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影(대영)
진각혜심(眞覺慧諶:1178~1234)
속성(俗姓)은 최(崔), 이름은 식(寔)이다.
자는 영을(永乙)이며, 호는 무의자(無衣子)이다.
법호는 헤심(慧諶), 시호는 진각(眞覺), 탑호(塔號)는 원소(圓炤).
1201년(신종 4)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조계사(曹溪寺) 지눌(知訥) 밑에서 승려가 되었다.
1210년 지눌이 죽자, 왕명으로 수선사(修禪社)에 들어가 지눌(知訥)의 뒤를 이어 조계종 2세가 되었고, 고종이 즉위하자, 선사(禪師), 뒤에 대선사(大禪師)가 되었다. 1219년(고종 6) 수선사(修禪社)에 있으면서 지리산 단속사(斷俗寺)의 주지를 겸하다가 1233년 (고종 20) 세수 57세, 법랍 32년으로 월등사(月燈寺)에서 입적하였다. 고종이 진각국사(眞覺國師) 시호(諡號)를 내리고 부도(浮屠)의 이름을 원소지탑(圓炤之塔)이라 사액(賜額)하였다. 부도는 송광사(松廣寺) 광원암(廣遠庵)에 있으며, 이규보가 찬한 진각국사비는 월남사(月南寺)에 있다.
저서로는 『선문염송(禪門拈頌) 』 ·『선문강요(禪門綱要)』 ·『무의자시집(無衣子詩集)등이 있다.
연못가에 홀로 앉아서
池邊獨自坐 지변독자좌
우연찮게 연못에 잠긴 스님을 만났네
池底遇逢僧 지저우봉승
묵묵히 웃으며 서로 바라볼 뿐
默默笑相視 묵묵소상시
그대를 알아보고도 말을 건네지 않았네
知君語不應 지군어불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