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축제 - 데이비드 오케인 (DAVID O'KANE)
데이비드 오케인 (DAVID O'KANE)
○ 행사개요
- 갤러리바톤은 데이비드 오케인(David O’Kane, b. 1985)의 개인전 《Symphony of Selves
(자아의 교향곡)》을 1월 17일부터 2월 15일까지 한남동 전시 공간에서 개최한다. 바톤과의
세 번째 개인전에서 작가는 일련의 회화 신작을 통해 과거의 기억과 뒤섞인 환영의 영향 아래
에 놓였던 내면의 삶을 암시함으로써, 자아의 독자성에 대한 환상을 해체한다.
기괴하고, 장난스럽고 심지어 유머러스하고 터무니 없어 보이는 이미지들을 통해 작가는 보
는 이를 황혼과 여명 사이 간신히 보이는 빛 속에서만 존재하는 상상의 내면 세계로 초대한다.
마이스 사이트 코드엠! 마이스의 모든 정보는 CODE:M 에서! https://www.code-m.kr
○ 행사일정 및 장소
- 행사 일정 : 2025. 01. 17 ~ 2025. 02. 15
- 행사 장소 : 갤러리바톤
○ 행사내용
- 오케인은 벨라스케스부터 렘브란트, 프란시스 베이컨에 이르는 미술사적 참고 자료를 바탕으로
자신의 자화상을 모티브로 한 미지의 인물을 만들어낸다. 자기 과시, 미스터리, 의심 사이를 오가
는 대담한 회화는 진지함과 노골적인 비합리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이는 작가가 창조한 인물
의 심오함을 지지하는 동시에 해체하는 역할을 한다. 전시 작품 중 일부는 창작자로서 예술가를 묘
사하는 반면, 다른 작품들은 이를 적극적으로 부정한다.
Gloaming (2024)과 Zwielicht (2024)에서 등장하는 인물은 이젤에서 캔버스를 비틀고 있다.
오케인에 따르면, 캔버스 천은 표면에 환영을 담아내는 재료이자 회화 작업이라는 마법 같은 행위
의 매개체이며 우리 세계에 대한 주관적인 은유이다. 따라서, 작품을 공개하는 행위를 통해 인물
자체는 부정되며 이내 추상화 된다.
작품들은 미지의 형상으로 통일되어 있지만, 각각 개별 작품이자 모든 작업을 관통하는 단일한 해석
을 거부한다. 마치 유령 같은 존재처럼 그들의 이야기는 구체적이면서도 일시적인 것처럼 보이며,
드러나지 않는 각각의 내러티브를 암시한다. 예를 들어, Catching Light (2024)에서는 두 인물이
장난스럽게 포즈를 취하고 있고 캔버스가 우아하게 춤추는 가운데, 위에서 흘러내리는 빛은 아주 작
은 물보라의 흔적만을 암시한다. 이미 일어난 일과 앞으로 일어날 일 사이의 이 밀고 당기는 춤은 오케
인 작업의 상징과도 같다. 실제로 작가는 예리한 필치로 기승전결에 대한 암시를 통해 보는 이를 작품
속으로 끌어들인 후, 환상이 드러나기 직전 이를 능숙하게 무너뜨리는 방식으로 관람자의 참여를 유도한다.
○ 관람신청(입장료 및 사전신청 등)
- 무료
○ 문의
- ☏ 02-597-5701
https://www.code-m.kr/mice/view/13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