪽에 있다고 공상해왔으며, 아프리카 해안의 해변에 도착하게 되었다. 그곳은 그들의 계산에 따르면 그들 뒤에 있어야 했다. 이런 불운이 1845년, 소형 구축함, 챌린저에게도 일어났다. 어떻게 그 놀라운 배 ‘컨쿼러’가 길을 잃을 수 있단 말인가? 완벽한 성능에, 완벽한 재원이 갖추어지고, 완벽하게 항해된, 얼마나 많은 다른 고급 배들이, 어두운 밤도 아니고 안개 속에서도 아닌 시야가 널리 트이고 햇빛이 비취는 낮에, 고요한 날씨에, 난파되어 왔단 말인가? – 전자의 경우에는 해변들에, 후자의 경우에는 암초들에 좌초되었다 - ‘계산이 틀렸기’때문이었다.” 지구가 구형체가 아니라는 명쾌한 답이 나온다.
39) “호주 편람, 연감, 해운 회사와 수입업자 안내 책자”에 기록된 실제 거리 측량에 따르면 시드니와 넬슨의 직선 거리가 1550 법정 마일이다. 두 곳의 경도 차이는 22도 2’14”다. 그러므로 만약 22도 2’14”가 1550 마일이라면, 그 전체는 25,182 마일이 나올 것이다. 이것은 적도에서 그렇다고 주장되는 구체-지구보다 더 길 뿐만 아니라, 주장되는 구체 지구 상의 시드니 남위에서의 그것보다 총 4262 마일이 더 긴 것이다.
40) 칠레의 케이프 혼 근처에서, 호주 멜번의 필립 항까지 거리가 10,500 마일이며, 경도 상으로 143도 떨어져 있다. 360 까지 남아 있는 도수를 반영하면 이 특정한 위도 상에서의 총 거리가 26,430 마일이 나온다. 이것은 적도 상에서의 지구 둘레라고 주장되는 것보다도 1500 마일 더 긴 것이며, 예로 든 그 남위에 대해 주장되는 지구 둘레보다 수 천 마일 이상 더 긴 것이다.
41) 유사한 계산이 남아프리카의 희망봉으로부터 호주의 멜번까지 평균 남위 35.5도로 25,000 마일 이상의 대략적인 값이 나온다. 이것은 구체-지구 적도에서 가장 크다고 주장되는 원주보다 같거나 더 긴 것이다. 뉴질랜드 엘링톤까지의 계산도 평균 남위 37.5이며, 대략적 원주가 25,500으로서, 여전히 더 길다! 구체-지구 이론에 따르면, 남위 37.5도에서 지구의 둘레는 19,757 법정 마일에 불과하므로, 실제 측량보다 거의 6천 마일 짧다.
42) 구체-지구 모델에서 남극은 남위 78도부터 90도에 이르기까지 그 구형체의 밑 부분을 덮고 있는 얼음 대륙이므로, 그 둘레에 있어 12,000 마일을 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쿡과 제임스 클락 로스 선장을 포함하여
많은 초기 탐험가들이 남극을 주항하는 데에 3에서 4년이 걸렸으며 50-60,000 마일의 여정을 기록했다. 또, 우회하였지만 완전한 남극 주항을 했다는 영국의 배 챌린저 역시 69,000 마일을 횡단했다. 이것은 구형체 모델과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
43) 만약 지구가 구체라면 남반구에서, 칠레의 산티아고로부터 호주의 시드니로의 경로와 같이 남극 대륙을 가로지르는, 가장 빠른 직선 경로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남극을 가로질러 가장 짧고 가장 빠른 직선 경로를 이용하지 않고, 모든 비행기들이 비행하기에 너무 추운 온도라는 이유를 대며 남극으로부터 떨어진 경로로 우회한다! 남극으로/남극으로부터/남극 위에서의 비행이 많았다는 것과 나사가 지구에서의 어떠한 상황보다도 훨씬 더 추운 (그리고 훨씬 더 뜨거운) 조건들 속에서 비행기들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가졌다고 주장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그러한 변명은 그저 변명일 뿐이며, 그러한 비행 노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런 비행 경로가 나오지 않는 것이다.
44) 만약 지구가 구체이고, 남극이 비행하기에 온도가 너무 낮다면, 시드니에서 산티아고로의 논리적인 유일한 비행은 그 전체 여정을 남반구에 머물며 태평양을 곧장 가로질러야 할 것이다. 그 여정 중에, 만약 연료를 꼭 다시 채워야 한다면, 뉴질랜드나 남반구의 다른 목적지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산티아고-시드니를 여행하는 비행기들이 북반구로 여행하며, 다시 남반구로 돌아가기 전에, 로스엔젤레스 공항이나 북 아메리카의 공항들을 경유한다. 그런 방식의 비행 경로는 구체 지구의 지도 상에서 말도 안 되는 우스꽝스러운 일이며, 평평한 지구의 지도 상에서는 완벽하게 합리적인 노선이다.
45) 구체-지구에서, 남아프리카의 요하네스버그에서 호주의 퍼스까지 인도양을 가로지르는 직선 코스가 되어야 한다. 연료 공급은 마우리투스나 마다가스카르에서 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요하네스버그에서 퍼스로 가는 대부분의 비행기들이 이상하게도 두바이나 홍콩이나 말레이시아를 경유한다. 이것은 구체 지구에서 비상식적인 일이지만, 평평한 지구의 지도 상에서는 완전히 이해될 수 있는 노선이다.
첫댓글 시드니에서 산티아고로의 논리적인 유일한 비행은 그 전체 여정을 남반구에 머물며 태평양을 곧장 가로질러야 할 것이다. 그 여정 중에, 만약 연료를 꼭 다시 채워야 한다면, 뉴질랜드나 남반구의 다른 목적지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산티아고-시드니를 여행하는 비행기들이 북반구로 여행하며, 다시 남반구로 돌아가기 전에, 로스엔젤레스 공항이나 북 아메리카의 공항들을 경유한다...............그러네요.^^ 쇼킹합니다.
그럼 낮과밤은 어떤 원리가 적용되는거죠?
유튜브에서 편편한 지구flat earth 검색 해보세요
시드니-산티아고로 검색하면 직행노선이 있어요. 저도 플랫어스때문에 아주 혼란을 겪고, 엄청난 시간투자를 하며 자료를 검색했지만, 제 생각으로는 그 주장이 어떠한 다른 의도를 숨기고 주장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요. 그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정상적인 직장인들은 스스로 검증할 시간조차 부족해요.
항공편 QF27: 시드니 - 산티아고, SYD - SCL, 12시간 40분항공편기표콴타스 항공에 의해 국제 항공편 QF27는 오스트레일리아로부터 칠레를 날고있다 (SYD로부터 SCL에). 항공편 10월2일 12:30 시드니, 킹스포드스미스 공항 터미널 1. 항공편은 10월2일 11:10 산티아고, 아투로메리노베니테스 도착. 항공시간 12시간 40분.
플렛어스는 제 생각에 전체적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미국인을 타겟으로는 성공적이고, 그래서 영문자료가 많습니다. 하지만, 사실의 문제가 다수결의 문제로 번지고, 그것이 유튜브를 이용하고, 결정적으로 자료가 지속적으로 늘었기떄문에 플랫어스가 옳다고 여겨지는 현상은 많은 피해자를 양산합니다. 직장인은 엄두도 못낼 방대한 정보에다, 시간이 매우 충분한 저만해도 상당한 시간을 공들여서 결론은 뭔가 속았다, 놀아났다고 생각하고 있으니까요. 차라리 그들 주장이 맞다면 좋겠지만, 그들이 의도적으로 더많은 거짓정보를 흘려서 정작 더 중요한 정보를 취득할 시간을 뺏고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들이 플랫어스라고 내놓은 증거 대부분이 초딩들에게는 그럴듯한 내용이 너무 많아요. 이것이 위험한 거예요. 지식이 일천한 사람들에게만 먹히는 수법을 사용하니까.. 사기입니다.. 결국 지속적으로 오랜시간만 허비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들이 정말 플랫어스를 증명하려면 남극의 빙벽을 비행하고 실시간 동영상을 공개하면 됩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증명하는 방법이 아주 조잡하고 유치합니다. 이상하지 않나요.. 학회도 가지고 있고 수천억의 기부금도 받으면서 정작 적극적이고 확실한 증명은 하지않고, 몇몇 개인들이나 가능한 방법만으로 증명합니다. 도대체 뭘 노리고 이러는 것일까요??
그들의 주장에 일리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파면 팔수록 그들의 주장이 틀렸다는 결론에 다다릅니다. 그러니 그들의 주장은 주장이 아니라 거짓말인겁니다. 진실이면 파면 팔수록 옳다는 확실이 들어야 정상이니까요. 동영상이 많아질수록 여기에 현혹되는 수많은 한국의 어린 학생들이 양산됩니다. 사실 이것이 더 위험하고 두려워해야할 일입니다. 이건 사이비종교나 다단계에 현혹되는 낭비되는 시간과 마찬가지입니다. 어차피 모두가 자가검증을 위해서 필연적으로 그들의 정보를 취득하고 판단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개인 모두가 시간을 빼앗기고 사기라는 것을 검증하기위해 혼란스러운 시간을 보내니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요?
평면지구이론이 맞다는 것이 아니라, 둥글고 도는 지구가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에 동의할 뿐입니다. 지구가 돈다면 엄청난 바람과 바다도 우주로 쏘림현상이 있어야 하는데 없죠.. 하늘로 올라갈 수록 고요합니다.
그 비행노선은 여러가지 의문이 많습니다. 우선 비행경로가 출발,도착과정이외의 중간항로는 표시가 되지 않습니다. 둘째 항공이나 선박의 거리는 해리로 표현을 하는데 이것이 재밋는게 위도와 경도의 좌표로 거리를 구한다는 것입니다. 말대로 코에걸면 코걸이 귀에걸면 귀고리인 식이지요. 육지처럼 정확한 거리측정은안한다는 소리입니다. 그 논리대로라면 지구가 둥글든 평면이든 상관없이 같은 거리값이 나오게됩니다. 그리고 시간이란 문제가 남는데 이경우도 특별히 그 구간만 빠르게 비행한다면 문제될것은 없는 것이죠.
그렇다고해서 속도가 달라지느냐하는 문제인데 그것이 또 해리로 거리계산하기때문에 속도또한 정상입니다.
결론은 어느것하나 명확하게 밝힐수가 없다는 겁니다. 숨기려고 한다면 얼마든지 조작가능합니다. 그리고 직항을 제외하곤 나머지 노선들은 시간이 훨신많이 소요됩니다. 당연히 평면지구론을 숨기기위해선 특정노선은 관리 대상일것입니다. 거리개념이란 것도 따지고 보면 모호합니다. 특히나 항공,선박등의 해리란 개념은 참 쌩뚱맞기까지하다고 느껴지더군요.
아. 지구도 세계도 지형도 조작하고 있는 현실 정말 무섭습니다.. 현재가 무섭고, 땅이 무섭고, 하늘이 무섭습니다. 교육이 이렇게 거짓으로 갈쳐놓았으니, 집을 떠나면 모두 위험한 곳일 따름입니다. 하늘은 더욱더 그렇고.. 알면서도 입을 열지않는 과학자들이 너무 원망스럽습니다.
역시이불밖은위험합니다
그렇군요.. 이 이불 밖은 알 수 없는 곳들뿐
저 그림에서 남극해가 태평양의 20배나 되는 것 같습니다. 쇼킹!
육대륙에 푸른원이 구름일까요?
이 프로를 반복해서 연구하고 알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이땅의 진실을 모두 알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