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들~! SELF교육학 최원휘입니다.
합격자 발표를 앞두고 긴장과 기대가 공존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이번 교육학 시험의 경우 응시자의 입장에서 섣불리 정답을 예측하기 어려웠었는데, 소위 지통이라 불리는 확인되지 않은 내용들로 선생님들의 불안감을 더욱 더 증폭시켰던 것 같네요.
저 역시도 괜히 선생님들의 마음을 불편하게 할까 걱정스럽다보니 제 의견을 말씀드리기 조심스러웠는데,
선생님들께서 확인되지 않는 소문들로 인해 괴로워하시는 것 같아 최근 몇년간의 채점기조, 선생님들의 복기자료(총 174개)를 바탕으로 한 예상 채점기준을 만들어봤습니다.
복기자료의 경우 현장형 문제에 익숙한 수강 선생님들이 대부분이고, 그중에서도 어느정도 교육학에 자신감이 있는 선생님들이 써주신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복기자료는 수준이 높은 수강 선생님들의 답안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답안의 수준을 예측하여 채점기준을 작성하였습니다.
1. 전반적 채점 기조 : 핵심 키워드 + 논리를 갖춘 완성된 문단이면 정답으로 인정 예상
※ (감점포인트) 부연없이 키워드만 쓰는 것은 오답 예상, 또한 사례를 쓰는 문제에서 단순히 뜻 풀이(개념, 정의)만 하는 것은 그 개념이 맞다 하더라도 감점 가능
2. 소주제 1: 타일러 교육철학, 학습심리학 사례 및 이유
① "가르칠 가치". "학습할 가능성"이라는 내용이 들어가면 폭넓게 인정 예상
※ (예1) "빨래나 분리수거를 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을 교육목표로 삼을 수 없다(사례), 이는 교육적으로 가르칠만한 바람직한 가치를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이유)"
※ (예2)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개념을 가르치고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응용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사례), 왜냐하면 교육목표는 각 발달단계마다 그에 적합한 수용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이유)"
② 이러한 방식 외에도, 교육철학과 학습심리학의 의미, 필요성-의의 등으로 서술하는 경우에도 정답 인정 예상
※ (예3) "교육철학은 제1거름체로서 학생들에게 배울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바람직한 인간을 양성할 수 있다"
③ 특정 교육철학 이론, 학습심리학 이론을 쓴 경우가 있는데, 이는 출제 의도에 부합하지 않지만 부연에 "가르칠 가치, 학습할 가능성"을 제시하면 정답 인정 가능
3. 소주제 2: 조나센 모형
① 이 이론에 따르면 문제의 특성은 "맥락, 표상, 조작공간"이나, 조나센의 논문 등을 보면 문제의 특성을 구성주의의 일반적 내용 또한 서술. 따라서 "비구조적, 실제적 특징, 쉽게 풀리지 않고 학생의 능력으로 조금 더 도전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 학습자가 주도하는 문제" 등 구성주의적 특성에 맞는 설명이면 폭넓게 정답 처리 예상.
※ (감점포인트) 다만, 아무 설명없이 PBL에서 제시한 문제의 특성(복, 실, 비, 관 등)을 명칭만 제시한 경우엔 오답 처리 예상
② 교사의 역할은 코칭과 스캐폴딩이라는 명칭이 없지만 명확한 사례를 썼으면 정답 처리 예상
※ (감점포인트) 코칭과 스캐폴딩이라는 명칭만 쓴 경우엔 오답 예상
4. 소주제 3-1: 준거설정방법
① 정확한 정답은 앵고프 방법, but 이를 언급한 답안은 극소수(우리 수강 선생님들은 대부분 써주셔서 다행이네요^^).
② 따라서 "성취기준을 고려한다.", "A-B-C 등 성취별 등급이나 단계로 구분하여 학생의 성취를 고려하는 준거를 설정한다."도 정답 인정 예상
※ (감점포인트) "준거설정으로 성취기준을 구분하여야 한다." 와 같이 단순한 뜻풀이는 오답 처리 예상
5. 소주제 3-2 : 평가의 기본가정
① 정답은 잠재능력 개발 가능성. 교육평가의 대상과 자료의 무한성 등 성태제 교수님 내용(SELF교육학 기본서 258p에 있는 4가지)
② AoL, Afl, Aal, 타-신-객 등을 설명과 함께 서술하면 정답 처리 예상. 조별로 조금은 달리 채점될 가능성이 큰 부분이나 충분히 논리적이고 서술한 3가지가 중복되지 않으면 정답 처리 예상
③ 다만, 측정관, 총평관은 개념 설명이 정확해야 하는데, 특히 평가관은 모호하게 쓰신 경우가 많아서 정확하게 내용을 쓴 것(평가한 내용에 대한 교사의 가치판단 등)에만 정답 처리 예상
6. 소주제 4 : 카츠의 리더십과 사례
① 핵심은 "동료와 무엇"을 하는 역량이기 때문에 원래 정답인 인간적 기술(human skills) 외에도 이에 대한 세부 역량인 "대인관계 능력, 사회성 능력, 관계적 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모두 정답 처리 예상
② 단, 단순히 상호작용 능력, 의사결정능력은 오답 처리 예상
③ 사례는 "동료와 무엇을 하는 것"이라는 말만 들어가면 2개가 중복되지 않는한 정답 처리 예상
이 시험 결코 쉽지 않은 시험이었고, 굉장히 다양한 형태의 답안이 제출되다보니 채점도 굉장히 어려웠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에도 우리 수강선생님들께서는 큰 줄기를 놓치지 않았다는 점에서 제 강의 방향에 대한 확신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너무 걱정마시고 조금이나마 편안한 크리스마스 보내시길 바랄게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4 10:20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4 21:29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4 23:31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4 14:40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4 21:30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4 19:53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4 21:31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4 20:09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4 21:31
첫댓글 감사합니다 올해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즐거운 연말보내세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5 21:5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7 17:16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8 13:20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8 13:29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12.28 1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