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로 사용되는 방식:
PI (폴리이미드) 적층 + Laser Via + Cu 전해도금 또는 CMP 정련
🧱 2. 기본 구조 (예시) Cu / PI (build-up layer 2) ↑ Cu / PI (build-up layer 1) ↑ Core Layer (PI + Cu)
각 Build-up Layer는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형성됨:
PI 절연층 형성 (도포 or 필름 라미네이션)
Laser Drilling (Micro Via)
Cu Seed Layer 형성 (Sputtering)
Cu 전해 도금 (via & trace 형성)
패턴 에칭
🔁 3. FPCB Build-up 공정 순서
단계 설명
① Core Layer 준비 | PI + Cu foil로 된 기본 구조 |
② 절연층 증착 | PI 또는 특수 절연재 도포, 라미네이션 |
③ Laser Via 가공 | CO₂/UV 레이저로 미세 홀 형성 (30~50μm급) |
④ 구리 시드층 형성 | Sputtering 등으로 얇은 구리막 증착 |
⑤ 전해도금 | Via 채움 및 Trace 전기 도금 |
⑥ 패턴 형성 | 포토레지스트 + 에칭으로 미세 회로 형성 |
⑦ 반복 | 필요한 층수만큼 Build-up 반복 |
🧪 4. 기술적 특성 및 장점
항목 설명
🎯 고밀도 배선 | L/S (Line/Space) 30μm 이하 구현 가능 |
🔌 Micro Via 가능 | 30~50μm Laser Microvia 구현 가능 |
🧱 얇은 두께 | 전체 두께 수백 μm 이내로 얇게 제작 가능 |
🔁 플렉시블 유지 | 굽힘성 유지하면서도 고층화 가능 |
🔧 설계 자유도↑ | 라우팅 유연성 향상, 고기능 집적 가능 |
📦 5. Build-up FPCB 주요 적용 분야
분야 예시
📱 모바일 | 디스플레이 COF, 카메라 모듈, 배터리 FPCB |
🧠 반도체 패키지 | Substrate-like FPCB, 고밀도 인터포저 |
🚗 자동차 | 센서 및 제어용 연성보드 |
🏥 의료기기 | 웨어러블/초소형 의료기판 |
💻 IT 기기 | Foldable 기기, 초슬림 기판 등 |
⚠️ 참고: 일반 FPCB vs Build-up FPCB
구분 일반 FPCB Build-up FPCB
층수 | 1~4층 | 4~10층 이상 |
Via 방식 | PTH 위주 | Laser Microvia |
회로폭 | 보통 (≥50μm) | 미세 (≤30μm) |
적용 | 일반 전자기기 | 고집적 반도체/모바일 |
필요하시면 Build-up용 소재 추천, 공정 설비 흐름도, COF용 Build-up 구조 예시도 제공해드릴 수 있습니다. 더 자세히 보고 싶은 항목이 있으실까요?
첫댓글 보라...기술은 다 개방되어 있다....그것을 모르고 쪼끔 아는것 가지고 잘난체하며 아랫사람들 하대 하는 자들이....대체 관리자로써
자질이 있단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