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자재보살여의륜유가 일권
觀自在菩薩如意輪瑜伽 一卷
개부의동삼사특진시홍려경숙국공식읍삼천호사자증사공익대감정호대광지대흥선사삼장사문불공봉 조역
開府儀同三司特進試鴻臚卿肅國公食邑三千戶賜紫贈司空謚大鑑正號大廣智大興善寺三藏沙門不空奉 詔譯
관자재보살여의륜유가 불공 한역
아금순유가 금강정경설 마니연화부 여의념송법
我今順瑜伽 金剛頂經說 摩尼蓮花部 如意念誦法。
수차삼매고 능여관자재 선택기제자 족성경법자
修此三昧故 能如觀自在 先擇其弟子 族姓敬法者。
다인소경애 지혜이용진 결정비리야 각혜상불사
多人所敬愛 智慧而勇進 決定毘離耶 覺慧常不捨。
진효어부모 정신어삼보 락수보리행 어사무량심。
盡孝於父母 淨信於三寶 樂修菩提行 於四無量心。
찰나무유간 상락대승법 주어보살계 공경아사리
剎那無有閒 常樂大乘法 住於菩薩戒 恭敬阿闍梨。
일체제성자 성취견고력 장부지용맹 선통상응문
一切諸聖者 成就堅固力 丈夫之勇猛 善通相應門。
당락적정행 지혜무소외 이계상엄신 정수비밀승
當樂寂靜行 智慧無所畏 以戒常嚴身 精修秘密乘。
경의이취도 일심무소린 상락문묘법 증입삼매야
敬依理趣道 一心無所悋 常樂聞妙法 曾入三昧耶。
종사획관정 기몽인가이 불치당성취 제자구차상
從師獲灌頂 旣蒙印可已 不夂當成就 弟子具此相。
방가위전수 차즉여의보 능성제사업 여경설처소
方可爲傳授 此卽如意寶 能成諸事業 如經說處所。
산간급류수 청정아란야 수락지간곡 리제위포난
山閒及流水 淸淨阿蘭若 隨樂之㵎谷 離諸危怖難。
수력엄공구 행인면어서 만제자재왕 차례여방불
隨力嚴供具 行人面於西 漫提自在王 次禮餘方佛。
이오륜착지 여교지경례 쌍슬장궤이 합장허심주
以五輪著地 如教之敬禮 雙膝長跪已 合掌虛心住。
성심진진설 삼업일체죄 아종과거세 류전어생사
誠心盡陳說 三業一切罪 我從過去世 流轉於生死。
금대대성존 진심이참회 여선불소참 아금역여시
今對大聖尊 盡心而懺悔 如先佛所懺 我今亦如是。
원승가지력 중생실청정 이차대원고 자타획무구
願承加持力 衆生悉淸淨 以此大願故 自他獲無垢。
밀언왈 옴 사바바 바슈다 살바달마 사바바바 슈도 함
密言曰:唵 薩婆婆 嚩輸馱 薩婆達麽 薩嚩婆嚩 輸度 唅
나는 지금 유가의 금강정경에 따라서 마니연화부의 여의염송법을 말하리라.
이 삼매를 닦음으로써 능히 관자재와 같이 될 수 있나니
먼저 그 제자를 택하되 족성자로서 법을 공경하는 자이어야 하느니라.
많은 사람에게 사랑과 공경을 받고 지혜로우면서도 용맹하게 나아가
반드시 항상 정진하여 깨달음과 지혜를 결코 져버리지 않으며
부모께 극진히 효도하고 삼보께 청정한 믿음을 내어
보리행을 즐겨 닦아 사무량심에 쉼 없이 머무르며
항상 대승법을 좋아하여 보살계에 머물러
아사리(阿闍梨:軌範師)를 공경하고 모든 성자를 공경하며
견고한 힘과 장부의 용맹을 성취하여
상응문을 잘 통달하고 항상 적정행을 좋아하며
지혜로워 두려워하는 것 없고 계로써 항상 몸을 장엄하며
비밀승을 정밀하게 닦고 공경히 이치에 의지해 도에 나아가며
한마음으로 아낌없이 항상 묘법을 듣길 좋아하여
일찍이 삼매야에 든 자이어야 스승께 관정을 받을 수 있으리라.
이미 인가를 얻으면 오래지 않아 성취하리니
제자가 이런 모습 갖춘 뒤 비로소 전수받을 수 있느니라.
이러하면 여의보와 같이 능히 모든 사업을 성취하리라.
경에서 말한 처소대로 산골짜기 물 흐르는 곳에 청정한 수행처[阿蘭若]를 정하되
마음에 드는 계곡 가운데 모든 위험하고 두려운 재난 없는 곳에서
힘닿는 대로 장엄구와 공양구를 마련한 다음
수행인은 서쪽을 바라보고서 만제자재왕께 예배하고
이어 나머지 방위의 부처님께도 예배해야 하느니라.
오륜(五輪:五體)을 땅에 대고 가르침대로 공경히 예를 올리되
두 무릎을 꿇어 장궤한 다음 허심합장한 채 머물러
성심으로 3업의 모든 죄를 다음과 같이 다 말하라.
제가 과거세로부터 생사를 유전하다가
이제 대성존을 대하여 진심으로 참회 하옵나니
앞선 부처님께서 참회하신 것처럼 지금 저 역시 그러하옵니다.
원컨대 가지력을 받들어 유정을 다 청정히 하길 바라오니
부디 이 대원으로 인하여 나와 남이 번뇌 없게 하여주소서.
밀언(密言:眞言)은 다음과 같다.
옴 사바바바 슈다 살바달마 사바바바 슈도 함
족성자 - 선남자(善男子), 훌륭한 자질을 갖추고 부처의 가르침을 믿어 선행을 닦는 사람을 말한다.
사무량심 - 무량한 중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에게 무량한 복을 주는 네 가지 이타(利他)의 마음으로,
자(慈)ㆍ비(悲)ㆍ희(喜)ㆍ사(捨)를 말한다.
잔궤 - 두 무릎을 대고 몸을 세운 채 공손(恭遜)하게 꿇어앉는 자세를 말한다.
허심합장 - 12합장법(合掌法) 중 하나로, 두 손을 합하고 손바닥을 틈 없이 꼭 붙인
견실합장(堅實合掌) 상태에서 손바닥 사이를 조금 벌려 비운 합장을 말한다.
행자 차응수희 일체제불보살 소집복지
行者 次應隨喜 一切諸佛菩薩 所集福智
사일체불보살 과거소수행 공덕여아자 작이생환희
(思一切佛菩薩 過去所修行 功德如我自 作而生歡喜)
과현삼세불 보살급중성 소집제선근 합장진수희
過現三世佛 菩薩及衆聖 所集諸善根 合掌盡隨喜。
여아신소집 환희무유이。
如我身所集 歡喜無有異。
수행자는 다음으로 마땅히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께서
쌓으신 복과 지혜에 대해 더불어 기뻐해야 하느니라.
(모든 부처님과 보살들께서 과거에 수행하신 공덕을
마치 자신이 스스로 지은 것처럼 생각하고 기쁜 마음을 내야 한다는 뜻이다.)
과거와 현재의 3세 부처님과 보살들과 중성들께서
쌓으신 모든 선근에 합장하고 더불어 기뻐하오니
마치 제 자신이 쌓은 것 같아서 그 기쁨이 다름없습니다.
차응우슬착지 부용합장 치어정상 상례일체여래보살족
次應右膝著地 芙蓉合掌 置於頂上。想禮一切如來菩薩足
밀언왈 옴 바다마 밀
密言曰:唵 鉢頭麽(二合)微(微吉反)
이어서 마땅히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부용합장을 하여 정수리 위에 놓고,
모든 여래와 보살의 발에 예배드린다고 생각한다.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다마 밀
례제불이 전가반가 혹륜왕가 수의이좌
禮諸佛已 全跏半跏 或輪王跏 隨意而坐。
작차좌인이 관변허공불 기신각어전 주피중성회
作此坐印已 觀遍虛空佛 己身各於前 住彼衆聖會。
지관종슬상 선무당심합 여련지미부 상례어제불
止觀從膝上 旋舞當心合 如蓮之未敷 想禮於諸佛。
차결삼매야 당심견고박 단혜선지수 금강련화인
次結三昧耶 當心堅固縛 檀慧禪智豎 金剛蓮花印。
통지연화자 경각중성이
通持蓮花者 警覺衆聖已
송차밀언왈 옴 바저라 바다마 감마야 살다밤
誦此密言曰: 唵 跋折羅 鉢頭麽 三麽耶 薩怛梵(三合)
모든 부처님께 예배드리고 나서,
전가부좌나 반가부좌나 혹은 윤왕가부좌 중에서 뜻한 대로 앉는다.
이 좌인(坐印:坐法)을 하고 나서 허공에 두루하신 부처님 앞에
자기 몸이 각각 있어 저 중성의 모임에 머물러 있다고 관하라.
두 손[止觀]을 무릎 위로부터 빙 돌려 가슴 위에서 합장하되
미부연화합장을 하고 모든 부처님께 예배드린다고 생각하라.
이어 삼매야인을 맺어서 견고하게 엮어 가슴에 댄 다음
양손의 엄지손가락과 세끼손가락[檀ㆍ慧ㆍ禪ㆍ智]을 세워 금강연화인을 맺느니라.
연화인을 두루 맺어 중성을 일깨운 다음 다음과 같은 밀언을 염송하라.
옴 바즈라 바다마 삼마야 사다범
윤왕가부좌 - 윤왕좌(輪王坐), 전륜성왕(轉輪聖王)의 좌법을 말한다.
한쪽 무릎을 세우고 신체를 지탱하듯이 뒤쪽으로 손을 붙인 자세를 말한다.
미부연화합장 - 12합장 가운데 세 번째 합장. 두 손을 합하여서 두 손바닥 사이를 텅 비게 하여
마치 연꽃 봉오리처럼 아직 피지 아니한 연꽃모양으로 하는 합장이다.
유결차인고 불급선서자 제대명칭자 묘관찰섭수
由結此印故 佛及善逝子 諸大名稱者 妙觀察攝受
억석본서원 대어편조존 불위교령고 가지사원만
憶昔本誓願 對於遍照尊 不違教令故 加持使圓滿。
이 인을 맺은 까닭에 부처님과 선서자와
모든 대명칭자께서 묘하게 관찰하시어 거두시며
과거의 본래 서원을 기억하시고서 변조존을 대하여
가르침을 어기지 않은 까닭에 가지하시어 원만케 하시니라.
차결일체제불여래안열의환희삼매야인
次結一切諸佛如來安悅意歡喜三昧耶印。
십도견고박 인원중교합 단혜여선지 각상합이수
十度堅固縛 忍願中交合 檀慧與禪智 各相合而豎。
밀언왈 옴 삼마야 호 소라다 살다밤
密言曰:唵 三麽耶 乎(去引) 蘇囉多 薩怛梵(三合)
이어서 일체제불여래안열의환희삼매야인을 맺는다.
열 손가락을 견고하게 엮되 양손의 가운뎃손가락[忍ㆍ願]은 가운데를 서로 합하고
양손의 엄지손가락과 세끼손가락[檀ㆍ慧ㆍ禪ㆍ智]은 각각 서로 합하여 세워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삼마야 호 소라다 사다 범
열 손가락 - 밀교에 있어서 인상(印相)을 나타낼 때 양손 열손가락의 다른 이름.
오른손의 엄지를선(禪:定), 검지를 진(進), 중지를 인(忍), 약지를 계(戒),
새끼손가락을 단(檀)이라고 부르며, 왼손의 엄지를 지(智), 검지를 력(力), 중지를 원(願),
약지를 방(方), 새끼손가락을 혜(慧)라고 이름한다.
유시차인고 제불급보살 일체집금강 실개묘환희
由示此印故 諸佛及菩薩 一切執金剛 悉皆妙歡喜。
이 인을 보인 까닭에 모든 부처님과 보살과
모든 집금강(執金剛:金剛神)께서 모두 다 묘하게 환희하시느니라.
차당개심호 입금강지자 관어이유상 우다라좌타
次當開心戶 入金剛智字 觀於二乳上 右怛羅左咤。
여궁실호선 수승금강박 삼업동시발 박심개양자
如宮室戶扇 殊勝金剛縛 三業同時發 拍心開兩字。
밀언왈 옴 바즈라 만다 다라 타
密言曰:唵 跋日囉(二合) 滿馱(平) 怛羅(二合) 咤(半音)
이어서 마땅히 마음의 문을 열어 금강지자를 넣을지니
두 젖가슴의 오른쪽엔 다라(怛羅)자를 왼쪽엔 타(吒)자를 관하라.
마치 궁실의 문짝과 같이 여겨 수승한 금강박을 맺은 다음
3업(業:身ㆍ口ㆍ意)을 동시에 일으키되 가슴을 쳐서 두 글자를 열어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즈라 만다 다라 타
금강박 - 금강박인(金剛縛印), 열 손가락을 구부려 각각 깍지를 낀 것으로,
금강과 같이 견고한 인(印)을 말한다.
무시훈종자 소집지진로 금이소죄인 집지욕최쇄
無始熏種子 所集之塵勞 今以召罪印 集之欲摧碎。
십도견고박 인원신여침 진력굴여구 심상소제죄
十度堅固縛 忍願伸如鍼 進力屈如鉤 心想召諸罪。
상피중죄상 식발라흑형 급인자어심 촉이송밀언
想彼衆罪狀 植髮裸黑形 及印刺於心 觸已誦密言。
삼업상응고 능소제죄적 송차소집이 방작최쇄법
三業相應故 能召諸罪積 誦此召集已 方作摧碎法。
밀언왈 옴 살바바바 가리사나미 슈다 나 삼마야 바즈라 훔 야
密言曰:唵 薩婆播波 迦哩灑拏尾(入) 輸馱(入)娜 三摩耶 跋日囉(二合) 吽 若(入)
무시로부터 훈습되어 온 종자가 쌓아 온 번뇌망상을
지금 소죄인을 맺어 그것을 모아서 부수어 버려라.
열 손가락을 견고하게 엮어 양손 가운뎃손가락[忍ㆍ願]을 바늘같이 곧게 펴고
집게손가락[進ㆍ力]을 갈고리처럼 구부린 다음 마음으로 모든 죄를 불러 모은다고
생각하라.
그리고 저 온갖 죄의 형상을 생각하면서 머리털이 곤두선 검은 형상이 된다
여기고 인을 돌려 가슴을 찔러 대고 있는 상태에서 밀언을 염송하라.
3업이 상응하는 까닭에 쌓였던 모든 죄를 능히 부를 수 있으니
이렇게 외워 불러 모은 다음 비로소 깨고 부수는 법을 행하느니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살바바바 가리사나미 슈다나 삼마야 바즈라 훔 야
소입어장이 방작최쇄법 전인내상차 稱𤚥박제죄
召入於掌已 方作摧碎法 前印內相叉 稱𤚥縛諸罪。
인원구신직 유가라타자 상위금강저 상박여최산
忍願俱伸直 有怛囉咤字 想爲金剛杵 相拍如摧山。
분구급노형 능정제악취 송이인원박 삼칠수소의
忿句及怒形 能淨諸惡趣 誦已忍願拍 三七隨所宜。
밀언왈 옴 바즈라 바니미 살보타야 살바바야 만다나니
密言曰:唵 跋日囉(二合) 播尼尾 薩普咤也 薩婆播也 滿馱娜儞
바라 모가사 야 살바바야 아디 피약 살바사다만
鉢囉(二合)母乞灑(二合)也 薩婆播也 蘖底(丁以反)避藥(二合重呼) 薩婆薩怛挽
살바다타아다 바즈라 삼마야 훔 다라 타
薩婆怛他孽多 跋日羅(二合) 三磨也 吽 怛囉(二合) 咤(半音)
죄를 불러 모아 손바닥 안에 넣은 다음 비로소 깨고 부수는 법을 행하나니
앞의 인에서 안으로 서로 교차시키고 맘(𤚥)자를 불러 모든 죄를 묶느니라.
이어 양쪽 가운뎃손가락[忍ㆍ願]을 모두 곧게 편 다음 다라타(怛囉吒)자를 두고서
금강저가 되어 산을 무너뜨리듯 서로 친다고 생각하라.
분노한 구절[忿句:眞言]과 성난 모습[怒形:手印]이 능히 모든 악취를 깨끗이 하리니
염송한 뒤에 양쪽 가운뎃손가락을 서로 치되
마땅함에 따라 세 번이나 일곱 번을 하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즈라 바니미 살보타야 살바바야 만다나니 바라모가사야 살바바야
아디 피약 살바사다만 살바다타아다 바즈라 삼마야 훔 다라타
이차상응고 선불방편설 삼업소적죄 무량극중장
以此相應故 先佛方便說 三業所積罪 無量極重障。
작차최멸이 여화분고초 유정상우미 부지차이취
作此摧滅已 如火焚枯草 有情常愚迷 不知此理趣。
여래대비고 개차비묘문
如來大悲故 開此秘妙門
이 상응문은 앞선 부처님의 방편인 까닭에 3업으로 쌓은 죄와 한량없이
많은 극히 무거운 장애를 이렇게 하여 부수어 없앨 것이니
마치 불이 마른 풀을 태우는 듯할 것이라.
그러나 유정(有情:衆生)은 항상 어리석어 이 이취를 모르기에
여래께서 대비로써 이 비밀하고 묘한 방편문을 여셨느니라.
차당결입인 내여래지자 이우견고박 선지입어중
次當結入印 內如來智字 二羽堅固縛 禪智入於中
이진력이도 상주여환세 관전팔엽련 기상치아자
以進力二度 相拄如環勢 觀前八葉蓮 其上置阿字
이점엄식고 묘자방명아 색백여가설 류산천광명
二點嚴飾故 妙字方名阿 色白如珂雪 流散千光明
상이진력지 념자안심내 삼업제운용 송차밀언왈
想以進力支 捻字安心內 三業齊運用 誦此密言曰
옴 바즈라 아 미사 아ㅎ
唵 跋日囉(二合) 阿(引) 味捨(平聲) 惡(入)
다음에는 마땅히 입인을 맺고 여래지자를 넣을지니
양손의 손가락[二羽]을 견고히 엮되 두 엄지손가락[禪ㆍ智]을 그 가운데 넣고
두 손[二度]의 집게손가락[進ㆍ力]을 서로 맞대어 버티되 둥근 고리와 같이 하고
나서 앞에 여덟 잎 연꽃을 관상하고 그 위에 아(阿)자를 놓되 두 개의 점으로
엄식하므로 묘(妙)자가 되어 비로소 아(阿)라 이름하고 백옥[珂雪]같이 흰 빛으로
천 가지 광명을 뿌림에 두 집게손가락[進ㆍ力]으로 글자를 잡아 가슴 속에 넣어서
3업을 가지런하게 이끈다고 생각하고는 다음과 같이 밀언을 염송하라.
옴 바즈라 아 미샤 아
기상입심중 자상유광요 차즉법계체 행자응시관
旣想入心中 字相逾光耀 此卽法界體 行者應是觀。
불치오적정 법본불생고 삼세제여래 금강신구의
不夂悟寂靜 法本不生故 三世諸如來 金剛身口意。
개이묘방편 지재금강권 이차합심문 지자획견고
皆以妙方便 持在金剛拳 以此闔心門 智字獲堅固。
편굴진력도 주어선지배 이인촉흉이 즉송차묘언
便屈進力度 住於禪智背 以印觸胸已 卽誦此妙言。
옴 바즈라 모-띠 맘
唵 跋日囉(二合) 母瑟致 𤚥
이미 가슴 속에 넣는다 생각하고 나면 글자의 모습이 더욱 빛나리니
이것이 곧 법계의 본체로서 수행자는 마땅히 이렇게 관해야 하느니라.
그러하면 오래지 않아 적정을 깨달으리니 법은 본래 생겨나지 않기 때문이니라.
3세의 모든 여래께서 금강의 몸과 입과 뜻을 모두 묘한 방편으로써 금강권 안에
지니셨으니 이러한 마음을 단속하는 방편문으로 지(智)자를 견고하게 하려면
곧 두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두 엄지손가락[禪ㆍ智] 뒤에 대고 나서
그 인을 가슴에 댄 다음 곧 다음과 같은 묘한 진언을 염송하라.
옴 바즈라 모-띠맘
행자주등인 이우견고박 앙치어제하 禪智蓮花形
行者住等引 二羽堅固縛 仰置於臍下 禪智蓮花形
차명삼매인 송차밀언왈 옴 삼마디 바다메 하리
此名三昧印 誦此密言曰: 唵 三摩地 鉢頭迷(二合) 紇哩(短)
수행자가 선정[等引]에 머물러 두 손[二羽]을 견고하게 엮어 위를 향하여서
배꼽 아래에 놓고 두 엄지손가락[禪ㆍ智]을 연꽃처럼 하면 이를 삼매인이라
이름하나니 다음과 같은 밀언을 염송하라.
옴 삼마디 바다몌 하리
출식급입식 주아나바나 상불변허공 탄지경각아
出息及入息 住阿那波那 想佛遍虛空 彈指警覺我。
불자여운하 성무상등각 부지제여래 실상지묘법
佛子汝云何 成無上等覺 不知諸如來 實相之妙法。
기문경각이 행자부백언 운하명진실 원최승존설
旣聞警覺已 行者復白言 云何名眞實 願最勝尊說。
제불개환희 작여시승언 선재마가살 능작여시문
諸佛皆歡喜 作如是勝言 善哉摩訶薩 能作如是問。
여상어심중 소내악자문 이자철어심 송차밀언왈
汝想於心中 所內惡字門 以字徹於心 誦此密言曰:
옴 지 다 바라 디 미등 가로미
唵 止(入)多 鉢囉(二合)底(平) 味鄧 迦路弭
숨을 내쉴 때나 들이쉴 때나 아나바나(阿那波那:數息觀)에 머물되
부처님께서 허공에서 손가락 튀기시어 다음과 같이 나를 일깨우신다 생각하라.
불자(佛子)야, 그대는 어찌 모든 여래의 실상의 묘법도 모르면서
위없는 평등한 깨달음[無上等覺]을 이루려는가.
부처님께서 일깨우신 가르침을 듣고 나서 수행자가 대답하여 말하길
무엇을 진실이라 합니까?
최승존이시여, 부디 말씀하여 주소서 라고 하라.
그리하면 모든 부처님께서 기뻐하시며 이와 같이 수승하신 말씀을 하시리니
훌륭하도다. 큰 보살이여, 능히 이와 같이 묻는구나.
그대는 마음속으로 생각하길 안에 있는 악(惡)자문이
마음속을 환하게 꿰뚫고 있다고 여긴 다음 다음과 같은 밀언을 염송하라.
옴 지다바라 디미등 가로미
당묵송일편 편상위월륜 배욕정진고 부송묘언왈
當默誦一遍 便想爲月輪 倍欲精進故 復誦妙言曰:
옴 보디지 다 모 다 바 다야 믹
唵 步提止(入)多 母(去)怛 跛(二合)陀夜 弭(平)
마땅히 속으로 한 번 염송하되 문득 월륜이 된다 생각하라.
더욱 정진하고자 하면 다시 다음과 같은 묘언을 염송하라.
옴 보디지다 모다 바다야 미
월륜이 된다 생각 - 중생의 육단심(肉團心) 즉 심장을 원륜(月輪)이라고 관하는 것을 말한다.
이 원륜은 보리심(菩提心)의 원명(圓明)한 것을 상징한다.
능령심월륜 원만심청정 중상묘연화 상안보금강
能令心月輪 圓滿甚淸淨 中想妙蓮花 上安寶金剛。
밀언왈 옴 디-따 마니 바즈라 바나마
密言曰:唵 底瑟奼 麽尼(上) 跋日囉(二合) 鉢娜麽(二合)
능히 심월륜을 원만하고 매우 청정히 하고서
그 속에 묘한 연꽃이 있다 생각하고 그 위에 보금강을 안치하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디-따 마니 바아라 바나마
인량동허공 주편어삼계 부송차묘언 금강어리성
引量同虛空 周遍於三界 復誦此妙言 金剛語離聲。
옴 살바 라 마니 바즈라 바나마
唵 薩頗(二合上)羅 麽尼(上) 跋日囉(二合) 鉢娜麽(二合)
그 크기를 점점 허공같이 크게 하여 삼계에 두루하게 한 다음
다시 다음과 같은 묘언을 염송하되 소리 내지 않고 금강어로 하라.
옴 살바라 마니 바아라 바나마
금강어 - 금강염송(金剛念誦)과 같음. 소리를 내지 않고 오직 마음속으로 묵념(黙念)하는 것을 말한다.
어차인묘련 류방천광염 일일광명중 무량불찰토
於此引妙蓮 流放千光焰 一一光明中 無量佛剎土。
찰중유묘련 상지보연자 지보연승당 당중출묘성
剎中有妙蓮 想持寶蓮者 持寶蓮勝幢 幢中出妙聲。
수유박복자 당만일체원 주시적삼매 위리제유정
誰有薄福者 當滿一切願 住是寂三昧 爲利諸有情。
여시보살류 개주어등인 종련화태장 방천묘광명
如是菩薩類 皆住於等引 從蓮花胎藏 放千妙光明。
개위리중생 단바라밀등 변입제삼매 이취선교문
皆爲利衆生 檀波羅蜜等 遍入諸三昧 理趣善巧門。
위민념유정 작무량방편 화신위종종 종생급열반
爲愍念有情 作無量方便 化身爲種種 從生及涅槃。
전대묘법륜 개종의보출 소설지묘법 개이륜성취
轉大妙法輪 皆從意寶出 所說之妙法 皆以輪成就。
이륜위묘지 능단제결사 유전묘법륜 차위복지로
以輪爲妙智 能斷諸結使 由轉妙法輪 此爲福智路。
차개정관찰 점렴기지련
次皆正觀察 漸斂其智蓮。
밀언왈 옴 싱하라 마니 바즈라 바나마
密言曰:唵 僧訶囉 麽尼 跋日囉(二合) 鉢娜麽
이에 묘한 연꽃이 펴져서 천 가지 불꽃 광명이 흘러 퍼지니
낱낱의 광명 가운데 한량없는 불국토가 있느니라.
불국토 가운데 묘한 연꽃 있으니 보배연꽃 지닌 이가 보배연꽃과 수승한 깃발을
지니시고 깃발 가운데서 묘한 소리 가 나온다고 생각하라.
박복한 자라도 누구든 마땅히 모든 소원을 들어주리니
이 고요한 삼매에 머무는 것은 모든 유정(有情:衆生)을 이롭게 하기 위함이로다.
이와 같이 보살들이 모두 선정에 머물러
연화태장으로부터 천 가지 묘한 광명을 내느니라.
모두 유정을 이롭게 하기 위하여 단바라밀(檀波羅蜜:布施波羅蜜) 등을 행하고
모든 삼매에 두루 들어가 이취선교문(理趣善巧門)을 행하며
유정들을 불쌍히 여기어 한량없는 방편을 행하여서
온갖 몸으로 화현하길 태어나면서 열반할 때까지 하며
크고 묘한 법륜을 굴려 모든 것을 여의보주로부터 내놓듯
설한 바 묘법을 모두 법륜으로써 성취하도다.
법륜으로써 묘한 지혜 삼아 능히 모든 번뇌[結使]를 끊으니
묘한 법륜 굴림으로 말미암아 이것이 복과 지혜의 길이 되도다.
이어 모두 바르게 관찰하여서 점차 그 지혜의 연꽃을 거두어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싱하라 마니 바아라 바나마
소재제여래 개입위일체 유여어명경 능현어만상
所在諸如來 皆入爲一體 猶如於明鏡 能現於萬像。
법계자체성 주어금강연 즉변기보연 위진다보살
法界自體性 住於金剛蓮 卽變其寶蓮 爲眞多菩薩。
수지여의보 육비신금색 개상어자신 정계보장엄
手持如意寶 六臂身金色 皆想於自身 頂髻寶莊嚴。
관좌자재왕 주어설법상 제일수사유 민념유정고
冠坐自在王 住於說法相 第一手思惟 愍念有情故。
제이지의보 능만일체원 제삼지념주 위도방생고
第二持意寶 能滿一切願 第三持念珠 爲度傍生苦。
좌안광명산 성취무경동 제이지련수 능정제비법
左按光明山 成就無傾動 第二持蓮手 能淨諸非法。
제삼설륜수 능전무상법 육비광박체 능유어육도
第三挈輪手 能轉無上法 六臂廣博體 能遊於六道。
이대비방편 단제유정고 행자여시관 좌어월륜중
以大悲方便 斷諸有情苦 行者如是觀 坐於月輪中。
신류천광명 항배개원광 부상심월륜 역유보연화
身流千光明 項背皆圓光 復想心月輪 亦有寶蓮花。
이시능견고 무동관이신 위리제망상 송차밀언왈
以是能堅固 無動觀已身 爲離諸妄想 誦此密言曰:
옴 니리 다 디-따 라다나 바즈라 바나마 다마 구 함
唵 儞哩(二合)茶(去) 底瑟姹(二合) 囉怛娜 跋日囉(二合) 鉢娜麽(二合) 怛麽(二合) 句 唅
삼마유 함 마하 삼마유 함 살바다타아다 피삼보디 라다나 바즈라
三摩喩 唅 摩訶 三摩喩 唅 薩婆怛他孽多 避三菩地 囉怛娜 跋日囉(二合)
바나마 다마 구 함
鉢娜麽(二合) 怛麽(二合) 句 唅
모든 곳의 모든 여래께서 모두 들어가 한 몸이 되시니
마치 밝은 거울이 능히 만상을 나타내는 것 같도다.
법계의 자성체로서 금강연꽃에 머무르니
곧 그 보배연꽃 변하여 진다보살(眞多菩薩:여의륜관자재보살)이 되나니
손에 여의보 잡고 여섯 개의 팔에 몸은 금색이로다.
모두 자신의 정계를 보배로 장식하고서
관에는 자재왕께서 앉아 계시며 설법상에 머문다고 생각하라.
(오른쪽) 첫째 손은 사유를 지으니 유정을 불쌍히 생각하는 까닭이며
둘째 손에는 여의보주를 지니니 능히 모든 소원 만족시키고
셋째 손에는 염주를 들었으니 방생(傍生:畜生)의 고통을 구제하기 위함이로다.
왼쪽 (첫째) 손으로는 광명산을 눌러 기울거나 움직이지 않게 하고
둘째 손은 연수를 지녀 능히 모든 비법을 깨끗이 하며
셋째 손은 윤수를 맺어 능히 무상법을 굴리도다.
여섯 개의 팔에 넓고 큰 몸체가 능히 6도를 다니면서
대비의 방편으로 모든 유정의 고통을 끊느니라.
수행자는 이와 같이 관하되 월륜 가운데 앉으면
몸에서 천 가지 광명이 흐르고 목 뒤에 모두 원광이 있으며
다시 심월륜을 생각하되 역시 보배연꽃 있어
이로써 능히 견고히 하여 동요 없이 자신을 관하라.
모든 망상을 없애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밀언을 염송하라.
옴 니리다 디-따 라다나 바즈라 바나마 다마 구 함 삼마유 함 마하 삼마유 함
살바다타아다 피삼모디 라다나 바즈라 바나마 다마 구 함
사유 - 사유수(思惟手)는 뺨에 손을 대고 생각에 잠겨 있는 모습을 말한다.
이차법가지 십도부용합 진력굴여보 인심액후정
以此法加持 十度芙蓉合 進力屈如寶 印心額喉頂。
훔자상어심 다라안어액 하리당후상 아자치어정
吽字想於心 怛囉安於額 紇哩當喉上 惡字置於頂。
유포차상고 차신여금강 부송차밀어 연화어위성
猶布此想故 此身如金剛 復誦此密語 蓮花語爲聲。
옴 라다나 바즈라 달마 하리
唵 囉怛娜 跋日囉(二合) 達磨 紇哩(二合)
이 법으로 가지할지니 열 손가락으로 부용합장하여
두 집게손가락을 보배 모양과 같이 구부리고
가슴과 이마와 목과 정수리에 닿게 하되
훔(吽)자를 가슴에 놓고 다라(怛囉)자는 이마에 놓고
하리(紇哩)자는 목 위에 놓고 악(惡)자는 정수리에 놓는다고 생각하라.
이렇게 놓는다 생각하는 까닭에 그 몸이 금강과 같이 되리니
다시 다음과 같은 밀어를 염송하되 소리 내어 연화어로 하라.
옴 라다나 바즈라 달마 하리
연화어 - 연화염송(蓮花念誦)과 같다. 소리가 자신의 귀에 들리도록 염송하는 것을 말한다.
차응결관정 지자합연장 진력여보형 선지개상원
次應結灌頂 智者合蓮掌 進力如寶形 禪智開相遠。
치액송밀어 심상불관정
置額誦密語 心想佛灌頂。
옴 바나마 필리 구지다 디 라다나 바나마 피 새계라
唵 鉢娜麽(二合) 苾哩 俱胝多(入)致 囉怛娜 鉢娜麽(二合) 避(入)曬罽囉
아피션 자 맘 다락
阿避詵(去)者 𤚥 怛洛
다음으로 마땅히 관정인을 맺을지니 지자는 연화합장을 한 다음
두 집게손가락은 보배 모양으로 하고 두 엄지손가락은 벌려 서로 가까이 하고서
이마에 놓고 밀어를 염송하며 마음으로 부처님께서 관정하신다고 생각하라.
옴 바나마 필리구지다 디라다나 바나마 피새계라 아피션자 맘 다락
즉이차묘인 이수분양변 여계연화만 서서전하산 상수백대세
卽以此妙印 二手分兩邊 如繫蓮花鬘 徐徐前下散 想垂白帶勢。
송차묘언왈 옴 바나마 마례 맘 하리 다락
誦此妙言曰:唵 鉢那麽(二合) 麽隸(平) 𤚥 紇哩 怛洛
곧 이 묘인(妙印:灌頂印)의 상태에서 두 손을 양쪽으로 나누어
마치 연화만을 엮듯 하고서 서서히 앞쪽으로 내리며 벌려
백대13)를 드리우는 형세를 생각하며 다음과 같은 진언을 염송하라.
옴 바나마 마례 맘 하리 다락
백대 - 조례(弔禮)나 제례(祭禮) 때에 두르던 하얀 띠를 말한다.
차당결갑개 이수연화형 종심요향배 종배당제요
次當結甲鎧 二手蓮花形 從心繞向背 從背當臍繞。
향요급양슬 점상요경후 종경부당후 부어두후요
向腰及兩膝 漸上繞頸後 從頸復當喉 復於頭後繞。
환래지액상 각어항후요 서서전하산 송차비밀언
還來至額上 卻於項後繞 徐徐前下散 誦此秘密言
옴 아바예 바나마 가 맘 바제 만다라 가사 맘 훔 함
唵 阿婆曳(平) 鉢娜麽(二合)迦 𤚥 嚩制(平)滿馱囉 訖灑(二合) 𤚥 吽(合口) 唅(平)
이어 마땅히 갑개인[甲鎧]을 맺을지니 두 손을 연꽃 모양으로 하여
가슴에서 등 쪽으로 두른 다음 마땅히 등에서 배꼽으로 두르고
허리와 양 무릎을 향하였다가 점차 올려 목 뒤로 두르고
목에서 다시 목구멍에 대었다가 다시 머리 뒤로 두르고
다시 이마 위로 왔다가 다시 정수리 뒤로 두른 다음
서서히 앞에서 내리면서 푸느니라.
다음과 같은 비밀언을 염송하라.
옴 아바예 바나마 가맘바제 만다라가사 맘 훔 함
위희제불고 응박연화인 이수결연장 묘박령환희
爲喜諸佛故 應拍蓮花印 二手結蓮掌 妙拍令歡喜。
밀언왈 옴 바나마 도사 곡
密言曰:唵 鉢娜麽(二合) 睹使 穀(引)
모든 부처님을 기쁘게 해드리기 위하여 마땅히 연화인으로 칠지니
두 손으로 연화합장을 맺은 다음 묘하게 쳐서 환희하시도록 하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나마 도사 곡
상어기신전 관하리자문 변위연화왕 중유하리자
想於己身前 觀紇哩字門 變爲蓮花王 中有紇哩字。
다라안양변 위금강보련 공변위소존 지진다묘보
怛羅安兩邊 爲金剛寶蓮 共變爲所尊 持眞多妙寶。
여전기신관 금소관역연 위령체무이 차작호소법
如前己身觀 今所觀亦然 爲令體無二 次作呼召法。
십도미부련 진력여구세 즉송차밀어 응위련화음
十度未敷蓮 進力如鉤勢 卽誦此密語 應爲蓮花音。
옴 바나마 지나나 나 구샤 훔
唵 鉢娜麽(二合) 摯拏那(二合下同) 曩(張口引) 句捨 吽(合口引)
옴 바나마 기아 나 보사비 훔
唵 鉢娜麽(二合) 枳惹(二合)娜 補瑟比 吽
자기의 몸 앞에 두고 생각하되 하리(紇哩)자문이
변하여 연화왕이 되고 그 속에 하리(紇哩)자가 있다고 관하라.
다라(怛羅)자를 양쪽 끝에 안치하여 금강보련이 되고
그 둘이 변하여 소존이 되어 진다묘보(眞多妙寶:여의마니보주)를 지녔다고 관하라.
앞에서 자신을 관한 것처럼 지금 관하는 것 역시 그렇게 하여
본체와 다름이 없게 하고서 이어 불러들이는 법[呼召法]을 지을지니
열 손가락[十度]을 아직 피지 않은 연꽃[未敷蓮]처럼 합장하고
두 집게손가락[進ㆍ力]을 갈고리 모양처럼 하라.
그리고는 다음과 같은 밀언을 염송하되 마땅히 연화음으로 하라.
옴 바나마 지나나 나 구샤 훔 옴 바나마 기아나 보사비 훔
행자기소기 차당결색인 여전합연장 진력주여환
行者旣召己 次當結索印 如前合蓮掌 進力拄如環。
차명련화색 능만제의원 응송차밀어 소입어지신
此名蓮花索 能滿諸意願 應誦此密語 召入於智身。
옴 바나마 지나나 아모카 바샤 훔
唵 鉢娜麽(二合) 至拏那 阿母伽 跛捨 吽(合口引)
수행자가 이미 불렀으면 이어 마땅히 삭인(索印)을 맺을지니
앞에서와 같이 연화합장을 하되 두 집게손가락을 둥근 고리처럼 만들라.
이 인을 연화삭이라 이름하니 능히 모든 소원을 이루어 주느니라.
마땅히 다음과 같은 밀어를 염송하여 지신(智身) 안으로 불러들여야 하느니라.
옴 바나마 지나나 아모카 바샤 훔
기입어지신 위령무경동 부당결연쇄 응작결정심
旣入於智身 爲令無傾動 復當結蓮鎖 應作決定心。
여전합련장 진선념여환 력지역부연 상결여구쇄
如前合蓮掌 進禪捻如環 力智亦復然 相結如鉤鎖。
옴 바나마 지나나 사포 타 훔
唵 鉢娜麽(二合) 至拏那 塞怖(二合)咤 吽
이미 지신(智身)을 불러들였으면 기울어지거나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다시 연화쇄인[蓮鎖]을 맺어야 할지니 마땅히 굳은 믿음[決定心]을 가지고 하라.
앞에서와 같이 연화합장을 하되 오른손의 검지와 엄지[進ㆍ禪]를
둥근 고리 모양으로 집고 왼손의 검지와 엄지[力ㆍ智]도 역시 그렇게 하여
서로 엮어서 고리 사슬[鉤鎖]처럼 하라.
옴 바나마 지나나 사포타 훔
위령묘환희 결연화령인 당이연화봉 선지입장중 진력여환주
爲令妙歡喜 結蓮花鈴印 當以蓮花捧 禪智入掌中 進力如環住。
송차비밀어 옴 지나나 바나마 아미사야 훔
誦此秘密語:唵 至拏娜 鉢娜麽(二合) 阿尾捨耶 吽
묘하게 환희하시도록 하기 위하여 연화령인(蓮花鈴印)을 맺을지니
마땅히 연화합장을 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안에 넣고
집게손가락을 둥근 고리처럼 하여 맞대어라.
그리고는 다음과 같은 비밀어를 염송하라.
옴 지나나 바나마 아미샤야 훔
차당송연화 백자비밀언 봉헌알가수 以鬱金白檀
次當誦蓮花 百字秘密言 捧獻閼伽水 以鬱金白檀。
용뇌겸제화 량수봉공양
龍腦兼諸花 兩手捧供養。
옴 바나마 사다바 삼마야 마노바라 야 바나마
唵 鉢娜麽(二合) 薩怛嚩(二合) 三摩也(平) 麽努播羅(去)也(平) 鉢娜麽(二合)
사다바 뎨미 노바 디따- 니리 나호 매 바바
薩怛嚩(二合)帝尾(二合)努波 底瑟姹(二合) 儞哩(二合)拏護(二合)寐(平)婆嚩
소도사유 매바바 아노라구도매바바 소보사유 매바바 살바싣디미이
素睹瑟諭(二合)寐婆嚩 阿努囉矩睹寐婆嚩 素補瑟諭(二合)寐婆嚩 薩婆悉地弭異(二合)
바라야차 살바갈마 소자몌지다시리 약구로 훔 하
鉢羅也磋(昌苛反) 薩婆羯麽 素者迷止多室利(二合)藥矩路(三合) 吽(合口引) 訶(去下同)
하 하 하 곡 바가범 살바다타아다 바나마 마매민자 바나매바바 마하
訶 訶 訶 穀 婆伽梵 薩婆怛他孽多 鉢娜麽(二合)麽寐悶者(平) 鉢娜寐婆嚩 麽訶
삼마야 사다바 하리
三麽也 薩怛嚩(二合) 紇哩(二合)
다음으로 마땅히 연화의 백자비밀언을 염송하며
알가수(閼伽水:佛ㆍ菩薩께 供養하는 물)를 봉헌하고
울금향과 백단향과 용뇌향과 온갖 꽃을 두 손으로 받들어 공양하라.
옴 바나마 사다바 삼마야 마노바라야 바나마 사다바뎨미노바 디따-
니리나호매바바 소도사유매바바 아노라구도매바바 소보사유매바바 살바싣디미이
바라야차 살바갈마 소자몌지다 시리 약구로 훔 하 하 하 하 곡 바가범
살바다타아다 바나마마매민자 바나매바바 마하 삼마야 사다바 하리
차이내외공 공양련화왕 소위내공양 부용장당심
次以內外供 供養蓮花王 所謂內供養 芙蓉掌當心。
선지병신직 명위련화희
禪智竝伸直 名爲蓮花喜。
응송차밀언 옴 지나 나 바나마 라셰 훔
應誦此密言:唵 摯拏(二合)那 鉢娜麽(二合) 囉細(引) 吽
이어 내외의 공양으로 연화왕께 공양드릴지니
이른바 내공양이란 부용합장을 하여 가슴에 놓고
엄지손가락[禪ㆍ智]을 둘 다 곧게 펴는 것이니 이름하여 연화희라 하노라.
마땅히 다음과 같은 밀언을 염송하라.
옴 지나나 바나마 라셰 훔
차결화만인 이차이공양 불역전희인 이수봉향전
次結花鬘印 以此而供養 不易前喜印 二手捧向前。
상종종보만 편만허공계
想種種寶鬘 遍滿虛空界。
밀언왈 옴 지나 나 바나마 마례 훔
密言曰:唵 摯拏(二合)娜 鉢娜麽(二合) 麽隸 吽
이어 화만인(花鬘印)을 맺고 이로써 공양하되
앞의 연화희인[喜印]을 고치지 않은 채 두 손을 앞쪽으로 받들고서
온갖 보만이 허공계에 가득 찼다고 생각하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지나나 바나마 마례 훔
차응이가인 봉헌지련자 부이전묘인 굴장괘제도
次應以歌印 奉獻智蓮者 復以前妙印 屈掌挂諸度。
종제점지구 산하여사세 상긴나라음 공양제성자
從臍漸至口 散下如寫勢 想緊那羅音 供養諸聖者。
밀언왈 옴 지나 나 바나마 여 뎨 훔
密言曰:唵 摯拏(二合)那 鉢娜麽(二合) 儗(硏以反)帝(平) 吽
이어 마땅히 가인(歌印)으로써 지련자(智蓮者)께 봉헌할지니
다시 앞의 묘인 상태에서 손바닥을 구부려 모든 손가락을 맞대어 붙이고
배꼽에서 점차 입으로 이르게 한 다음
손가락을 흩어서 아래로 쏟아 붓듯이 하면서
긴나라의 소리로 모든 성자께 공양한다고 생각하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지나나 바나마 여뎨 훔
차응결무인 전인좌우선 합부용묘장 안어정상산
次應結舞印 前印左右旋 合芙蓉妙掌 安於頂上散。
유시사공양 능획대신통
由是四供養 能獲大神通。
밀언왈 옴 지나 나 바나마 니리 뎨 훔
密言曰:唵 摯拏(二合)娜 鉢娜麽(二合) 儞哩(二合)帝(平) 吽
이어 마땅히 무인(舞印)을 맺을지니 앞의 인을 좌우로 돌리고
부용묘장으로 합장하여 정수리 위에 놓았다가 푸느니라.
이 네 가지 공양으로 말미암아 능히 큰 신통을 얻으리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지나 나 바나마 니리 뎨 훔
네 가지 공양 - 앞의 연화희인(蓮花喜印)ㆍ화만인(花鬘印)ㆍ가인(歌印)ㆍ무인(舞印)을 말한다.
작차사공양 능성최승사 차결외공양 희심이헌지
作此四供養 能成最勝事 次結外供養 喜心而獻之。
운심무변계 연화분향법 제불성언설 위리제유정
運心無邊界 蓮花焚香法 諸佛誠言說 爲利諸有情。
연장향하산 유여분향세 송차비밀언 상향운공양
蓮掌向下散 猶如焚香勢 誦此秘密言 想香雲供養。
주변허공계 공양제성중
周遍虛空界 供養諸聖衆。
옴 바나마 지나 나 도볘 훔
唵 鉢娜麽(二合) 摯拏(二合)娜 度閉(平) 吽
이 네 가지 공양을 지으면 가장 수승한 일을 이룰 수 있나니
이어 외공양을 맺어 기쁜 마음으로 봉헌하라.
마음으로 끝없는 세계에 연화분향법을 행할지니
모든 부처님의 성실한 말씀 모든 유정(有情:衆生)을 이롭게 하시기 위함이니라.
연화합장을 아래쪽으로 향하고 풀되 마치 분향하는 모습과 같이 하고
다음과 같은 비밀언을 염송하며
구름과 같이 많은 향[香雲]으로 공양한다고 생각하되
허공계에 두루 가득하게 하여 모든 성중께 공양한다고 생각하라.
옴 바나마 지나나 도볘 훔
차응결화인 이삼십이상 장엄제여래 관묘색화운
次應結花印 以三十二相 莊嚴諸如來 觀妙色花雲。
운심변일체 여전합련장 상산여화세 공양제여래
運心遍一切 如前合蓮掌 上散如花勢 供養諸如來。
급제선서자 상만허공계 화운묘분복 겁수극단엄
及諸善逝子 想滿虛空界 花雲妙芬馥 劫樹極端嚴。
송차비밀어 삼업제운용
誦此秘密語 三業齊運用。
옴 바나마 지나 나 보사볘 훔
唵 鉢娜麽(二合) 摯拏(二合)娜 補瑟閉(平) 吽
이어서 마땅히 화인을 맺을지니 32상으로 장엄하신 모든 여래의
묘색의 화운을 관하되 마음으로 모든 것에 두루한다고 생각하라.
앞에서와 같이 연화합장을 하되 위를 향해 풀어 꽃모양처럼 하고
모든 여래와 모든 선서자께 공양을 드리느니라.
허공계에 구름과 같이 많은 꽃의 묘한 향내와
극히 단엄한 보배나무[劫樹]가 가득하다 생각하고
다음과 같은 비밀어를 염송하여 3업을 일제히 조화롭게 운용하라.
옴 바나마 지나나 보사볘 훔
중생무명복 리어지혜광 위피정제고 응결지등인
衆生無明覆 離於智慧光 爲彼淨除故 應結智燈印。
이전연화장 선지수상핍 심상마니등 변조허공계 소출무량광
以前蓮花掌 禪智豎相逼 心想麽尼燈 遍照虛空界 所出無量光。
송차밀언왈 옴 바나마 지나 나 니 볘 훔
誦此密言曰:唵 鉢娜麽(二合) 摯拏(二合)那 儞(儞熠反)閉 吽
유정이 무명에 덮여 지혜의 빛을 여의었으니
깨끗이 없애기 위해서는 마땅히 지등인(智燈印)을 맺어야 하느니라.
앞의 연화합장 상태에서 두 엄지손가락[禪ㆍ智]를 세워 서로 가까이 붙이고
마음으로 생각하길 마니등이 허공계에 두루 비추어
한량없는 광명을 놓는다고 하며 다음과 같은 밀언을 염송하라.
옴 바나마 지나나니볘 훔
지자차응결 해탈도향인 위정중생고 헌차시라향
智者次應結 解脫塗香印 爲淨衆生故 獻此尸羅香。
이수산련장 당심도향세 십도성훈습 향해편허공 헌불급소존
二手散蓮掌 當心塗香勢 十度成熏習 香海遍虛空 獻佛及所尊。
송차비밀어 옴 바나마 지나 나 안디 훔
誦此秘密語:唵 鉢娜麽(二合) 摯拏(二合)娜 巘提 吽
지자(智者)는 다음으로 마땅히 해탈도향인을 맺을지니
유정을 깨끗이 하기 위해 이 시라향(尸羅香:戒香)을 봉헌하라.
두 손으로 연화합장을 풀어 가슴에 향 바르는 형세로 놓으면
열 손가락[十度]이 훈습하여 향해가 허공에 두루할지니
부처님과 소존께 봉헌하고 다음과 같은 비밀어를 염송하라.
옴 바나마 지나나 안디 훔
내외공양이 연후응순념 결비밀본인 이대밀언왕
內外供養已 然後應順念 結秘密本印 以對密言王。
선송근본언 분명칠편이 평장당어심 인원여련화
先誦根本言 分明七遍已 平掌當於心 忍願如蓮花。
진력마니상 여도진여당 송근본밀언 사만유정원
進力摩尼狀 餘度盡如幢 誦根本密言 思滿有情願。
밀언왈 나마 라다나다라야야 나막 아리야 바로기뎨 새바라야
密言曰:娜麽 囉怛娜怛囉夜也 那莫 阿唎耶 嚩嚕吉帝 濕伐囉耶
모디사다바 야 마하사다바 야 마하가로니가야 다냐 타
菩地薩怛嚩(二合)耶 麽訶薩怛嚩(二合)耶 麽訶迦路尼迦耶 怛姪(你也反)他
옴 자가라 말저진다마니 마하 바나몌 로 로 디- 타 즈바라
唵 斫迦囉 靺低眞多末尼 麽訶 鉢娜迷 嚕 嚕 底(丁以反)瑟姹(二合) 入嚩攞
아가리사 야 훔 바닥 사바 하
阿迦哩灑(二合)耶 吽 泮咤 薩嚩(二合)訶
내외의 공양을 마치면 그 다음에는 마땅히 순념하여
비밀스러운 근본인을 맺고 밀언왕을 대하여야 하느니라.
먼저 근본밀언을 또렷이 일곱 번 외운 다음
손바닥을 펴서 가슴에 대고 두 가운뎃손가락[忍ㆍ願]을 연꽃처럼 하느니라.
이어 두 집게손가락[進ㆍ力]을 마니의 모양으로 하고
나머지 손가락은 모두 깃대[幢]처럼 하고는 근본밀언을 외우며
유정(有情:衆生)의 소원을 충족시키길 생각하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나마 라다나다라야야 나막아리야 바로기뎨새바라야 모디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니가야 다냐타 옴 자가라 말저진다마니 마하바나몌
로 로 디-타 즈바라 아가리사야 훔 바닥 사바하
차결심비밀 의전근본인 계방단혜박 명위본심인
次結心秘密 依前根本印 戒方檀慧縛 名爲本心印。
일체제의원 응심지소념 유결차인고 개실득성취
一切諸意願 應心之所念 由結此印故 皆悉得成就。
밀언왈 옴 바나몌 진다마니 즈바라 훔
密言曰:唵 鉢娜迷 眞多麽抳 入嚩攞 吽
이어 심비밀인을 맺을지니 앞의 근본인(根本印:秘密本印)의 상태에서
두 약손가락[戒ㆍ方]과 두 새끼손가락[檀ㆍ慧]을 각기 엮으면
이를 본심인이라 하느니라.
일체의 모든 바라는 소원을 마땅히 마음으로 생각할지니
이 인을 맺는 까닭에 모두 다 성취되느니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나몌 진다마니 즈바라 훔
차결수심인
次結隨心印。
이수견고박 진력마니형 선지병이신 계방역서직
二手堅固縛 進力摩尼形 禪智竝而伸 戒方亦舒直。
단혜상교수 송차심중심
檀慧相交豎 誦此心中心。
밀언왈 옴 마라나 바나몌 훔
密言曰:唵 末囉娜 鉢娜迷 吽
이어 수심인을 맺을지니 두 손을 견고하게 엮은 다음
두 집게손가락을 마니 모양으로 하고 두 엄지손가락은 모두 펴느니라.
이어서 두 약손가락을 역시 곧게 편 다음
두 새끼손가락을 서로 교차시켜 세우고는 이 심중심 밀언을 염송하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마라나 바나몌 훔
차상존구중 류출비밀언 분명성자도 오색광조요
次想尊口中 流出秘密言 分明成字道 五色光照曜。
간착수승색 입어유기구 렬심월륜중 형여홍파려
閒錯殊勝色 入於瑜歧口 列心月輪中 瑩如紅頗黎。
일일제사유 순리수각오 주정이수습 입어아자문
一一諦思惟 順理隨覺悟 住定而修習 入於阿字門。
즉입륜자관 개변관제자 차명삼매념 획지급해탈
卽入輪字觀 皆遍觀諸字 此名三昧念 獲智及解脫。
유차상응고 불치성종지 약상성순념 최승묘기특
由此相應故 不夂成種智 若常聲順念 最勝妙奇特。
주어본존관 불응급조심 불고역불하 불완역불급
住於本尊觀 不應急躁心 不高亦不下 不緩亦不急。
지자리분별 급제망상심 약송락차편 소구개실지
智者離分別 及諸妄想心 若誦洛叉遍 所求皆悉地。
이수지념주 파지여연자 라주급여보 무하광호자
二手持念珠 頗胝與蓮子 螺珠及餘寶 無瑕光好者。
당천일백팔 일일송칠편 심급심중심 혹비구다라
當穿一百八 一一誦七遍 心及心中心 或毘俱多羅。
작차법가지 천관주만이 당심일일도 여사하제성
作此法加持 穿貫珠鬘已 當心一一度 與莎訶齊聲。
일천여백팔 수력이념송 사시혹삼시 차법후야승
一千與百八 隨力而念誦 四時或三時 此法後夜勝。
여의륜경중 본교불소설 약여시수습 현세증초지
如意輪經中 本教佛所說 若如是修習 現世證初地。
과차십육생 성무상보리 하황세실지 현생부여의
過此十六生 成無上菩提 何況世悉地 現生不如意。
수력념송이 중결삼매야 부위팔공양 발견밀언주
隨力念誦已 重結三昧耶 復爲八供養 發遣密言主。
이우견고박 인원연엽형 종심지면산 정상합화장
二羽堅固縛 忍願蓮葉形 從心至面散 頂上合花掌。
상존허공중 부도환궁거
想尊虛空中 復道還宮去。
밀언왈 옴 바나마 살다바 하리 목
密言曰:唵 鉢娜麽(二合) 薩怛嚩(二合) 紇哩 穆
다음으로 생각하길 존의 입에서 비밀언이 흘러 나와
뚜렷이 자도를 이루고 오색 광명이 밝게 비춘다고 여기고
고운 빛이 서로 섞여 수행자[瑜岐]의 입으로 들어가
심월륜 가운데 늘어선 것이 마치 홍색 파려(頗黎)와 같이 빛난다고 여겨라.
낱낱이 자세히 생각하고 이치에 따르며 깨달음에 따르되
정에 머물러 닦고 익혀서 아(阿)자문에 들어가고
곧 윤자관에 들어가 모든 글자 두루 관하면
이를 삼매념이라 하나니 지혜와 해탈을 획득하느니라.
이렇게 상응하는 까닭에 오래지 않아 종지를 이루리니
항상 소리 내어 외우고 순념하면 가장 훌륭하고 묘하며 뛰어나게 되리라.
본존관에 머물되 조급한 마음 갖지 말지니
(목소리는) 높이지도 낮추지도 말고 느리게도 급하게도 하지 말라.
지자(智者)가 분별과 모든 망상심을 여의고
1낙차(洛叉:十萬)를 염송한다면 구하는 것 모두를 성취하리라.
두 손으로 지니는 염주는 파지(頗胝:水晶)와 연자(蓮子)와
나주(螺珠)와 그 밖의 보배 가운데 흠집이 없고 광택이 좋은 것으로
마땅히 백여덟 개를 꿰어 하나하나에 일곱 번씩
심진언과 심중심진언과 혹은 비구다라(毗俱多羅)를 염송하라.
이 법으로 가지한 다음 주만을 뚫어서 꿰고 나서
마땅히 마음으로 낱낱이 헤아리되 더불어 사바하[莎訶]를 고른 소리로
일천백여덟 번 힘닿는 대로 염송하되
네 때나 혹 세 때로 행하리니 이 법은 밤중에 행하면 좋다.
『여의륜경』의 근본 가르침 가운데 부처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으니
이와 같이 닦고 익히면 현세에 초지를 증득하고
16생이 지나 위없는 깨달음을 이루리니
어찌 세속의 실지를 현생에 뜻대로 이루지 못하리오.
힘껏 염송한 다음 거듭 삼매야인을 맺고
다시 여덟 가지를 공양하여 밀언주를 전송[發遣]하라.
두 손[二羽]을 견고하게 엮고 두 가운뎃손가락[忍ㆍ願]을 연잎 모양으로 하되
가슴에서 올려 얼굴에 이르러서는 풀고 정수리 위에서 연화합장을 하고 나서
존께서 허공에 계시다가 길을 돌려 환궁하신다고 생각하라.
밀언은 다음과 같다.
옴 바나마 사다바 하리 목
실지 - 밀교에서 진언(眞言) 따위를 외움으로써 성취하는 묘과(妙果)를 말한다.
발견성자이 자주본존관 혹어한정처 전독마하연
發遣聖者已 自住本尊觀 或於閑靜處 轉讀摩訶衍。
능가여화엄 반야급이취 여시등경교 사유이수습
楞伽與花嚴 般若及理趣 如是等經教 思惟而修習。
송독경전이 자자행주좌 내지어매식 불간보리심
誦讀經典已 自恣行住坐 乃至於寐息 不閒菩提心。
불치당실지 금강장소설 차대비궤의 불택일급숙
不夂當悉地 金剛藏所說 此大悲軌儀 不擇日及宿。
시식여조욕 약정여부정 상응불간단 원리어산란
時食與澡浴 若淨與不淨 常應不閒斷 遠離於散亂。
공한적정처 불영제세무 념필발서원 결삼매야인
空閑寂靜處 不營諸世務 念畢發誓願 結三昧耶印。
례불보살이 수의이경행
禮佛菩薩已 隨意而經行。
성자를 전송한 다음 스스로 본존관에 머물되
혹 조용한 곳에서 대승경전(大乘經典:摩訶衍)과
『능가경』ㆍ『화엄경』과 『반야경』과 『이취경』 등을 전독할지니
이와 같은 경교를 사유하고 닦아 익혀라.
경전을 독송한 다음 자재하게 가거나 머물거나 앉거나
나아가서 휴식할 때에도 보리심이 끊이지 않게 하면
오래지 않아 실지를 이루리라.
금강장께서 말씀하신 이 대비의 궤의를
일진[日]이나 별자리[宿]를 따지지 말고 먹을 때나 목욕할 때나
깨끗하거나 부정하거나 항상 그침이 없이
산란함 멀리 여의고 한적하고 고요한 곳에서
모든 세상의 일[世務]을 벗어나 염하라.
염하기를 마치면 서원을 낼지니 삼매야인을 맺고
부처님과 보살께 예배하고 나서 뜻대로 경행하라.
관자재보살여의륜유가 일권 병오세 고려국 대장도감봉 칙조조
觀自在菩薩如意輪瑜伽 一卷 丙午歲 高麗國 大藏都監奉 勅雕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