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6070 낭만길걷기 원문보기 글쓴이: 미션
2. 계엄 이후 ‘유튜브 시청 시간 1000만시간 증가’, ‘텔레그램 신규 설치 4배 증가’
→ 정국 혼란 속에서, 유튜브, 텔레그램 ‘초대박’...
유튜브의 경우 하루 평균 사용 시간은 126분에서 149분으로 23분 늘어.
가짜뉴스들도 한몫
3. 보수 한국사 채택한 전국 유일 ‘문명고교’, 좌파 성향 교과서도 보조교과서로 병행
→ 전교조 등 공격에 추가 채택.
추가로 채택한 교과서 가격은 권당 1만 원으로, 학교가 부담
4. 주요 수술 중 백내장이 ‘최다’
→ 63.8만건, 전년보다는 13% 감소.
건보공단 2023 수술 통계연보.
2위는 일반 척추 수술(20만7000건), 3위는 치핵 수술(15만2000건),
백내장 수술의 감소는 실손보험 지급이 엄격해졌기 때문
5. 국내 에이즈 환자 누적 생존률 83.2%
→ 1985년 에이즈 첫 국내 발병, 작년까지 1만9700명 발생,
현재 생존 1만 6400명...
한해 신규 발생 2019년 1223명 최다 기록.
이후 하향세,
지난해엔 1005명을 기록.
국내 감염사례 중 외국인 비중은 25.5%로 증가세
■'에이즈 유발' HIV 감염 17년 추적해보니…100명 중 4명 사망
◇국립보건연구원 2006~2023년 한국 HIV/AIDS 코호트연구 분석
◇2030 감염 비율 높아…"이에 맞는 예방관리 대책 세워야"
6. 한국피자헛, ‘회생’ 절차 돌입
→ 가맹점주 94명이 제기한 ‘원부자재에 붙인 마진 반환 청구’ 소송 2심에서 회사가 210억 지급하라 판결이 결정적...
대법원 판결 앞두고 가맹점주들이 가맹본부 계좌 등을 압류하면서 사업 운영에 차질이 생기자 법원에 기업 회생을 신청한 것
7. 30년 전 아빠 간 1/4 이식 받은 1살 아기, 지금은
→ 1994년 12월 8일, 뇌사자가 아닌 국내 최초 살아있는 사람 간 이식 수술.
올해 건강하게 서른살을 맞은 이지원씨(여), 현재 직장 생활.
아산병원은 이후 성인 7032명, 소아 360명에게 생체 간이식 수술, 세계 최다 기록
1995년 5월 주치의인 김경모 소아소화기영양과 교수(왼쪽 두 번째) 등 의료진이 생후 15개월이던 이지원씨의 퇴원을 축하해주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국내 첫 생체 간이식 주인공인 이지원씨가 당시 집도의였던 이승규 간이식·간담도외과 교수(왼쪽)와 주치의인 김경모 소아소화기영양과 교수와 함께 30주년을 기념하며 사진을 찍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8. 손흥민, 8년 연속 ‘한국 빛낸 스포츠스타’
→ 한국갤럽 만 13세 이상 1741명 대상 조사.
자유응답으로 두 명까지 뽑아달라고 물은 결과 손흥민이 70.7%의 압도적 지지로 1위.
2위는 이강인(12.7%), 3위는 신유빈(10.4%)...
0위권에 야구선수는 한명도 없어▼
9. ‘트럼프 대선에 4000억원 올인’ 머스크, 한 달 사이 자산 244조원 늘었다
→ 지난달 대선 이후 약 40일 사이에는 테슬라 주가 상승 등으로 1700억달러(약 244조원) 늘어.
자신이 트럼프 대선에 ‘투자’한 돈 대비 614배에 달하는 수익을 올렸다는 분석
10. 70년대 출생 X세대, 월 평균소득 624만원
→ 50대인 X세대가 연령별 소득에서 가장 많아.
그러나 경제적으로 가장 빠듯한 세대...
가족에 대한 경제적 지원 여부를 묻는 질문에 ‘부모와 자녀를 모두 지원한다’는 응답이 43%에 달해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