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숑 프리제 (Bichon Frise)
► 이 명 : 테네리페 도그(Tenerife Dog), 비숑 아 포일 프리제(Bichon a Poil Frise, Bichon à poil frisé), 비숑 드 펠로 리자도(Bichon De Pelo Rizado), Bichon frisé, 비숑 프리제 테네리페(Bichon frisé Ténériffe), 비숑 테네리페(Bichon Tenerife)
► 외 관 : 비숑 프리제(Bichon Frise)의 크기는 보통 체고가 23~31㎝, 체중은 3~6kg이나, 작게는 2.5kg, 많게는 12kg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비교적 강한 체질을 가졌고, 운동량이나 활동량도 대단히 많다. 하루에 한 두 번은 에너지가 넘쳐서 발산하려고 날뛴다. 이 개의 눈은 둥글고 어두우며 검은 테두리를 가지고 있다. 검은 코는 태어날 때는 핑크색이며, 차츰 성견이 되면서부터 색소가 검은색으로 바뀐다. 귀는 얼굴을 향하여 아래로 처져 있고, 꼬리는 말려 등 위로 감아 올라가 있으며 쉬고 있을 때는 흐느적거린다. 발은 작고 동그라며 정확히 앞을 향하고 있다.
털은 마치 명주실같이 여러 가닥씩 솜처럼 뭉쳐 부풀려 있고, 속털은 길고 부드러우면서 겉털은 곱슬곱슬거리며 거칠다. 빗질을 자주 해서 털이 엉키지 않도록 관리를 잘 해야 하며, 흰털이라 눈물자국 관리가 필요하다. 눈, 코, 입술, 발바닥은 검정색이며, 눈이 크고 코와의 구도가 정역삼형이면 인물이 좋은 것이고, 정역삼형에서 벗어나 입이 튀어 나올수록 인물이 떨어지며 분양가에서도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털의 색깔은 다른 색깔이 섞이지 않은 순수한 흰색(Pure white)이고, 갓 태어났을 때는 미색이 머리, 귀 주변에 있으나, 성장하면서 미색이 점점 빠지고 흰색으로 바뀌면서 하얀 곱슬거리는 털이 빵빵하게 올라온다.
► 설 명 : 비숑 프리제(Bichon Frise)의 성격과 특징으로는 명랑하고 쾌활하며 아주 활달하다. 목을 당당하게 들고 쾌활하고 도도하게 걷는 것이 특징이며, 각종 도그 쇼나 미용대회에서 자주 선보이며 TV나 매체에 모델로도 인기가 높다. 영리하여 배변을 잘 가리는 편이며, 체격이 중소형견으로 아파트나 빌라, 단독주택 등 집 안에서 키우기 좋다.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잘 따르는 친밀감을 가지고 있으며, 독립심이 비교적 강한 편이어서 혼자서도 집에서 잘 논다. 이 종은 매우 영리하고 지능이 높아서 여러 가지 훈련이 가능한 견종이다. 그러나 독립심이 강해서 억지로 가르치면 저항하고 무시하므로 주인과 상호신뢰관계를 깨지 않도록 커뮤니케이션하면서 훈련시켜야 한다. 평균 수명은 12~15년 정도이지만 이 보다 훨씬 오래 사는 경우도 많다.
밝고 상냥하며 늘 명랑한 이 개를 보고 있으면 마음이 저절로 따뜻해진다. 감수성이 풍부하며, 주인의 희노애락을 민감하게 알아차리고 그에 맞춰서 행동하는 영리함을 갖추었다. 귀여운 외모 속에는 의외로 근육질의 건장한 몸이 숨어 있다. 살이 찌기 쉬운 편이므로 아침 저녁 하루 2번, 10~20분씩 산책을 시키는 것이 좋다. 그러나 비가 오거나 날씨가 궂은 날에는 털이 더러워지고 엉킬 수 있으므로 무리해서 산책할 필요는 없다. 폭신폭신한 털은 워낙 잘 엉키기 때문에 빗어도 빗어도 어느새 또 엉켜 있다. 하얀 솜사탕 같은 매력적인 모습을 유지하려면 스리커 브러시나 빗으로 매일 정성껏 손질해야 한다. 정기적인 트리밍도 필요하다.
‘걸어다니는 솜사탕’ 비숑 프리제는 매력적이고, 적응력이 뛰어나며, 유쾌하고 용감하며 활기가 넘친다. 털이 곱슬거려서 정기적인 털관리가 절대적이다. 털관리에 잠시라도 소홀하면 엉켜서 잘라내어야 한다. 치석이 많이 쌓이고 잇몸 염증의 경향이 있으므로 이빨과 잇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많은 흰털 개들이 장기적인 피부 문제를 가지고 있었지만, 비숑은 그렇지 않다. 또한 순백색의 털이라서 모든 흰색의 개들의 공통점인 눈물 자국으로 인하여 견주들이 가장 신경이 많이 쓰이는 부분이 바로 눈물얼룩이다. 눈물이 너무 과하다 싶으면 병원에 가서 눈물 분비량을 측정하여 적절히 처방하도록 한다. 또한, 출산을 하면 보통 3~5마리를 낳으며, 교배시 교배증명서를 반드시 교부하고, 출산시에는 혈통서를 한국애견협회나 한국애견연맹에 등록, 교부한다. 분양가는 현재 일반적으로 100만원에서 350만원까지로 인물과 혈통, 분양지역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 주 의 : 유의해야 할 질병으로는 유전성 빈모증, B형 혈우병, 흥분 및 스트레스로 인한 떨림, 환축아 탈구, 안검내반증, 각막변성증, 백내장, 시스틴결석증, 인산칼슘결석증, 인산마그네슘암모늄결석증 등 매우 많으나, 실제로는 잔병치레가 거의 없는 효자견이다. 치석이 끼기 쉬우므로 칫솔이나 가제 등으로 이를 닦아 준다. 그리고 털이 곱슬거려 손질을 게을리 하면 곱슬 마디마다 피부병이 생길 수 있다. 유전적인 질병으로는 슬개골탈구가 있다.
식탐이 많은 편은 아니지만 개체에 따라서 강한 식탐을 보이는 개체들도 있다. 이러한 개체는 적절한 식사량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주인과 함께 외출을 하는 그 자체를 아주 좋아하므로 매일 적절한 시간 동안 산책을 시켜주는 것이 비만 관리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미용은 풍성한 털을 한껏 활용하여 머리부분을 동그랗게 컷하며, 몸통이나 다리도 둥근 원기둥처럼 컷하는 것이 보통이다. 미용은 거의 가위컷으로 하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투자해야 하고, 미용비용도 타견종에 비해 비싼 편으로 10만원 내외이다. 이 개를 키우면서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워낙 사람을 좋아하고 잘 따르는 개이므로 분실의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분실 시 찾기 쉽도록 견주의 인적 사항을 표기하여 목걸이를 해주든가, 아니면 마이크로 칩을 삽입해주어야 한다.
► 기 원 : 최근 애완견 및 반려견으로서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비숑 프리제(Bichon Frise)의 원산국은 다수가 프랑스로 표기하고 있으며, 일부는 벨기에와 함께 두 국가로 표기하고 있다. 이 개의 원산지는 지중해 지역이며, 분포 지역은 프랑스, 벨기에, 스페인 등이다. 고대 로마시대부터 그 존재가 알려져 있으며, 1500년경 프랑스에 소개되어 귀족사회의 귀부인들에게 사랑을 받아왔다고 해서 귀족견으로도 불리우기도 하며, 그 뒤 차차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인기를 얻게 되었다. 견명은 장식을 뜻하는 ‘비숑(Bichon)’과 곱슬거리는 털을 가졌다는 뜻의 ‘프리제(Frise)’의 합성어로서, '곱슬거리는 털을 가진 인형같은 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종의 근원은 1300년경 스페인 남쪽의 카나리아 제도의 페네리페(Tenerife) 섬 해변에서 발견되었으며, 페네리페 섬에서 선원이 유럽의 무역중심지였던 이탈리아로 데려왔다고 하며, 그 후 1494년 프랑스가 이탈리아를 침략한 ‘이탈리아 전쟁’ 때 프랑스로 건너오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확실한 근거는 없으며, 확실한 것은 그 후, 1500년경 프랑스에 반입되어 왕족과 귀족들 사이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 옛날 유럽에서는 환자가 난방을 하는 대신 비숑 프리제를 안고 잤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오랜 시간 안고 있어도 얌전히 안겨 있는 착한 반려견이다.
아프리카 대륙의 대서양에 위치한 카나리아 군도의 토착견을 16세기경 프랑스에서 소형화하는데 성공하였으며, 프랑스의 귀부인들 사이에서 향수를 뿌려서 안고 다니는 흰색의 개가 유행하였다. 말티즈(Maltese)나 푸들(Poodle)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지금으로부터 약 30년 전 미국에서 독창적인 커트가 개발되었고, 여기에 또 다른 개량을 하여 현재의 쇼 커트, 일명 ‘비숑컷’은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비숑 프리제만의 독특한 헤어스타일이 되었다. 이 비숑컷은 비숑과 거의 유사하게 곱슬거리는 개인 푸들도 견주들이 일부 미용을 해주고 있다.
► 비 고 : 비숑 프리제는 2016년 4월 4일자로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9 반려 견 및 토이 독 그리고 섹션 1 비숑 및 관련 견종 / 1.1 비숑 스탠다드 No. 215로 등록이 되었다. 이 외에도 ANKC Group 1 (Toys), KC (UK) Toy, NZKC Toy, UKC Companion 등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각종 애견 단체에 대부분 가입되어 있다.
프랑스 혁명이 지나고 그 수가 감소했다가 다시 유행하게 된 것은 1930년이 되어서이다. 특히 나폴레옹 3세 시대에 다시 큰 인기를 얻었고, 테네리페(ténériffe)라는 이름으로 불리어졌다. 같은 시기에 프랑스와 함께 벨기에에서도 유명해졌지만 아쉽게도 두 차례 세계대전을 거치는 동안 비숑 프리제는 거의 사라졌으나 프랑스와 벨기에 브리더들의 열정 어린 노력 덕분에 다시 개체 수가 늘어났다. 이러한 일 때문에 벨기에를 프랑스와 함께 원산국으로 보는 자료가 많다.
더욱이 벨기에서 최초 등록된 피토(Pitou)라는 이름의 개체는 1924년 3월 23일에 태어나 1932년에 벨기에 혈통대장에 등록이 되었다. 프랑스 혈통대장에 최초 등록된 비숑 프리제는 암컷 이다(Ida)로 1934년 10월 18일생이다. 현재 프랑스에서 불리는 비숑 아 포일 프리제(bichon à poil fries)라는 이름은 1978년에 지어졌으며, 이는 프랑스-벨기에 견종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사용이 되었다.
1934년에 프랑스 켄넬클럽, 1971년에 미국의 AKC, 1975년 캐나다의 CKC에서도 공인되었다. 1959년 10월 28일 FCI(세계애견연맹)에서 9그룹인 ‘반려견&애완견(Companion and Toy Dogs)’ Section 1, 넘버 215번으로 공인되었다. 최고의 애완견 또는 반려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비숑 프리제는 1970년대 말 미천한 신분에서 탈출하여 세계인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한편 노르웨이에서는 농부들이 최근 이 개에게 양몰이 훈련을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스탠리 코렌 박사의 저서 '개의 지능(The Intelligence of Dogs)' 기준 순위는 45위였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비숑 프리제의 크기는 체고가 23 ~ 31㎝, 체중은 5 ~ 8kg정도되는 소형견이지만 체중이 10kg을 넘는개체도 있다. 암수의 크기는 비슷하거나 수컷이 약간 더 큰 정도이다. 외모는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명랑하고 쾌활한 견종으로 걸음걸이가 생기발랄하며, 주둥이 길이는 중간 정도이다. 털은 몽골 염소와 매우 흡사하게 길고 아주 느슨하게 돌돌 말린 형태를 띠는 특징이 있다. 머리를 자신만만하게 높이 들고 있으며, 짙은 색 눈에서 생동감과 풍부한 표정이 느껴지기도 한다.
신체 비율은 체고보다 체장이 길며, 몸통은 직사각형이다. 두개골 길이와 주둥이 길이의 비율은 3:2이고, 가슴의 깊이는 지면부터 엘보까지 길이와 동일하게 보인다.
► 머리 : 머리는 몸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흰색 두부에 눈 두 개와 코가 또렷한 검은색으로 두드러져 있으며, 그 전체적인 모습은 이등변 삼각형 모양을 형성해야 좋은 개체로 평가를 받는다. 머리는 두개골 털의 형태로 인해 둥그스름해 보이지만 만져보면 다소 납작하고 이마 중앙의 홈은 약간 두드러져 있으며, 두개골 길이는 주둥이 길이보다 긴 편이다. 두개골의 너비는 세로 길이보다 길지 않으며, 두부 전체 길이의 3/5에 해당된다. 눈썹 활은 과도하게 두드러지지 않아야 하며, 스톱은 구분되지만 크게 두드러지지 않는 모습이다.
• 코 : 코는 둥그스름하며, 색은 검은색이고, 형태가 뚜렷하면서 윤기가 흐른다. 주둥이는 기저부가 매우 넓고, 코 쪽으로 올수록 크게 가늘어지지 않아 보이며, 길이는 머리 길이의 2/5 정도이다. 콧등은 곧게 보이긴 하지만 아래로 내려가지도 위로 들려 있지도 않다.
• 입 : 입술은 섬세하고 얇은 편이며, 윗입술은 아랫입술을 덮을 정도로만 내려오며, 두툼하거나 아래로 길게 늘어지지 않아야 한다. 색깔은 보통 입 가장자리까지 검은색이고, 아랫입술은 너무 두툼하지 않아야 하며,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얇지도 않아야 한다. 입술은 아래로 축 처지지 않아야 하며, 입을 다물고 있을 때는 입안의 점막이 보이지 않아야 한다. 아래턱의 앞니가 위턱의 앞니 바로 뒤에 위치하는 일반적인 교합을 형성해야 한다. 주로 협상교합이 선호되지만 절단교합도 허용은 된다. 이빨이 어떤 교합이던지 이빨은 모두 갖추어진 쪽이 선호된다. 그렇다고 이빨이 없다고 해서 결격사유에는 해당이 되지는 않는다. 볼은 납작하다.
• 눈 : 눈은 색이 매우 짙고, 크기는 중간 정도이며, 아몬드처럼 길쭉하지 않고 다소 둥근 편이다. 눈은 너무 크거나 돌출되지 않아야 한다. 눈은 비스듬하게 자리하지 않아야 하며, 눈 가장자리 전체가 검정색이어야 한다. 특히 정면을 볼 때 흰자가 보이지 않아야 한다. 도그 쇼 등에서는 이 부분을 아주 엄격하게 심사하는 부분이다.
• 귀 : 귀는 아래로 쳐진 형태이고, 섬세하게 컬이 형성된 긴 털이 풍성하게 덮고 있다. 귀는 눈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이등변 삼각형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볼 쪽으로 귀가 수직으로 접힌 모양이고, 앞으로 잡아당기면 귓불이 최소 입술 가장자리에 닿아야 하며, 최대 주둥이 중간부분에 닿는 길이여야 한다. 귀는 움직임이 많은데 특히 주의를 집중할 때 많이 움직이는 편이다.
► 목 : 목은 상당히 길고, 목을 당당하게 높이 들고 있다. 두개골과 가까운 부분은 둥글고 가늘며, 어깨와 만나는 쪽에 가까울수록 점차 넓어지다가 자연스럽게 어깨로 이어진다. 목의 길이는 체장의 약 3분의 1 정도이고, 목 줄기가 쳐지지 않아야 한다.
► 몸통 : 등선은 곧게 뻗어 있고 꼬리 뿌리와 거의 수평을 이루며, 기갑은 상당히 두드러져 있다. 등은 평평하고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허리는 넓적하고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약간 아치형이다. 엉덩이는 약간 둥글고, 아주 약간 경사진 형태이다. 가슴은 잘 발달되어 있고, 엘보까지 깊이 내려온 형태이며, 두툼하게 보인다. 늑골은 둥그스름하게 구부러진 형태로 끝이 뭉툭하게 잘려나간 형태가 아니어야 하고, 전체적으로 가슴은 세로길이(깊이)보다 가로가 더 긴 편이다. 몸통 하부 윤곽과 복부 윤곽에서는 가슴 아랫면은 복부로 갈수록 약간 위로 올라가는 형태이고, 복부는 적당히 홀쭉하며, 옆구리는 상당히 홀쭉한 편이다. 피부는 얇지만 쳐지지 않아야 한다.
► 꼬리 : 꼬리는 뿌리가 등선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하며, 높이 들고 있다. 꼬리는 척추 쪽으로 휘어져 우아한 곡선을 그리지만 둥글게 말지 않아야 하며, 절단하지 말아야 한다. 꼬리 끝이 등에 닿지 않아야 하지만 꼬리의 긴 장식 털은 등에 닿을 수 있으며, 움직일 때는 꼬리를 반드시 들고 있어야 한다.
► 사지 : 앞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정면에서 보면 매우 곧게 수직으로 뻗어 있고, 뼈 굵기는 적당한 수준이며, 어깨는 충분히 뒤로 젖혀진 모양을 하고 있다. 앞다리 상부는 어깨와 큰 각을 이루고 있고, 엘보는 가슴과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완은 일자로 뻗어 있으며, 어느 쪽에서 보아도 직각이 유지되는 모습이다. 발목은 정면에서 보면 짧지만 곧게 뻗어 있고, 측면에서 보면 아주 약간 비스듬하다. 발은 단단하고 둥글며, 꼭 쥔 형태이다. 발은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말아야 하며, 패드는 검은색이어야 하고, 발톱은 검은색인 쪽이 선호된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골반이 넓적한 편이고, 근육이 상당히 잘 발달되어 있으며, 뒤에서 보면 두 다리가 평행하면서 바닥과 수직으로 만난다. 허벅지는 넓적하고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다. 무릎은 큰 각을 형성하며,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방향이 치우치지 않아야 하고, 허벅지 하부의 길이가 허벅지 상부와 거의 동일하게 보인다. 비절은 아래로 낮게 내려가 있고 형태가 두드러져 보이며, 발목은 가늘다. 며느리발톱은 없다. 발은 단단하고 둥글며, 꼭 쥔 형태이다. 발은 안쪽으로나 바깥쪽으로 치우치지 말아야 하며, 패드는 검은색이어야 하고, 발톱은 검은색인 쪽이 선호된다.
► 털과 색 : 피부는 몸 전체 피부가 팽팽하고, 짙은 색이 선호되지만 피부색은 모색과 무관하며, 생식기 부위는 검은색이 선호된다.
털은 아주 풍성하게 보인다. 털은 이중 모 구조로 상모는 느슨하게 돌돌 말린 컬을 형성하며(곱슬곱슬한 털을 이루고 있음), 하모는 부드러운 털이 밀도 높게 자리하고 있다. 털이 납작하게 누워 있거나 매듭처럼 꼬이는 경우에는 결격사유에 해당이 되며, 특히 양모처럼 덥수룩하거나 엉겨 붙어 있을 경우에는 실격사유에도 해당이 된다.
모색은 대게 흰색이 많으며, 미색이나 살구색을 가진 개체도 있다. 특히 성견의 모색은 순백색(pure white)이지만 생후 12개월 전까지는 모색이 약간 베이지색(샴페인)을 띄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색이 전체 피모의 10% 이상을 차지하지 않아야 한다. 살구색의 경우에도 전체적으로는 흰빛이 돌아야 한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와 움직임은 빠르고 편안하며, 바닥 전체를 포괄하면서 움직인다. 빠른 걸음을 걸을 때는 머리를 높이 들고 꼬리는 등 쪽으로 크게 구부러지며, 뒷다리가 충분한 동력을 제공하면서 네 다리가 평행으로 보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