庚午辛未路旁土 경오신미노방토를 살펴보자
路旁土者,大地連途,平田萬頃,禾稼賴以資生,草木由之暢茂。此乃火暖土溫,長養萬物之土也,故須假水先,乃灌滋潤之論,次第尤宜水化妙,更得金來相助,則禾稼成實。如庚午見甲申,辛未見乙酉祿,若無衝破,主早貴;天上水雨露相滋,庚午喜見丁未,辛未喜見丙午,官貴祿合之妙;澗下庚午見丁醜,貴祿交馳,辛未見丙子,化水逢生;大溪乙卯雷,能發生,此土又乙庚合化,故皆主吉;長流、大海二水以其不能灌,此土故最忌之,主凶夭。火逢霹靂,庚午見己醜,貴祿交穿,辛未見戊子,印貴朝陽,皆吉,天上火就位相生,太燥則土反不能生物,有水潤之始得,若獨見,主夭;爐中火亦燥,亦主妨壽;燈頭有屋土,方應造化,名超凡入聖,不然亦凶。見木可以發生,然有貴人祿馬則吉,刑煞沖破則凶。只有庚寅木,此土逢之大好,大林不能勝載,如土位見丙辰、丙戊、辛醜、辛未,皆吉;若庚午見辛未,辛未見庚午,二儀貴偶,無有不貴。釵釧、砂中二金可以滋助,水金水見,大吉,若命已見水,無金運,遇此金亦福;乙丑海金可山論,若得天河水助之,庚人大好。妙選有金馬嘶風格,以庚午、甲午生人得辛巳時;有馬化龍駒格,又以午生人見辰時;有哨風猛虎格,以庚辛生人得辛巳、乙巳。俱以貴論,而水、火、土、金似不相拘。
길가의 흙이라 하는 것은 길이 연이어진 大地(대지)인데 평평한 밭이 萬(만)이랑이라 곡식을 심어서 삶을 도우는 것이라 초목이 이 흙으로 말미암아 무성하게 되는 것이다 불의 따뜻하게 흙을 온화하게 하면 만물을 잘 기르는 흙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물을 먼저 빌려서 윤택하게 물댐을 논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더욱 물의 妙(묘)한 조화가 적당하다 할 것이니 거듭 金(금)이 와서 도움을 얻은즉 곡식들이 成實(성실)하게 될 것이다 만일 庚午(경오)가 甲申(갑신)을 보고 辛未(신미)가 乙酉(을유)를 보면 祿(녹)이 된다 만일 沖破(충파)가 없다면 일찍이 주로 貴(귀)하게 된다 丙午(병오)丁未(정미) 天河水(천하수)는 비와 이슬이어서 윤택하여 지는 것이니 庚午(경오)가 丁未(정미)를 보는 걸 좋아하고 辛未(신미)가 丙午(병오)를 보는걸 좋아한다 官(관)은 貴(귀)하고 祿(녹)의 합하는 妙(묘)함이 있는 것이다
丙子(병자)丁丑(정축) 澗下水(간하수)에 있어서 丙午(병오)는 丁丑(정축)을 보면 귀하게 되고 祿(녹)이 사귀어 달린다 하는 것이나니 辛未(신미)가 丙子(병자)를 보면은 물로 화하여 生(생)함을 만났다 하는 것이고 甲申(갑신)乙酉(을유) 大溪水(대계수)에 있어서 乙卯(을묘)는 우레를 능히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 흙이 또한 乙(을)과 庚(경)을 합함이 있음으로 다 주로 吉(길)하게 된다 壬辰(임진)癸巳(계사) 長流水(장유수)와 壬戌(임술)癸亥(계해) 大海水(대해수)의 두 물을 가지고 있어서는 잘 물 댈 수가 없다 그러므로 土(토)와 이런 물은 가장 꺼린다 주로 凶(흉)하고 夭折(요절)하게 된다
禍(화)에 있어서 霹靂火(벽력화)를 만나면 庚午(경오)가 己丑(기축)을 보면 귀한 祿(녹)이 서로 사귀어 뚫어졌다 하나니라 辛未(신미)가 戊子(무자)를 보면은 印性(인성)과 貴(귀)함이 되어선 아침 햇빛이라 하여 다 길하니라 戊午(무오)己未(기미) 天上火(천상화)는 자리에 나아가 상생이 되나, 크게 메마르면 흙이 도리어 만물을 生(생) 하지 잘 못한다 이럴 적에는 물의 윤택함 도움이 있어야 비로소 體得(체득)한 것이 되나니, 만일 惟獨(유독) 天上火(천상화)만 본다면 주로 夭折(요절)을 하게 된다
丙寅(병인) 丁卯(정묘) 爐中火(노중화)에는 역시 메마르게 하니 주로 壽命(수명)을 방해한다 甲申(갑신)乙巳(을사) 覆燈火(복등화)와 丙戌(병술)丁亥(정해) 屋上土(옥상토)는 바야흐로 造化(조화)에 호응 한다 할 것이니 이름하여 범인을 초월하여 聖賢(성현)에 들어간다 할 것이라 그렇지 않으면 역시 凶(흉)하다 할 것이다 木(목)을 보면 가히 生(생)을 일으킨다 할 것이니 그렇게 貴人(귀인) 祿馬(녹마)가 있으면 귀한 것이 되나니 刑殺(형살)과 沖破(충파)가 된다면 凶(흉)한 것이 된다 할 것이다 다만 庚寅(경인) 木(목)에 있어서 이 흙을 만나면 크게 좋아할 것이나 戊辰(무진)己巳(기사) 大林木(대림목)은 좋다고 謄載(등재)하질 못할 것이다 만일 흙에 자리에서 丙辰(병진)을 보고 丙戌(병술)을 보고 辛丑(신축)辛未(신미)를 보개되면은 다 길하리라
만일 庚午(경오)가 辛未(신미)를 보고 辛未(신미)가 庚午(경오)를 보면은 두 개의 거동이 貴(귀)를 짝하였다 하니 귀하지 아니함이 없나니라 庚戌(경술)辛亥(신해) 釧金(차천금)과 甲午(갑오)乙未(을미) 砂中金(사중금)의 두 개의 金(금)은 가히 윤택하게 도우는 것이라 水金(수금)이 水(수)를 보면 크게 길하다 만약 命(명)에 이미 水(수)를 보았는데 金運(금운)이 없다면 그 金(금) 역시 만나면 福(복)이 된다 할 것이니 乙丑(을축)海中金(해중금)이 山(산)으로 가히 논한다 할 것이니 만일 天河水(천하수)의 도움을 가지면 庚生(경생)人(인)이 크게 좋아한다 妙(묘)하게 選別(선별)한 것이 있으니 金馬(금마)가 바람에 우는 격이라 하는 것이 있으니 庚午(경오)로서 甲午(갑오)生人(생인)이 辛巳(신사)時(시)를 얻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말이 龍(용)으로 변하여 몰아가는 격이 있다하니 또 午生(오생)人(인)이 辰時(진시)를 보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 바람을 망보는 猛虎(맹호)格(격)이 있다 하니 庚辛(경신)生人(생인)이 辛巳(신사)와 乙巳(을사)를 얻는 것은 다 써 貴(귀)하다 논하는 것이라 水火(수화) 土金(토금)에 흡사 서로 拘 (구애)되지 않는 것 같다 할 것이다
戊申己酉大驛土 무신기유 대혁토를 살펴보자
大驛土者,堂堂大道,坦坦平途,九州無所不通,萬國無所不至,此乃位屬坤方,德乃厚載,輪天轉日,負海乘山之土也。發生萬物,以木基。戊申,長生之土,德厚無疆,見三、四木皆能滋生,己酉,自敗之土,木多則竊氣;大林合中逢沖,主夭,別木則吉,更以祿貴參之。井泉、澗下二水貴不燥,如戊申見丁醜或乙酉,己酉見丙子或甲申,謂之官貴,主吉;天河丙午而己酉得之,丁未而戊申得之,亦貴祿,主福;長流戊申見癸巳,己酉見壬辰,亦吉,多逢則不寧靜;大溪乙卯東震發生之義,單見亦吉;海水對穿,土不能勝,日時遇主夭,得山稍輕,內戊申見癸亥,戊癸合申亥,地天交泰,反吉。火見太陽、霹靂,謂之聖火,最能發生,此土如逢水助,主顯達,其於凡火,再逢木生之,更燥,主凶夭。五行見土,唯路旁最宜,屋上、壁上、砂中縱先得木,亦泯혼합,城頭有水,稍吉。命若有金,秀,吉;釵釧得辛亥,金泊得壬寅,戊申遇之,柱中更加水助,乃地天交泰,水繞휘감음山環大格,主貴,己酉見庚戌、癸卯稍次;砂金造化亦同,劍金須候木得用,不然無益。
큰 정거장에 흙이라 하는 것은 당당한 큰 길이요 평평한 길이로다 九州(구주)에 통치 아니함이 없어 萬國(만국)으로 이르지 아니함이 없나니라 자리는 坤方(곤방)에 속하고 덕은 두터움을 실었으며 하늘의 수레 해가 궁글러 가는 것이며 바다에 龍(용)을 지고 산을 실은 흙이라 만물을 발생하여 나무를 키우는 터가 된다 戊申(무신)은 長生(장생)의 흙이니 두터운 덕이 경계가 없나니라 서너게의 나무를 보면 다 능히 잘 도와서 자라게 하나니 己酉(기유)는 자연 浴敗(욕패)의 땅이나니 나무가 많다면 기운을 盜賊(도적)질 당한다 戊辰(무진)己巳(기사) 大林木(대림목)이 합한 가운데 沖(충)함을 만나면 주로 夭折(요절)한다 별도의 나무인즉 吉(길)하다 거 듭 써 祿貴(녹귀)로 서 참여시킬 것이다 甲申(갑신)乙酉(을유) 泉中水(천중수)와 丙子(병자)丁丑(정축) 澗下水(간하수) 두 개의 水(수)는 貴(귀)하여 메마르지 않는다 만일 戊申(무신)이 丁丑(정축)을 보거나 혹 乙酉(을유)를 보거나 己酉(기유)가 혹 丙子(병자)나 甲申(갑신)을 보면은 官(관)이 貴(귀)해진다 할 것이니 주로 길하다 丙午(병오)丁未(정미) 天河水(천하수)에 있어서 己酉(기유)가 丙午(병오)를 얻고 丁未(정미)가 戊申(무신)을 얻으면 역시 祿(녹)이 貴(귀)해져서 주로 福(복)이 있는 자가 된다 壬辰(임진)癸巳(계사) 長流水(장유수)에 있어서 戊申(무신)이 癸巳(계사)를 보고 己酉(기유)가 壬辰(임진)을 보면 역시 길하다 만이 만난다면 평안치 못할 것이다
大溪水(대계수)에 있어서 을묘는 동방 震卦(진괘)의 발생한 뜻이니 단연코 또한 吉(길)하다 壬戌(임술)癸亥(계해) 大海水(대해수)는 대칭하여 뚫어 재킨다 할 것이다 土(토)가 감당치를 못한다 할 것이니 日時(일시)에 만난다면 주로 夭折(요절)하게 되나 山(산)을 얻는다면 날카로움이 가벼울 것이다
안으로 戊申(무신)이 癸亥(계해)를 보면 戊癸(무계)가 辛亥(신해)를 合(합)하는 것이라 地天(지천)이 交泰(교태)하여 바야흐로 길하다
불에 있어서 戊午(무오)己未(기미) 天上火(천상화)와 戊子(무자)己丑(기축) 霹靂火(벽력화)를 보면 聖人(성인)의 불이라 하여 가장 잘 發生(발생)시킨다 하나니라 이 흙이 만일 水(수)에 도움을 만난다면 주로 顯達(현달)하나니 그 모든 불에서 재벌 나무 生(생)함을 만난다면 거듭 메마를 것이라 주로 凶(흉)하고 夭折(요절)한다 五行(오행)에 있어서 土(토)를 보면 오직 庚午(경오)辛未(신미) 路傍土(노방토)가 가장 적당하고 丙戌(병술)丁亥(정해) 屋上土(옥상토)와 庚子(경자)辛丑(신축) 壁上土(벽상토)와 丙辰(병진)丁巳(정사) 沙中土(사중토)를 먼저 나무를 얻어 풀어 재킨다면 역시 좋고 나쁨이 뒤 석였다 할 것이다 戊寅己卯(무인기묘) 城頭土(성두토)는 水(수)가 있으면 길함이 날카로워 진다 命(명)에 만일 金(금)이 있어 빼어나다면 길하다 할 것이다 庚戌(경술)辛亥(신해) 釧金(차천금)에 있어서 辛亥(신해)를 얻고, 金箔金(금박금)에 있어서 壬寅(임인)을 얻어서 戊申(무신)이 만나고 사주 가운데 거듭 물 도우는 걸 더한다면 地天(지천)이 交泰(교태)한 격이라 하여 水(수)가 산허리를 크게 휘어감은 격이라 해서 주로 貴(귀)하게 된다 己酉(기유)가 丙戌(병술)을 보고 癸卯(계묘)는 그 다음에 날카로워 져서 좋은것이라 甲午(갑오)乙未(을미) 砂中金(사중금)이 좋아 역시 같다 할 것이니 壬申(임신)癸酉(계유) 劍峰金(검봉금)은 나무를 얻어야 쓰는 것이라 그렇지 않으면 無益(무익)하다 할 것이다
丙戌丁亥屋上土 병술정해 옥상토를 살펴보자
屋上土者,埴찱흙 점토 진흙 林,水火濟,蓋蔽雪霜之積,震風雨之功,此土瓦也。非木無以架之,故以木根基,平地上,大林次之,餘取天干化木,亦吉,只衝破。此巳城之土,不宜見火,爐中丙寅最凶,丁卯稍可;太陽、霹靂可取相資;山下、山頭,有木生之則禍;燈頭丙戌見乙巳上,丁亥見甲辰次之,謂之火土入堂格,若柱中木多,亦不吉。水宜天河、井泉、澗下,皆吉,如先得平地木成格,大貴;溪流無木多夭,若丙戌而得癸巳,丁亥而得甲寅,則又別論,再看日時所成造化何如;大海無山則不宜見土。土見路旁,如丙戌得辛未,丁亥得庚午,陰陽互見,更假木基,主貴;壁土亦宜;餘則汨沒。若缺木而三刑聚,縱是二土亦凶,砂土獨丁已不妨。金唯劍鋒、釵釧最吉,丁見壬申,天干化木,地支乾坤夷,丙見辛亥,天干化水,地支丙入乾戶,皆大貴格,若丁亥見庚戌,丙戌見癸酉,則不吉;泊金有粉飾之用,亦吉;余金無用,當以貴祿參詳
屋上土(옥상토)라 하는 것은 찰흙 점토로 나무를 엮어서 수풀에 바른 것이라 水火(수화)로 물과 불로 다스리는 것이니 대저 눈과 서리의 쌓임을 가리는 것이라 風雨(풍우)의 震動(진동)치는 막는 功(공)이 있는 것이나니 이 土(토)가 互換(호환)되는 것이라 나무 아니면 흙들어 붙게하는 실겅을 매지 못하는 지라 그러므로 나무로써 근본 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戊戌(무술)己亥(기해) 平地木(평지목)이 上策(상책)이 되고 戊辰(무진)己巳(기사) 大林木(대림목)이 次善策(차선책)이 된다 남은 것은 天干(천간)의 丁壬化(정임화)木(목)을 취함은 역시 吉(길)하다 다만 沖破(충파)을 꺼린다 할 것이다 이미 城(성)을 이룬 흙은 불을 보는 것이 적당치 않으니 爐中火(노중화)에 있어서 丙寅(병인)을 가장 꺼리고 丁卯(정묘)는 날카롭게 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可(가)하다 할 것이다 戊午(무오) 己未(기미) 天上火(천상화)와 戊子(무자)己丑(기축)霹靂火(벽력화)의 火(화)를 서로 취하여 도운다 할 것이고 丙申(병신)丁酉(정유)山下火(산하화)와 甲戌(갑술)乙亥(을해) 山頭火(산두화)는 나무의 生(생)함을 갖는 다면 災殃(재앙)이 일어난다 할 것이고 覆燈火(복등화) 머리 丙戌(병술)이 乙巳(을사)를 보는 것이 上策(상책)이고 丁亥(정해)가 甲辰(갑진)을 보는 것은 다음이 된다 이것을 불과 흙이 堂中(당중= 三臺(삼대)玉堂(옥당)房中(방중))에 들었다 하는 격이다 만일 四柱(사주)中(중)에 木(목)이 많다면 역시 不吉(불길)하다 水(수)에 있어서 丙午(병오)丁未(정미)天河水(천하수)와 甲申(갑신)乙酉(을유)泉中水(천중수) 丙子(병자)丁丑(정축)澗下水(간하수)가 모두 적당하여 길하다 할 것인데, 먼저 戊戌(무술)己亥(기해) 平地木(평지목)을 얻어 격을 이루면 크게 귀해진다 甲寅(갑인)乙卯(을묘)大溪水(대계수)의 흐름이 있는데 나무 없는 것을 본다면 夭折(요절)함이 많다 만일 丙戌(병술)이 癸巳(계사)를 얻고 丁亥(정해)가 甲寅(갑인)을 얻은 즉 또 별도로 논하는 것이다 재벌 日時(일시)에 보아 造化(조화)를 이루는 것이 어떻다 할 것인가 壬戌(임술)癸亥(계해) 大海水(대해수)는 山(산)이 없으면 흙이 본다면 적당치 않다 흙에 있어서 庚午(경오)辛未(신미)路傍土(노방토)에 있어서 만일 丙戌(병술)이 辛未(신미)를 얻고 丁亥(정해)가 庚午(경오)를 얻으면 음양이 商號(상호) 살피는 것이라 거듭 木(목)에 터전을 빌린 것이므로 주로 貴(귀)하다 庚子(경자)辛丑(신축)壁上土(벽상토) 역시 마땅하다 할 것이니 남은 것인즉 파묻히게 된다 하여 좋다 할게 없다 할 것이다 만일 木(목)이 이지러져서 三刑(삼형)이 모이고 이어서 두 개의 흙을 풀어 논다면 역시 凶(흉)하다 丙辰(병진)丁巳(정사)沙中土(사중토)에 있어서 惟獨(유독)丁亥(정해)은 해롭지 않다 金(금)에 있어서 오직 壬申(임신)癸酉(계유)劍峰金(검봉금)과 庚戌(경술)辛亥(신해) 釧金(차천금)이 가장 길하다 丁(정)이 壬申(임신)을 보면 天干(천간)이 합하여 木(목)이 된 것이라 地支(지지)는 乾坤(건곤)으로 平夷(평이)한 것이고 丙(병)이 辛亥(신해)를 보면 天干(천간)이 合(합)하여 水(수)가 된 것 인지라 地支(지지)는 丙(병)이 乾戶(건호)에 들어가는 것이니 모두다 큰 貴格(귀격)이라 한다 만일 丁亥(정해)가 庚戌(경술)을 보고 丙戌(병술)이 癸酉(계유)를 본즉 不吉(불길)하다 壬寅(임인)癸卯(계묘) 金箔金(금박금)은 여자들의 화장하는 粉(분)가루 裝飾用(장식용)이니 역시 吉(길)하다 남은 金(금)은 쓸데가 없다 응당 貴(귀)이나 祿(녹)으로써 참여시키는 것이 상세하다 할 것이다
。
丙子丁醜澗下水 병자정축간하수를 살펴보자 澗下水者,山環細浪,雪湧飛端,相連南北之流,對峙坎離之脈。此水澄,喜見金養,砂中、劍鋒二金最宜。釵釧庚戌丁醜不宜,以醜戌相刑,辛亥見丙子則丙辛化水,尤貴;餘金以祿貴參之,取其資生,惡其衝破。見木一位不妨,二三則主勞苦,亦以貴人祿馬參之。命中見土,主人多濁天元,若木或化水,則主吉;砂中、屋上二土,其氣稍,路旁、大驛則濁甚矣,主財散禍生,如辰、戌、醜、未土局,其凶尤甚,以水濁土渾故也。火見太陽,雖炎,中間有濟未濟之論;霹靂就位相爭,最所不宜。若二火論,無金資助,主荒淫,有金別論;山下、山頭亦吉,若臨,時日則嫌。命中遇水,反成漂蕩,見天河引凡入聖,見大海福貴朝宗,皆吉,獨丁醜見壬戌,則醜戌相刑,丁壬淫合,主風聲不雅;大溪性急,長流不靜,皆不吉,大抵此水須以多主,而無火土夾雜,再得甲寅乙卯之水,則源遠流,君子人也。澄(징)맑다 맑히다 맑게하다
간하수라 하는 것은 산을 둘러서 가늘게 내리는 물도랑이나니 눈녹은 물이 용솟음 쳐선 날아오르는 끝이라 서로 남북의 흐름을 연이은 것이라 坎離(감이) 남북의 脈(맥)을 對峙(대치)시켜 논 것이다 소이 丙丁(병정)은 南(남)이라 하는 것이고 子丑(자축)은 北(북)이라 하는 것이다 이런 금은 맑아지도록 金(금)을 보아 기름을 받는 것을 좋아한다 甲午(갑오)乙未(을미) 砂中金(사중금)과 壬申(임신)癸酉(계유) 劍峰金(검봉금) 두 개의 金(금)이 가장 적당하다 釧金(차천금)에 있어서 庚戌(경술)이 丁丑(정축)을 보면 적당하지 않은데 丑戌(축술)이 서로가 刑罰(형벌)을 하기 때문이다 辛亥(신해)가 丙子(병자)를 본다면 丙辛(병신)合水(합수)가 되어 더욱 貴(귀)하게 된다 남은 金(금)은 그저 祿馬(록마)貴(귀) 정도로나 참여 시킬 것이니 그 생함 도우는 것을 취하고 그 충파하는 것은 미워할 것이다 나무 한 자리를 보는 것은 방훼되지 않지만 두 세 개를 본다면 주로 身役(신역)이 드신 팔자 고달플 것이다 역시 貴人(귀인) 祿馬(록마)로써 참여시킬 뿐이다 命中(명중)에 土(토)를 보게 됨 주로 정신이 혼탁한 자가 많은데 만약 나무가 있어선 혹 물로서 變化(변화)한다면 주로 吉(길)하다 丙辰(병진)丁巳(정사) 沙中土(사중토)와 丙戌(병술)丁亥(정해)屋上土(옥상토) 두 개의 흙은 그 기운이 날카롭다 庚午(경오)辛未(신미)路傍土(노방토)와 戊申(무신)己酉(기유)大驛土(대역토)라면 혼탁함이 심해선 주로 재물이 흩어지고 재앙이 생긴다 만일 辰戌丑未(진술축미)土局(토국)이 된다면 그 흉함은 더욱 심하다 할 것이다 濁(탁)한 水(수)로 土(토)를 混濁(혼탁)하게 만드는 연고이기 때문이다 불에 있어서 戊午(무오)己未(기미)天上火(천상화)를 보면 비록 불꽃 이글 거린다 하지만 중간으로서 다스림이 있다하고 다스림이 없다 하는 논이 있는데 , 戊子(무자)己丑(기축)霹靂火(벽력화)는 자리에 나아가 相爭(상쟁)한다 해선 가정 적당하지 않다 만일 이 두 개의 불로서 논하건데 金氣(금기)의 도움이 없다면 주로 荒淫(황음)방탕할 것이다 다른 金(금) 있는 것은 별도로 논한다 丙辛(병신)丁酉(정유)山下火(산하화)와 甲戌(갑술)乙亥(을해) 山頭火(산두화)는 역시 吉(길)하나 만일 時日(시일)에 임한다면 嫌惡(혐오)를 둔다 命中(명중)에 水(수)를 만나면 도리혀 放蕩(방탕)하게 흘러감을 이룬다 丙午(병오)丁未(정미)天河水(천하수)의 誘導(유도)함을 본다면 범인이 聖賢(성현)에 들어갈 것이다 壬戌(임술)癸亥(계해)大海水(대해수)를 본다면 福(복)있고 貴(귀)하여선 朝庭(조정)에 마루가 될 것이니 모두 길하다 惟獨(유독) 丁丑(정축)이 壬戌(임술)을 보면 丑戌(축술)이 相刑(상형)하고 丁壬(정임)이 淫合(음합)하는지라 주로 미풍양속 소문이 맑지 못하고 甲寅(갑인)乙卯(을묘) 大溪水(대계수)는 성급해지고 壬辰(임진)癸巳(계사)長流水(장류수)는 고요하질 못해서 다 불길하다, 대저 이러한 水(수)는 모름지기 많아짐을 주간하려 드는 지라 火土(화토)의 잡된 끼임이 없다면 재벌 甲寅(갑인)乙卯(을묘)의 水(수)를 얻는다면 根源(근원)이 멀리 흘러가는 君子(군자)의 風貌(풍모)를 지닌 사람이라 할 것이다
甲寅乙卯大溪水갑인을묘 대계수를 살펴보자
大溪水者,驚濤=큰물결도薄엷다岸,駭소란할'해' 浪浮天,光涵적실'함'萬里之寬,碧푸를'벽'倒千山之影,最喜有歸有養,遇坎則有歸,得金則有養,所嫌者,日月時中,有申酉衝動,或辰已風吹,主飄流;井泉水淨而止,澗下有醜艮,天河沾(첨)젓을첨 더할첨 潤,大海朝宗,此四水皆吉;長流有風,獨不宜見。此水以金助養,唯釵、砂最宜,蠟金亦,若有釵金對沖則不宜;海中雖無造化,甲子屬坎,乙丑艮,乃歸源之地,亦吉;泊金最微,不能相生,豈有超顯之理?劍金雖化於大溪,忌卯雷巽風,主性不定。五行有土,皆無益,屋上、城頭壅阻此水,路旁稍可,亦不奇;壁上獨辛醜山,大驛唯己酉有合,戊申則沖,庚子則刑,皆不吉。火見太陽,雖假照耀,霹靂尤忌相逢,若二火互見,主貧,單見別論。木見此水,徒被漂蕩,唯桑拓木壬子有坎,癸醜山,水繞山環之貴,內甲寅人見壬子吉,乙卯人見癸醜吉;餘木以祿貴參之,尤忌衝破。
큰 시냇물이라 하는 것은 놀라울 정도의 물결을 일으키면서 흘러가는 물로서 그 언덕은 엷어선 물이 많이 꽉 차 흐르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소란한 물결이 저 멀리 하늘을 뜨게 할 듯이 흘러가선 만리의 廣闊(광활)함을 光彩(광채)롭게 적시는 것이며 푸르른 물에다간 千山(천산)의 그림자를 거꾸로 드리우게 하는 것이라 가장 돌아가는 곳 시집가는 곳이 있고 養育(양육)하는 것이 있음을 좋아한다 亥子丑(해자축)壬癸(임계) 坎象(감상)을 만난다면 돌아감이 있다 할 것이고 金(금)을 득한다면 滋養(자양)함을 두었다 할 것이며 嫌惡(혐오)를 갖는 것은 日月(일월)時(시)중에 申酉(신유)충동하는 것을 두고 혹 辰巳(진사)풍이 불어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니 주로 표랑 유랑 생활을 한다 甲申(갑신)乙酉(을유) 泉中水(천중수)는 맑게 하여 머무는 것이고 丙子(병자)丁丑(정축)澗下水(간하수)는 丑(축)艮山(간산)을 둔 것이고, 丙午(병오)丁未(정미)天河水(천하수)는 윤택하게 젓는 것을 더한 것이며 壬戌(임술)癸亥(계해)大海水(대해수)는 朝庭(조정)의 마루이니 이 네가지의 水(수)는 다 길하다 壬辰(임진)癸巳(계사)長流水(장류수)는 보는게 적당치 않다 大溪水(대계수)라 하는 것은 金(금)으로 도와 길러야만 하는 것인지라 오직 庚戌(경술)辛亥(신해) 釧金(차천금)과 甲午(갑오)乙未(을미) 砂中金(사중금)이 가장 길하다 庚辰(경진)辛巳(신사)白 金(백랍금)은 역시 庚戌(경술)辛亥(신해) 釧金(차천금)과 對沖(대충)을 하면 적당하지 않다 甲子(갑자)乙丑(을축)海中金(해중금)은 비록 조화가 없어도 甲子(갑자)는 坎卦(감괘)에 속하고 乙丑(을축)은 艮山(간산)에 속함에 이에 물이 돌아가는 근원의 땅이라서 역시 길하고 壬申(임신)癸酉(계유)金箔金(금박금)은 가장 微微(미미)하니 잘 相生(상생)하지 못할 것인데 어찌 顯明(현명)함을 부르는 이치가 있을 건가 壬申(임신)癸酉(계유)劍峰金(검봉금)은 비록 큰 시내에 변화하는 모습 일지라도 卯字(묘자)우레방 巽風(손풍)이 꺼리는 것인지라 주로 性品(성품)이 불안정하다 五行(오행)중에 土(토)는 다 無益(무익)하니 丙戌(병술)丁亥(정해)屋上土(옥상토)와 戊寅己卯(무인기묘)城頭土(성두토)는 막는 擁壁(옹벽)처럼 물길을 방훼 저지한다 庚午(경오)辛未(신미)路傍土(노방토)는 날카롭게 하는 것은 가하다 할 것이나 역시 훤출 하지는 못하다 할 것이고 庚子(경자)辛丑(신축)壁上土(벽상토)는 惟獨(유독) 辛丑(신축)山(산)을 돋보이게 한다할 것이고 大驛土(대역토)에 있어서 己酉(기유)는 合(합)함이 있고 戊申(무신)은 沖(충)이 되며, 庚子(경자)는 子卯(자묘)三刑(삼형)도 되니 역시 불길하다 火(화)에 있어서 戊午(무오)己未(기미)天上火(천상화)는 비록 눈부시게 비춤을 借用(차용)한다해도 戊子(무자)己丑(기축)霹靂火(벽력화)와는 더욱 서로 만나는 것을 꺼린다 만약 두 불을 서로 본다면 주로 가난하다 하나만 있을 적에는 별도로 논한다 나무에 있어서 此(차) 水(수)를보게 되면 한갓 유랑 방탕하고, 오직 桑 木(상자목)에 있어서 坎象(감상) 癸丑(계축)山(산)이 있어선 물이 산을 휘감아선 돌아간다면 귀하다 甲寅(갑인)生人(생인)이 壬子(임자)를 보는 것은 길하고 乙卯(을묘)生人(생인)이 癸丑(계축)보는 것은 길하다 남은 木(목)은 祿馬(록마)貴(귀)로나 참여 시키어 볼 것이며 더욱 沖破(충파)됨을 꺼린다
壬辰癸巳長流水임진게사장루수를 살펴보자
長流水者,混混無窮,滔滔不竭,就下必納于東南,順流自歸於辰巳。此水喜金生養,金要白蠟、釵釧,以天干有庚辛金,地支辰巳就位相生,戌亥歸源之地;劍鋒純是金水,泊金水木居東,皆以吉論;海中,砂中無取。嫌土蹇,而土有堤防之用,六土之中,取庚辛丙丁吉,戊己無用。遇火則相刑,而有濟之妙,內壬辰喜見丁卯、丁酉,癸巳喜見戊子、戊午,以天干合化故也;燈頭癸巳尤喜見甲辰 山頭壬辰尤喜遇乙亥,化龍歸祿,取義更佳。逢木雖漂泛,而桑拓癸醜山,楊柳癸未園,年時得此水圍之,水繞花堤,大貴格也 ;松柏、石榴,天干有金相生;大林、平地,雖嫌有土,而癸巳見戊辰,壬辰見己亥,俱吉。水同類,澗下則丁壬合化,天上則雨露相資;井泉、大溪無益;海乃流所歸,而壬辰之龍得癸亥則龍躍天門,春夏秋生吉,或龍潛大海,則冬生乃宜,柱中須先得金妙。又壬辰自印之水,再見壬辰則刑,刑則自害,見戊戌則沖,沖則氾濫,主凶;癸巳,自之水,名流,若遇丙戌、丁亥、庚子、辛醜之土,其可待,柱中如得三合生旺之金生之則吉
물이 길게 흘러간다하는 것은 혼합해선 무궁하게 흘러가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도도한 물결이 다하지 않는 것이라 아래로 나아가면서 필경 동남방으로 들어 갈 것인지라 순하게 흘러 자연 辰巳(진사)로 돌아가는 것이다 중국의 황하와 장강이 그렇게 東(동)으로 흘러선 자연 辰巳(진사)方(방)을 水庫(수고)로 삼는다는 것이리라 이러한 水(수)는 金(금)이 長生(장생)하고 養育(양육)해줌을 좋아한다 金(금)중에 긴요한 것은 庚辰(경진)辛巳(신사) 白 金(백랍금) 庚戌(경술)辛亥(신해) 釧金(차천금) 이런 것은 天干(천간)에 庚辛(경신)金(금)이 있고 地支(지지)에 辰巳(진사)가 있어 相生(상생)함으로 나아간다 戌亥(술해)는 물의 근원으로 돌아가는 땅이다 壬申(임신)癸酉(계유) 劍峰金(검봉금)은 순수 金生水(금생수)한다할 것이다
壬寅(임인)癸卯(계묘) 金箔金(금박금)은 水生木(수생목)으로서 東(동)에 거주함으로 다 길함으로써 논한다 甲子(갑자)乙丑(을축)海中金(해중금)과 甲午(갑오)乙未(을미)砂中金(사중금)은 취할 것이 없다 土(토)의 절름 거림을 嫌惡(혐오)를두니 土(토)는 제방뚝으로 사용한다 여섯 土(토) 가운데 庚辛(경신)丙丁(병정)을 취하는 것이 길하고, 戊己(무기)는 쓸데가 없다 불을 만난다면 서로 형벌을 하지만 다스림 갖는 묘함이 있다 안으로 壬辰(임진)이 丁卯(정묘) 丁酉(정유) 보는 것을 좋아하고 癸巳(계사)가 戊子(무자)戊午(무오)보는 것을 좋아한다 天干(천간)이 합하는 연고이기 때문이다 覆燈火(복등화) 머리에 있어서 癸巳(계사)는 더욱 甲辰(갑진)보기를 좋아하고 山(산)머리에 壬辰(임진)은 더욱 乙亥(을해) 만나는 것을 좋아해선 龍(룡)으로 화하고 祿(록)으로 돌아가선 뜻이 거듭 아름다움을 취하게된다
木(목)이 비록 떠돌이를 만난다해도 桑 木(상자목)에는 癸丑(계축)山(산)을 두고 楊柳木(양류목)에는 癸未(계미) 동산이 있어선 年(년)이 施(시)에 此(차) 水(수)의 둘을 얻음 물이 휘감아선 언덕을 꽃처럼 만든다 해선 大貴(대귀)格(격)이 된다 庚寅(경인)辛卯(신묘) 松柏木(송백목)과 庚辛申酉(경신신유) 石榴木(석류목)은 天干(천간)에 金(금)이 相生(상생)함이 있고 戊辰(무진)己巳(기사) 大林木(대림목)과 戊戌(무술)己亥(기해) 平地木(평지목)은 비록 흙이라도 혐오를 두고 癸巳(계사)에서 戊辰(무진)을 보고 壬辰(임진)에서 己亥(기해)를 보는 것은 다 길하다 水(수)는 같은 종류 丙子(병자) 丁丑(정축) 澗下水(간하수)면 丁壬(정임)이 合化(합화)가 되고 丙午(병오)丁未(정미) 天河水(천하수)면 雨露(우로)가 서로 도우는 것이 된다 甲申(갑신)乙酉(을유) 泉中水(천중수)와 甲寅(갑인)乙卯(을묘) 大溪水(대계수)는 無益(무익)하다 壬戌(임술)癸亥(계해) 大海水(대해수)는 흘러 돌아가는 곳이고 壬辰(임진)의 龍(용)이 癸亥(계해)를 얻으면 龍(용)이 天門(천문)에 뛴다 하는 것이라서 봄 여름 가을 생은 길하다 혹 龍(용)이 큰 바다에 잠긴다 할 것 같으면 겨울생도 적당하다 사주 가운데 모름지기 먼저 金(금)의 要(요)함을 얻을 것이다 또 壬辰(임진)은 자연 印性(인성)의 水(수)인지라 재벌 壬辰(임진)을 보면 自刑(자형)이 되면 스스로 해롭다 戊戌(무술)을 보면 到沖(도충)이 된다 到沖(도충)이 되면 氾濫(범람)해져 주로 凶(흉)하다 癸巳(계사)는 자연의 물이다 이름 하여 흘러간다 하는 것이니 만일 丙戌(병술) 丁亥(정해) 庚子(경자) 辛丑(신축)의 흙을 만난다면 가히 기다려선 四柱(사주)가운데 三合(삼합) 生旺(생왕)의 金(금) 생하는 것을 얻으면 길하다
丙午丁未天河水병오정미 천하수를 살펴보자
天河水者,亂灑六野,密沛千郊,淋淋물뿔리다 방울져 떨어지다 젓다 瀉물을 쏟아붓다 물을흐르게하다下銀河,細細飛來碧落,此乃天上雨露,發生萬物,無不賴之。銀河之水,土不能克,故見土不忌,而且有滋潤之益;天上之水,地金難生,故見金難益,而亦有涵秀之情;生旺太過則淫,反傷於物,死太多則旱幹,又不能生物,要生三秋得時貴也。水喜長流、大海,內丙午宜癸巳、癸亥,丁未宜壬辰、壬戌,陰陽互見,尤吉;大溪乙卯雷,井泉己酉貴,俱以吉論。火喜霹靂,神龍之火,與此水相濟。而忽變化,雲行雨施,豈有不貴?爐中火旺,大海水旺,如柱中得二火二水,上下上相濟,謂之精神俱足,大貴格也;燈頭有風,山頭有貴,皆以吉論,又須以別水濟之方吉;天上就位相克,則忌見之。木石榴、楊柳俱吉, 大林有巽,平地有亥,亦吉;松柏、石榴遇丙辛合化,亦以吉論。妙選有靈入天河格,是取死無根之木,柱無土培則漂流天河是也。土雖不能克,而柱逢庚午辛未,就位相克,土壅水滯,或水又冬生,則水結池塘,必主濁濫;餘土如砂中、屋上皆吉,城頭,大驛無用,壁上對沖,亦壞造化。水、金雖不能生,獨辛亥釵金屬乾天,水在天上,只此最吉;余金亦取天干有庚辛、壬癸者用,甲乙無益,再以祿馬貴人參之始得。妙選又以水生人得庚子、壬子雲騰雨施,生春則旱,夏則,冬則寒,獨三秋最吉;遇甲辰乙巳、庚辰辛巳,柱中有壬雲,有辰龍,風雨作霖;若生冬月,是霜凝薄露,日時喜遇寅卯溫和之氣,可解斯凍,俱貴格也。
天河水(천하수)라 하는 것은 어지럽게 사방 들을 씻어 내리는 것이며 一千(일천)들을 빽빽하게 물이 성하게 흘러내리는 것이라 銀河水(은하수)에서 물을 뿌리듯 쏱아 내는 것이며 가늘게 날아선 맑게 푸르개 떨어지는 것이며 이렇게 해선 天上(천상)의 雨露(우로)가 萬物(만물)을 發生(발생)한다 하나니라 돕지 아니함이 없는 것이다 銀河水(은하수)의 물이니 흙이 능히 이기지를 못하니라 그러므로 土(토)를 꺼리지 않는다 또 물로 적시는 윤택함을 더하는 것이 있음이라 丙午(병오)丁未(정미) 天河水(천하수)는 땅 金(금)을 생하기 어려웁다 그러므로 金(금)을 보면은 더하기 어렵다 또 적시고 빼어나는 뜻이 있는지라 生旺(생왕)함이 너무 지나치면 淫亂(음란) 하여 도리어 事物(사물)을 損傷(손상)시키고 죽음이 太多(태다)하다면 줄기가 말라선 사물을 잘 살리게를 못한다 중요한 것은 석달 가을에 생하선 시절 맞음을 얻으면 귀하게 된다 물은 壬辰(임진)癸巳(계사)長流水(장류수)와 壬戌(임술)癸亥(계해) 大海水(대해수)를 보면 좋아한다 안으로 丙午(병오)는 癸巳(계사) 癸亥(계해)가 적당하고 丁未(정미)는 壬辰(임진) 壬戌(임술)이 적당하다 陰陽(음양)이 商號(상호) 보기 때문에 더욱 길하다
甲寅(갑인)乙卯(을묘) 大溪水(대계수)에 있어서 乙卯(을묘)는 우레이고 丙寅(병인)丁卯(정묘) 爐中火(노중화)는 왕성하게 된다 大海水(대해수)는 旺盛(왕성)하게 되나니라 만일 四柱(사주)중에 두불 두물을 얻으면 上下(상하) 서로 다스려 올라간다 할 것이니 이를 일러 精神(정신)이 다 흡족하다 할 것이다 그래서 大貴(대귀)格(격)이 된다 甲辰(갑진)乙巳(을사) 覆燈火(복등화)의 바람이 있고 甲戌(갑술)乙亥(을해) 山頭火(산두화)는 貴(귀)함이 되니 다 길함으로 논한다 또 모름지기 별도로 물을 다스리는 방향은 吉(길)何(하)다 丙午(병오)丁未(정미)天河水(천하수)가 자리에 나아가 相剋(상극)을 받는 다면 보는 것을 꺼리나니 庚申(경신)辛酉(신유) 石榴木(석류목)과 壬午(임오)癸未(계미) 楊柳木(양유목)은 다 길하다 戊辰(무진) 己巳(기사) 大林木(대림목)은 巽風(손풍)이 있고 戊戌(무술)己亥(기해) 平地木(평지목)은 亥(해) 수가 있어 역시 길하다 庚寅(경인)辛卯(신묘) 松柏木(송백목)과 庚辛申酉(경신신유) 성류木(목)은 丙辛(병신)合(합)됨으로 역시 길하다고 논한다 묘하게 선별한게 있으니 신령스러움이 천하에 들어간다 하는 격이 있으니 이는 죽음이 뿌리 없는 나무를 취하는 것이라 四柱(사주)중에 土(토)로 북돋음이 없으면 사방으로 흘러 퍼진다하는것이라 天河水(천하수)가 흘러 유랑을 한다는 것이 바로 이러함이니라 土(토)가 비록 능히 이기지 못한다 하여도 四柱(사주)중에 庚午(경오)辛未(신미) 路傍土(노방토)를 만나서 자리에 나아가 相剋(상극)이 되면 흙이 물을 둘르는 옹벽 역할을 할 것인지라 혹도 물이 겨울게 생한다면 물이 물 매침이 못[池塘(지당)]을 이룰 것이다 필히 주로 惟獨(유독) 濁(탁)하게 범람하나니라 남은 흙은 丙辰(병진)丁巳(정사) 沙中土(사중토)와 丙戌(병술)丁亥(정해) 屋上土(옥상토)는 다 길하다 戊寅己卯(무인기묘) 城頭土(성두토)와 戊申(무신)己酉(기유) 大驛土(대역토)는 쓸데가 없다 庚子(경자)辛丑(신축) 壁上土(벽상토)는 對沖(대충)을 하는지라 역시 造化(조화) 벌어진다 할 것이다 물을 金(금)이 비록 잘 생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유독 辛亥(신해) 釧金(차천금)은 乾天(건천)에 속하는 지라 물이 天上(천상)에 있으니 다만 이른 것은 가장 길하다 남은 금은 역시 천간 庚辛(경신)을 취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壬癸(임계)라는 것은 甲乙(갑을)을 쓸려면 無益(무익)하다 재벌 祿馬(녹마)貴人(귀인)으로 참여시켜야 비로서 體得(체득)한 것이 될 것이다 묘하게 선별 하건데 또 水(수)生人(생인)이 庚子(경자)를 얻고 壬子(임자) 구름이 날아 비를 배풀으면 봄에 낳으면 가물고 여름이면 星(성)하고 겨울이면 차다 惟獨(유독) 석달 가을이 가장 길하니 甲辰(갑진)을臥(와) 庚辰(경진)辛巳(신사)를 柱中(주중)에 壬(임)이라 하는구름을 두면 辰龍(진용)이 風雨(풍우)의 장마를 짓는 다 할 것이니 만일 겨울 生(생)人(인)이 이러한 서리의 엉김과 이슬의 엉김을 갖게됨 日時(일시)에 寅卯(인묘)의 온화한 기운을 만남을 좋아하니 가히 얼어진 것을 풀어서 다 貴(귀)한 격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