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Q)와 ext(Q)를 구하고 b(Q) 구하는 방식으로 풀어보려했는데 답이 다르더라구용 ㅠㅠint(Q)=Q, ext(Q)= R-Q 아닌가요ㅜㅜ
첫댓글 1. 0을 포함한 open set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이를 관찰하시면 Q의 내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2. 같은 방법으로 루트2를 포함한 open set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이를 관찰하시면 R-Q의 내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1-모든 유리수에 대해서 열린집합 존재하는 것 아닌가요..?제가 어느 부분을 잘못 생각하고 있는지 모르겠어요ㅜ
@화이팅하장 위상의 원소가 곧 open set입니다. 0포한한 open set 하나만 말해보세요.
@이러케 (-1,1) 헐 이게 유리수에 다시 포함이 안되서 공집합이 되는건가요,,,!
@화이팅하장 (-1, 1)이 위상에 포함될까요~?
@이러케 아,, (-1, ∞) 이거요!!
@화이팅하장 맞습니다. 그것은 0을 포함한 open set입니다. 그게 Q에 다시 포함되나요?
@이러케 안되는 원소들이 존재하네용,, ㅎ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될껄 ㅠㅠ 하나하나 친절히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화이팅하장 화이팅 하세요
첫댓글 1. 0을 포함한 open set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이를 관찰하시면 Q의 내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같은 방법으로 루트2를 포함한 open set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이를 관찰하시면 R-Q의 내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1-모든 유리수에 대해서 열린집합 존재하는 것 아닌가요..?제가 어느 부분을 잘못 생각하고 있는지 모르겠어요ㅜ
@화이팅하장 위상의 원소가 곧 open set입니다. 0포한한 open set 하나만 말해보세요.
@이러케 (-1,1) 헐 이게 유리수에 다시 포함이 안되서 공집합이 되는건가요,,,!
@화이팅하장 (-1, 1)이 위상에 포함될까요~?
@이러케 아,, (-1, ∞) 이거요!!
@화이팅하장 맞습니다. 그것은 0을 포함한 open set입니다. 그게 Q에 다시 포함되나요?
@이러케 안되는 원소들이 존재하네용,, ㅎ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될껄 ㅠㅠ 하나하나 친절히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화이팅하장 화이팅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