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방서예자료[406]가나다순座右銘 모음
○家給人足 (가급인족) 집안 형편이 풍족하고, 인심이 넉넉하여 살기가 좋음.
○佳氣滿高堂 (가기만고당) 상서로운 기운이 집안 가득하다
○可與樂成 (가여낙성) 함께 일을 성공 시키고 함께 기뻐함.
○家和萬事成 (가화만사성) 집안이 화목해야 모든 일을 이룰 수 있다
○刻苦勉勵 (각고면려) 정성을 다해 열심히 노력함. 어려움을 이겨서 노력하면 성공이 있음.
○肝膽相照 (간담상조) 간과 쓸개를 서로 보인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터놓 고 사귀는 것을 이르는 말
○間雲孤鶴 (간운고학) 세상의 번거로움에서 해방되어 아무런 속박을 받지 않고 자연과 친하며 사는 경지.
○看雲步月 (간운보월) 구름을 보고 달을 보며 걷는다는 뜻으로,
고향 생각이 간절하여 낮에는 하늘의 구름을 바라보고 밤이면 달 빛 아래에서 거닌다는 의미
○竭力盡能 (갈력진능) 힘을 다해 자기 하는 일에 최선을 다 한다.
○竭誠盡敬 (갈성진경) 정성을 다하고 공경을 다하여라.
○岡談彼短 (강담피단)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라.
○江山我隣 (강산아린) 강과 산이 바로 나의 좋은 이웃 즉 자연을 사랑하며 산다는 뜻.
○江深無聲 (강심무성) 강이 깊으면 소리가 없다. 인격이 완숙한 사람은 말이 적다.
○江深水靜 (강심수정) 강이 깊으면 물이 고요하다. 마음이 깊으면 항상 정서 가 온화하다.
○改過不吝 (개과불인) 잘못 고치기를 인색하게 하지 말라.
○開卷有益 (개권유익) 책을 열면 유익이 있다
○蓋世功勞 當不得 一個矜字 (개세공로 당부득 일개긍자)
세상의 큰 공로도 마음속 긍지 하나를 당하지 못 한다 (菜根潭)
○居敬而行簡 (거경이행간) 몸가짐을 공경스럽게 하고 관대한 마음을 갖자.
○居敬慈和 (거경자화) 살아감에 있어 공경하고 자애와 화기를 가져라.
○居無求安 (거무구안) 살아감에 편안한 것만 구하지 마라.
○去華就實 (거화취실) 화려함을 추구하지 말고 검소한 길을 가라.
○健康至福 (건강지복) 건강이 가장 귀중한 복이로다.
○乾坤純和 (건곤순화) 천지가 온화해 지듯 우리도 온화한 마음으로 살자.
○格貴品高 (격귀품고) 인격은 소중하게 품위는 고상하게 하라.
○格物致知 誠意正心 修身薺家 治國 平天下(격물치지 성의정심 수신제가 치국 평천하)
사물의 바탕에 대해 궁구하고 그 앎을 투철히 하며 그 뜻 을 정성되히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한 연후에 자기수양을 하여 가정 을 반듯하게 하고 국가에 이바지 하며 세계평화와 인류발전에 공 헌한다.
○見得思義 (견득사의) 내게 득이 되는 일이 있으면 먼저 의를 생각하라.
○見利思義 (견리사의) 내게 이로움을 보거든 의를 생각하라.
○見善如渴 聞惡如聾 (견선여갈문악여롱) 착한 일 보기를 마치 목마른 사람이 물을 보듯 하라.
악한 것을 듣거든 귀머거리 같이하라
○見善則遷 (견선즉천) 선한 것을 보면 자신도 그것을 즉시 실천하라.
○堅如金石 (견여금석) 결심 굳기가 금이나 돌 같음.
○見仁見智 (견인견지) 仁者見仁 智者見智 어진 사람 눈엔 어진 것이,
지혜로 운 사람 눈엔 지혜로운 것만 보인다. 같은 사물도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말씀
○堅忍不拔 (견인불발) 만사에 굳게 참고 견디어 마음을 빼앗기지 아니함.
○見賢思齊 (견현사제) 어진사람 만나기를 좋아하며 생각은 언제나 바르게 하 며 살자.
어진 이를 보고 자기 자신을 돌이켜 생각하라.
○謙讓之德 (겸양지덕) 겸손하고 사양하는 미덕을 갖자.
○謙者衆善之基 (겸자중선지기) 겸손은 모든 선행의 기본이 되느니라.
○謙則有德 (겸즉유덕) 겸손한 가운데 덕이 있으니 항상 겸손하게 살자.
○謙和勤儉 (겸화근검) 겸손하고 화목하고 부지런하고 검소 하라.
○敬事而信 (경사이신) 맡은 일을 공손하게 하면 신용을 얻게 된다.
○敬愼無怠 (경신무태) 삼가 존경하고 태만함이 없도록 하자.
○敬身修德 (경신수덕) 내몸을 공경하고 덕을 닦아라
○敬愛和樂 (경애화락) 남을 공경하고 사랑하며 화화롭고 즐겁게 살자.
○景雲和暢 (경운화창) 봄 경치가 부드럽고 화창 한 것 같이 온 집안에 행운 이 가득하리.
○輕敵必敗 (경적필패) 적을 업신여기면 반드시 패함.
○敬天愛人 (경천애인) 하늘을 공경하고 사람을 사랑하자.
○鏡花水月妙有 (경화수월묘유) 거울에 비친 꽃, 물에 비친 달그림자 속에도 무한한 뜻이 있다.
우주의 신비와 진리는 모든 곳에 있다는 뜻.
○高柳好鳥鳴 (고류호조명) 높은 버들에 좋은 새 울고, 우리 집엔 행운이 넘치 네.
○顧名思義 (고명사의) 항상 자신의 이름을 더럽히지 않게 자신을 뒤돌아보며 정의로운 일을 행하도록 하라.
○高志 (고지) 높은 뜻, 높은 이상을 갖자
○苦盡甘來 (고진감래) 고생스러운 일이 다 지나가면 반드시 즐거운 일이 온 다.
○高行默言 (고행묵언) 고상한 행동을 하는 사람은 말수가 없다.
○曲在我 (곡재아) 모든 잘못은 나로부터 생긴다.
○恭寬信敏惠 (공관신민혜) 공손하고 너그럽고 신의 있고 민첩하고 은혜로워 라.
○公生明 (공생명) 공평하면 판단을 그르치지 않는다
○恭則不侮 (공즉불모) 공손한 마음을 지니면 남을 업신여기지 않는다.
○恭則壽 (공즉수) 공손하면 장수한다.
○公平無私 (공평무사) 공평하고 사적인 감정이 없음
○空行空返 (공행공반) 행해야 하는 일에 행함이 없으면 돌아오는 소득도 없 다.
○過如不及 (과여불급) 모든 일이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
○過猶不及 (과유불급) 위와 같음
○觀水洗心 觀花美心 (관수세심 관화미심) 물을 보면 마음을 씻고 꽃을 보면 마음을 아름답게 하라
○寬仁大度 (관인대도) 마음이 너그럽고 어질며 인정이 있고 도량이 큼.
○寬仁厚德 (관인후덕) 어질고 너그럽고 덕이 두터운 사람이 되자.
○寬中自愛 (관중자애) 마음이 너그러운 중에 자신을 사랑하라
○寬則得衆 (관즉득중) 마음이 너그러운즉 많은 사람의 사랑과 호응을 얻게 된다.
사람을 너그럽게 대하는 마음 넓은 사람이 되어라.
○光陰如流 (광음여류) 시간은 흐르는 물같이 빨리 지나가기 쉬운 것, 시간을 소중히 하라는 뜻.
○光風霽月 (광풍제월) 비 그친 뒤의 상쾌한 바람과 그 맑은 하늘에 뜬 밝은 달처럼
사람의 성품이 거리낌 없이 높고 밝아 깨끗함을 이름.
○交友以信 (교우이신) 믿음으로써 벗을 사귐.
○敎學相長 (교학상장) 가르치고 배우면서 서로 성장한다.
○口是禍門 (구시화문) 입은 화를 불러들이는 문이니 항상 입조심 하라.
○口禍之門 (구화지문)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다. 항상 말조심을 하자.
○君家受福 (군가수복) 군자의 가문은 복을 받는다
○君子道長 (군자도장) 군자의 도는 발전한다.
○君子不器 (군자불기) 군자는 자잘한 잔재주는 부리지 않는다.
○君子上達 (군자상달) 군자는 끊임없는 노력으로 늘 위에 도달한다.
○君子之學 勇在遷善 (군자지학 용재천선) 군자의 배움은 잘못된 것을 선한 것으로 바꾸는 용기를 말한다
○君子之學也 入平耳 著乎心布乎四體 (군자지학야 입평이 저호심포호사체)
군자는 학문을 하되 귀로들은 것을 마음에 새겨 인격을 형성하고 몸에 익혀
예의에 걸 맞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荀子 勸學)
○君子之學 必日新 日新者 日進也 (군자지학 필일신 일신자 일진야)
군자의 배움은 날로 새로워져야 하니 날로 새롭다는 것은 날로 나아가는 것이다 (近思錄)
○君子和而不同 (군자화이부동) 군자는 어떤 경우라도 사람들과 서로 어긋나 지 않고 화합해서 일을 잘해 나간다.
우리도 남과 잘 어울려 성공 된 사회생활을 해야 한다.
○權名財不如健康 (권명재불여건강) 권세와 명예와 재물이 좋아도 모두 건강 만 못하다.
○勸善懲惡 (권선징악) 착한 행실을 권장하고 악한 행실을 징계함.
○克己復禮 (극기복례) 욕망을 억제하며 예의바른 행동을 한다
○勤儉力行 (근검역행) 일에 힘쓰고 낭비하지 않으면서 노력함.
○勤儉成家 (근검성가) 부지런하고 검소한 것으로 집안을 일으켜라.
○勤儉爲先 (근검위선) 부지런하고 검소함을 으뜸으로 삼아라.
○勤儉和德 (근검화덕) 부지런하고 검소하게 화목하고 덕스럽게 하라.
○勤儉和順 (근검화순) 부지런하고 검소하며 온화하고 유순함.
○勤勉得寶 (근면득보) 부지런하면 복을 얻는다.
○勤勉誠實 (근면성실) 부지런하고 근면하면서도 성실하자.
○近墨者黑 (근묵자흑) 먹을 가까이 하는 자는 먹이 묻기 쉽다. 나뿐 벗을 사 귀면 자신도 나빠진다.
○勤實力行 (근실역행) 부지런하고 성실하게 힘을 다해 실천하자.
○根深不枯 (근심불고) 뿌리가 깊으면 나무는 무성하고 마르지 않는다.
기초가 단단하면 결과가 좋아지고 성공할 수 있다.
○根深葉茂 (근심엽무) 뿌리가 깊으면 잎이 무성하다.
○根深之木 風亦不抗 源遠之水 旱亦不竭 (근심지목 풍역불항 원원지목 한역불 갈)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고 샘이 깊은 물은 가 뭄에 마르지 않는다
○根深枝榮 (근심지영) 뿌리가 깊어야 가지가 번창한다.
○謹言愼行 (근언신행) 말을 삼가고 행동을 신중하게 하라.
○勤爲無價之寶 (근위무가지보) 근면은 무한한 가치를 지닌 보배로다.
○勤爲至寶 (근위지보) 근면은 지극한 보배이다.
○近者說 遠者來 (근자열 원자래) 가까운 사람에게 기쁨을 주면 먼 곳에 있는 사람들이 스스로 찾아오게 된다
○勤者治人 (근자치인) 근면이 사람을 바로 만들어 나간다.
○勤則無難 (근즉무난) 부지런하면 어려움이 없느니라.
○金蘭之交 (금란지교) 금이나 난초와 같이 귀하고 향기를 풍기는 두 사람의 사귐.
○金石之交 (금석지교) 금이나 돌같이 사귐이 굳고 변함이 없음.
○琴瑟之樂 (금슬지락) 부부사이의 화락하고 다정함.
○錦心繡口 (금심수구) 비단같이 고운 마음을 갖고 비단같이 아름다운 말을 하며 사는 착한 사람이 되어라
○急則敗矣 (급즉패의) 급히 서두른 일은 실패하기 쉽다. 큰일은 신중하게 천 천히 시작하는 것이 좋다.
○棄舊不祥 (기구불상) 옛것을 버리면 후회할 일이 생긴다.
○其道光明 (기도광면) 항상 자기가 나갈 도를 밝히면서 살자.
○氣山心海 (기산심해) 기백은 산과 같이 높고 크고, 마음은 바다 같이 넓어 라.
○起身正 不令而行, 其身不正 雖令不從 (기신정 불령이행 기신부정 수령불종)
자신이 옳으면 명하지 않아도 따르고, 옳지 않으면 명령해도 따르 지 않는다
○騎虎之勢 (기호지세) 일을 계획하면 중도포기 말라
○樂道人之善 (낙도인지선) 남의 선행을 말하기 좋아하라.
○樂不可極 (낙불가극) 사람은 傲慢(오만)한 버릇을 길러서는 안 된다.
○樂善不倦 (낙선불권) 착한 것을 좋아하고 게으르지 않는다. 즉 착한 일을 열 심히 잘 하는 사람이 되자.
○樂業安居 (낙업안거) 일을 기꺼이 하며 편안한 마음으로 살자.
○落地生根 (낙지생근) 땅에 떨어진 종자는 뿌리가 생겨 크게 자란다.
사람도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큰 사람이 된다는 뜻.
○樂天知命 (낙천지명) 천명을 알고 천명에 만족하며 즐겁게 산다.
○內誠外敬 (내성외경) 안으로는 참되고 밖으로는 공경하는 마음.
○內直而外曲 (내직이외곡) 마음은 도리에 맞게 곧고 바르게 갖고 외면은 세 상에 맞는 태도를 취하면서 살라.
○老馬之智 (노마지지) 늙은 말의 지혜. 경험을 쌓은 사람이 갖춘 지혜,
상대 방이 누구이든 가리지 말고 배울 점이 있으면 배워라.
○露積成海 (노적성해) 한 방울의 이슬이 모여 바다를 이룬다.
○訥言敏行 (눌언민행) 말은 적게 행동은 민첩하게 하라
○能忍最寶 (능인최보) 참는 것이 가장 좋은 보배이다.
○多多益善 (다다익선) 착한 일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多動多事 (다동다사) 많이 움직이고 많은 일을 하여라.
○多言失語 (다언실어) 말을 많이 하면 실어하기 쉽다.
○多情佛心 (다정불심) 다정다감하며 자비롭고 착한 마음.
○斷機之敎 (단기지교) 학업을 중도포기하면 짜던 베의 날줄을 끊는 것과 같이 이득이 없다 (後漢書)
○達不離道 (달불리도) 출세를 해도 도를 떠나서는 아니 된다.
○大器晩成 (대기만성)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
○大道無門 (대도무문) 큰 도에는 문이 없다. 즉 어디로도 통한다.
○大道不器 (대도불기) 큰 도는 어떤 곳에 사용해도 타당하다.
○大明復光 (대명복광) 세상을 크게 밝히고 영원히 빛을 남길 사람이 되자.
○大謀不謀 (대모불모) 큰 꾀는 꾀하지 않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大信不約 (대신불약) 크게 신뢰를 받는 사람은 어디를 가든지 신용을 얻는다
○大人無己 (대인무기) 큰사람은 자신을 앞세우지 않는다.
○對人春風 (대인춘풍) 사람을 대하기를 봄바람같이 부드럽게 하라.
○大志遠望 (대지원망) 뜻은 크게 꿈은 원대히 하라
○大地眞金 (대지진금) 우리가 무심히 보는 대지가 참된 황금이라는 뜻으로
천 지의 변화 속에 진실한 우주인생의 진리가 함축되어 있다는 말.
○大海受百川 (대해수백천) 바다는 수많은 냇물을 받아 들인다
○德累功積 (덕루공적) 功(공)을 쌓아야 덕이 쌓인다.
○德不孤 (덕불고) 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다
○德不孤 必有隣 (덕불고 필유린) 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아니하고 반드시 마음을 나누는 이웃이 있다.
○德成禮供 (덕성례공) 덕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예의가 바르다
○德崇業茂 (덕숭업무) 덕을 높이 숭상하면서 사업을 번성하게 하자.
○德如海 (덕여해) 바다와 같이 큰 덕을 쌓아라.
○德如海水 (덕여해수) 덕의 배어남이 바다와 같다.
○德潤身 (덕윤신) 덕을 쌓으면 자신의 삶이 스스로 윤택하게 된다.
○德者得身也 (덕자득신야) 덕은 몸으로 채득해서 얻어야 한다.
○德者事業之基 (덕자사업지기) 덕은 모든 사업을 일으키는 기반이니라.
○德在人先 (덕재인선) 덕을 갖추고 남보다 앞서라
○德必有隣 (덕필유린) 덕이 있으면 반드시 좋은 이웃이 있게 마련이다.
○德惠勿忘 (덕혜물망) 남의 큰 은혜를 잊지 말라.
○道氣長存 邪不入, 眞心堅守 福先來 (도기장존 사불입 진심견수 복선래) 도 의 기운이 항
상 머물고 있으면 사악한 기운이 들어 오지 못하고. 진심을 굳게 지키면 복이 먼저 이른다. (道德經)
○道高經明 (도고경명) 道(도)가 높고 경륜이 밝은 훌륭한 사람이 되자
○道高德重 (도고덕중) 도의를 높이고 덕을 소중히 하여라.
○桃李不言 (도리불언) 복숭아와 오야가 꽃피면 말이 없어도 사람이 꽃구경을 하러 찾아와
그 밑에 저절로 길이 생긴다. 사람도 덕이 있으면 사 방에서 그를 흠모하여 찾아온다.
○道法自然 (도법자연) 道(도)는 자연을 법도로 삼고 있는 것이다.
○道不遠人 (도불원인) 도는 사람의 본성일 뿐 먼곳에 있지 않다
○道成德立 (도성덕립) 도를 이루고 덕을 이룬다.
○道通爲一 (도통위일) 도는 통하고 보면 모두가 한 뿌리다.
○道乎技矣 (도호기의) 道(도)는 재주보다 더 월등하다.
○讀書萬倍利 (독서만배이) 독서를 하면 만 배의 이익이 생긴다.
○讀書百遍義自見 (독서백편의자견) 책을 여러 번 읽으면 그 뜻을 자연히 알게 된다
○讀書知夜靜 (독서지야정) 책을 읽으니 밤의 고요함을 알게 되었네.
○獨坐觀心 (독좌관심) 홀로 앉아 마음을 살펴봄 (菜根潭)
○同心協力 (동심협력) 마음을 합하여 힘을 하나로 하여라
○動而不迷 (동이불미) 일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치밀한 계획을 잘 세우고 일 단 착수하면,
소신 있고 자신 있게 밀고 나가라.
○動靜有常 (동정유상) 動(동)가운데 靜(정)이 있고 靜(정)가운데 動(동)이 있으 니
항상 사람은 단면만 보지 말고 양면을 살피며 살자.
○登高自卑 (등고자비)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 차근차근 올라가야 한 다.
즉 큰일을 하려면 작은 것부터 착실히 실천해야 한다.
○登高自卑 (등고자비) 높은 곳을 오르려면 자신을 낮춰야 한다
○磨斧爲針 (마부위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끈기와 인내를 갖고 꾸준 히 노력하면 뜻을 이룬다는 뜻
○磨斧作針 (마부작침) 위와 동일
○磨我鐵杵 (마아철저) 자신을 쇠절구공이를 갈아서 만들 듯 늘 수행하자.
○磨鐵杵 (마철저) 쇠절구공이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마부작침과 같은 뜻
○萬古淸風 (만고청풍) 만고에 그치지 않고 불어오는 맑은 바람.
변하지 않는 지조와 높은 교양을 갖은 사람이 되어라.
○萬福雲集 (만복운집) 만가지 복이 구름처럼 모여들라
○萬福雲興 (만복운흥) 만가지 복이 구름처럼 일어나라
○萬事分已定 浮生空自忙 (만사분기정 부생공자망) 만사에 분수가 정해 있거 늘 사람들은 공연히 허둥대도다
○萬事如意 (만사여의) 만사가 뜻과 같이 된다.
○萬事亨通 (만사형통) 모든 일이 순탄하게 잘 이루어지이다.
○梅經寒苦發淸香 (매경한고발청향) 매화는 추위의 고통을 이겨내고 맑은 향기 를 풍긴다
○每事盡善 (매사진선)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라
○面壁九年 (면벽구년) 벽을 보고 구년을 수행하여 득도한 달마의 행적에서 유 래된 말로
자기 마음을 바로 보아 그 근본을 찾으려 하는 것
○勉學成家 (면학성가) 힘써 배워 가문을 일으켜라.
○明鏡止水 (명경지수) 잡념 없이 깨끗한 마음을 갖아라.
○明德成道 (명덕성도) 밝은 덕으로 참된 도를 이루어 나가자.
○明德惟馨 (명덕유형) 밝은 덕은 항상 향기로운 것이다.
○明月定中心 (명월정중심) 명월은 내 마음 속에 있으며, 내 마음이 달같이 밝 고 티 없음.
○明哲保身 (명철보신) 이치에 밝고 사리분명하게 매사에 법도를 지켜 처신함
○夢想成眞 (몽상성진) 꿈은 이루어진다. 열심히 노력하여 성공하자.
○無愧我心 (무괴아심) 내 마음에 한 점 부끄럼 없이 살자.
○無愧於天 (무괴어천)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이 살라.
○無信不立 (무신불립) 신용이 없으면 성공할 수 없다.
○無言實踐 (무언실천) 말없이 오직 부지런히 실천하면 성공이 온다.
○無爲自然 (무위자연) 함이 없이 스스로 그러하다. 인위적으로, 억지로 하지 않으며
스스로 그러한 대로 사는 소박한 모습 또는 본성대로 사는 삶의 모습 등을 말함
○無忍不達 (무인불달) 참을성이 없으면 무엇이든 달성 할 수가 없다.
○無忍不勝 (무인불승) 참을 줄 모르면 승리할 수 없다.
○無汗不成 (무한불성) 땀을 흘리지 않고서는 이루어지는 일이 없다. 즉 끊임 없는 노력이 사람을 성공시킨다.
○無恒産者 無恒心 (무항산자 무항심) 일정한 생업이 없으면 항상심이 없다. 즉 사람은 할 일이 있어야 한다는 말씀 (맹자)
○毋虛度歲月 (무허도세월)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말고 시간을 아껴 노력하면 성공하리라
○默如雷 (묵여뢰) 침묵은 우뢰와 같다. 말을 하는 것 보다 침묵(沈默)하는 것 이 더 귀하고 울림이 크다는 의미.
○物我一理 (물아일리) 만물과 나는 天理(천리)와 인성이 같다.
○樂善不倦 (락선불권) 선을 즐기는 사람은 권태가 있을 수 없다
○樂而不流 哀而不悲 (락이불류 애이불비) 즐겁되 막되지 않고 슬프되 비탄스 럽지 않다 (우륵)
○力勝貧 愼勝禍 (역승빈신승화) 힘써 노력하면 빈곤을 이기고 행동을 삼가면 화를 면한다
○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박학이독지 절문이근사) 널리 배우고 뜻을 참되게 가지며, 깐깐이 묻고 가까운 일부터 하라
○博學篤志 切問近思 (박학독지 절문근사)
子夏曰 博學篤志 切問近思 仁在其中矣 자하가 말하길 널리 배우 고 그 뜻을 돈독히 하라.
절실히 묻고 가까운 데서 생각하라 그리 하면 仁이 그 속에 있나니. (論語句)
○百鍊千魔 (백련천마) 자신을 백번이고 갈고 닦아라.
○百歲成滿 (백세성만) 오래오래 건강하게 사시옵소서.
○百世淸風 (백세청풍) 대대로 맑은 기풍을 이어간다
○百練千磨 (백연천마) 자신을 백번이고 천 번이고 갈고 닦아라.
○白雲無根 (백운무근) 흰 구름은 무심히 왔다 갔다 하며 한 번 간 뒤에 자취 도 없다.
우리의 마음을 흰 구름 같이 아무데도 매이지 말고 여유 롭게 하자
○百忍堂中 有泰和 (백인당중 유태화) 오래 참는 가정에 큰 평화가 있다
○百忍無憂 (백인무우) 백번 참으면 아무 근심이 없다.
○百忍有和 (백인유화) 백번 참는데 화평함이 있다.
○百折不屈 (백절불굴) 백 번 꺾어도 굴하지 아니한다. 굳센 의지로 매사에 매 진하라는 뜻.
○百折不回 (백절불회) 백번 꺾어도 결코 돌이키지 않는 굳은 의지를 갖자.
○法古創新 (법고창신) 옛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
○福生於淸儉 (복생어청검) 복은 청렴하고 검소한 데서 생겨난다.
○福以德招 (복이덕초) 행복은 그 사람의 덕행으로 얻어지는 것이다.
○本來無一物 (본래무일물)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아무것도 갖은 것이 없다.
욕심내지 말고 분수를 지키며 마음 편히 살자.
○本立道生 (본립도생) 기본이 서면 도가 생긴다.
○不改其樂 (불개기락) 도를 구하는 즐거움을 버리지 아니한다.
○不觀心無以通 (불관심무이통) 자신의 마음을 살피지 못하면 높은 경지에 통 달 할 수 없다.
○不求友無以成 (불구우무이성) 좋은 벗을 사귀지 아니하고는 성공할 수 없다.
○富貴不驕 (부귀불교) 부귀해도 교만하지 말라.
○富貴安樂 (부귀안락) 평생을 편안하고 부귀하며, 항상 편하고 즐거움이 넘쳐 라.
○富貴名譽, 自道德來者 如山林中花, 自是舒徐繁衍 (부귀명예 자도덕래자 여 산림중화 자시서여번연)
부귀와 명예가 도덕에서 생겨난 것이라면 산속의 꽃처럼 자연스럽게 번성할 것이다(菜根潭)
○不當趣所愛 亦莫有不愛, 愛之不見憂 不愛亦見憂 (부당취소애 역막유불애, 애지불견우 불애역견우)
사랑하는 사람을 만들지 말라. 역시 미워 하는 사람도 만들지 말라.
사랑하는 사람은 매일 볼 수 없어 괴롭 고 미워하는 사람은 매일 봐야 하기 때문에 괴롭다. (法句經)
○父母千年壽 子孫萬世榮 (부모천년수 자손만세영) 부모님 천년 장수하시고 자손만대 영화를 누리리
○夫婦和而 (부부화이) 부부가 화목해야 가정이 편하고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진 다.
○浮生虛舟 (부생허주) 뜬구름 같은 인생 빈 배같이 걸림 없이 편이 살자. 莊 子(장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사람이 타지 않는 빈 배가 와서 부딪치 면 아무리 성질이 급한 사람이라도 화를 내지 않는다. 나를 빈 배 같이 하여 사람과 대한다면 아무도 나를 미워하고 싫어하지 않을 것이다.
○不誠無物 (불성무물) 성실하지 못하면 재물이 없다.
○不失其時 (불실기시) 모든 일에는 시기가 있다. 그 시기를 놓치지 말고 잘 잡아 시류를 잘 타라.
○不約而信 (불약이신) 약속하지 않아도 신용을 지키는 도의를 갖자.
○不憂不懼 (불우불구) 군자는 두려워하지 않고 근심하지 않는다.
○富潤屋 德潤身 (부윤옥 덕윤신) 부는 집을 빛나게 하고 덕은 자신을 풍요롭 게 한다
○富而好禮 (부이호례) 부유하면서도 예의바르게 하라.
○富在知足 (부재지족) 부유함은 만족할 줄 아는데 있다.
○忿思難 (분사난) 분할 때는 어려울 때를 생각 하라.
○分限勿過 (분한물과) 자기 분수에 한계를 넘지 말라.
○不動心 (부동심) 동하지 않는 마음. 어떤 사악한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는 굳 은 마음을 갖자.
○不怨天 不尤人 (불원천 불우인) 하늘을 원망치 말며 남을 탓하지 말라
○弗爲胡成 (불위호성) 행동하지 않으면 어찌 일을 이룰 수 있겠는가.
○不知義理生於不學 (부지의리생어불학) 의리를 모른다는 것은 배우지 못한데 서 생겨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열심히 배우고 익혀서 착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不患人之 不己之 患其不能也 (불환인지 불기지 환기불능야)
남이 나를 알아 주지 않는 것을 근심치 말고 나의 능력 없음을 근심하라
○鵬夢蟻生 (붕몽의생) 꿈과 희망은 원대하게 갖고 개미처럼 일하라
○朋友有信 (붕우유신) 친구 간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非禮不動 (비례부동) 예의가 아니면 움직이지 않는다
○非禮不言 (비례불언) 예가 아니거든 말 하지 말라.
○非禮弗履 (비례불리) 예가 아니면 이행하지 말라.
○四面春風 (사면춘풍) 사방에서 봄바람이 일 듯 모든 일이 순조롭다
○思無邪 (사무사) 생각함에 있어 사악함이 없다 (논어. 위정편)
○事不三思終有悔 (사불삼사종유회) 모든 일을 행할 때 여러 번 생각하지 않 고 행하면 반드시 후회하는 일이 있을 것이다.
○思不出其位 (사불출기위) 분수에 그치며 분수에 벗어나는 나쁜 생각은 하지 말라.
○四時長春 (사시장춘) 늘 봄과 같음. 어른이 늘 잘 지내는 것을 비유
○思人愛樹 (사인애수) 사람을 생각하고 자연을 사랑하라.
○思判行省 (사판행성) 모든 일을 생각하고 판단하며, 반성하면서 행동하라.
○事必歸正 (사필귀정) 모든 일은 반드시 옳은 이치로 귀결된다
○山高水長 (산고수장)
○山高水長 (산고수장) 산은 높고 강은 길듯이 군자의 덕이 높고 큼.
자녀들의 가는 길에 산과 같이 높고 강과 같이 발전해 가는 사람이 되라.
○山空花自開 (산공화자개) 임자 없는 산은 텅 비어 있어도 꽃은 스스로 피어 난다.
○山溜穿石 (산유천석) 산에 흐르는 여울물이 바위를 뚫는다
○山水有淸音 (산수유청음) 산과 물에는 맑은 소리가 있다
○三思一言 (삼사일언) 세 번 생각하고 난 다음에 한번 말을 해라. 즉 말은 신 중히 생각한 다음에 하라는 교훈.
○三省修身千載寶, 百年積物一朝塵 하루에도 몇 번씩 자신을 반성하며 몸을 닦는 것은 천년의 보배이나 백년을 쌓은 재물은 하루아침의 먼지 와 같다
○三省吾身 (삼성오신) 하루에 세 번씩 자신을 살펴라.
○三忍九思 (삼인구사) 세 번 참고, 아홉 번 생각하라.
○三人行 必有我師焉 (삼인행이면, 필유아사언이라) 세 사람이 같이 가면 반드 시 내가 배울 만한 스승이 있다. (論語 述而篇)
○上敬下愛 (상경하애) 위로는 공경(恭敬)하고 아래로는 자애(慈愛)함. '윗사람 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사랑하자'는 말.
○常樂我淨 (상락아정) 나를 깨끗하게 함으로서 항상 즐거움을 갖아라.
○上善若水 (상선약수) 물과 같은 最上(최상)의 善(선)을 행하라. 물은 온갖 것 을 깨끗이 해 주면서도 가장 낮은 곳에 불평 없이 머물고 있으며 아래에서 건실하게 채워 올라간다.
○上善如水 (상선여수) 최고의 선은 물과 같이 담담하라. 자연과 세상의 이치 에 맞게 살아라 (노자, 도덕경)
○霜松常靑 (상송상청) 소나무는 차가운 서리에도 늘 푸르르다
○祥雲福雨 (상운복우) 상서로움이 구름같이 몰려오고 만복이 비오듯함
○生者必滅 (생자필멸) 모든 생명 있는 자는 반드시 멸하는 법이다.
○瑞氣滿堂 (서기만당) 상서로운 기운 온 집안에 가득하소서.
○瑞氣集門 (서기집문) 상서로운 기운이 이 집 문안에 다 모여 든다.
○石壽花香 深江無聲 (석수화향 심강무성) 흔들림 없는 돌처럼 향내 나는 꽃 처럼, 소리 없는 깊은 강같이 살아라
○惜時如金 (석시여금) 시간을 황금처럼 아껴라.
○惜寸陰 (석촌음) 짧은 시간도 어껴 써라 (陶淵明의 詩句)
○先見之明 (선경지명) 앞일을 미리 내다보는 총명함을 갖자.
○先公後私 (선공후사) 공적인 일은 먼저 개인의 일은 나중에 하라
○善爲至寶用無盡 (선위지보용무진) 선을 자신의 가장 좋은 재산인 보배로 삼 으면 써도 써도 끝이 없다.
○善以爲寶 (선이위보) 착한 것을 보배로 삼아라.
○先正其心 (선정기심)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하며 살자. 마음이 맑으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진다.
○先行其言 而後從之 (선행기언 이후종지) 자신이 한 말을 행하면 남들도 따 른다
○善行無徹迹 (선행무철적) 참된 선행을 하는 사람은 자기가 한 일을 세상에 나타내지 않는다.
○雪中松柏 (설중송백) 눈 속의 소나무나 잣나무와 같이 지조와 절개가 굳어야 한다 (歲寒孤節)
○誠敬直 (성경직) 성실 공경 정직하라
○盛年不重來 (성년불중래) 청춘은 두 번 다시 오지 않는다. (陶淵明의 詩句)
盛年不重來 (성년불중래) 청춘은 다시 오지 않고
一日難再晨 (일일난재진) 새벽은 두 번이 없네.
及時當勉勵 (급시당면려) 때 맞춰 열심히 해야 할 것을,
歲月不待人 (세월부대인) 세월은 사람을 기다려 주지 않네
○成大事在膽 (성대사재담) 큰일을 성공시키는 데는 대담함이 있어야 한다.
○誠實謙虛 (성실겸허) 성실하고 겸허하게 하라.
○誠實在勤 (성실재근) 성실은 부지런함에 있다.
○性卽理也 (성즉리야) 사람의 본성이 곧 天理(천리) 이니라.
○世德長祥 (세덕장상) 덕으로 처세하면 길이 복되고 상서로움이 있으리라.
○歲不我延 (세불아연) 세월은 나를 위해 머무르지 아니한다.
○歲不我征 (세불아정) 세월은 나를 위해 머무르지 않는다.
○世守仁敬 (세수인경) 길이 어질고 공경함을 지켜나가자.
○洗心 (세심) 항상 마음을 깨끗하게 하고 살자.
○洗心種德 (세심종덕) 마음을 깨끗이 씻고, 덕을 심어라. 항상 깨끗한 마음을 지니고 德(덕)이 높은 사람이 되어라.
○洗心和親 (세심화친) 마음을 깨끗이 하고 화목하고 친해야 한다
○歲寒松柏 (세한송백) 한겨울에도 푸른 송백처럼 어떠한 역경에도 굴하지 않 는 절개를 갖아라. 雪中松柏과 같은 뜻
○松立雪中高士節 (송립설중고사절) 눈 속에 선 소나무와 같은 선비의 높은 절개.
○松壽千年 不老長春 (송수천년 불로장춘) 소나무는 천년을 살듯이 늙지 않고 장수하시라는 뜻 (鶴壽萬年)
○松寒不改容 (송한불개용) 소나무는 아무리 추워도 위용을 바꾸지 않는다
○水寬魚大 (수관어대) 물이 깊고 넓으면 큰 고기가 산다. 너그러운 사람 아래 는 큰 인물이 난다.
○水急不流月 (수급불류월) 물은 급히 흘러도 달은 흘러가지 않는다. 즉 세상 이 혼탁하여도 나만은 흔들리지 않는다.
○修己以敬 (수기이경) 자기를 수양하여 공경하는 마음을 잊지 말라.
○修德立義 (수덕입의) 항상 덕을 쌓고 옳은 뜻을 세워라
○守分知足 (수분지족) 분수를 지키고 만족할 줄 알자.
○壽山福海 (수산복해) 산과 같이 장수하시고 복은 바다 같이 흘러넘치시길. 壽如山 富如海와 동일
○守素明德 開物宬務 (수소명덕 개물성물) 본분을 지키며 덕을 밝히고 물건을
개발하여 직무를 성취하라
○壽如山 富如海 去千災 來百福 (수여산 부여해 거천재 래백복) 산처럼 장수 하고 바다처럼 풍부하게 모든 재앙 물러가고 모든 복은 들어오라
○樹欲靜而 風不止 子欲養而 親不待 (수욕정이 풍부지 자욕양이 친부대) 나무 는 조용히 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이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가 기다려주지 않네 (風樹之嘆)
○守以靜 (수이정) 마음을 지키면서 고요함에 머뭄
○水積成川 (수적성천) 물이 모이면 시내를 이루듯 작은 것이 모이면 큰 것을 이룬다는 뜻
○水滴穿石 (수적천석) 작은 물방울이 바위를 뚫듯 작은 노력이라도 꾸준히 하 라는 뜻
○水之淸則無魚 (수지청즉무어)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가 없다. 사람도 성질이 너무 강직하면 벗이 없으니 너그럽게 살아라.
○熟廬斷行 (숙려단행) 무슨 일이건 사전에 충분히 생각하고 하고자 결단을 내 리면 단호히 실행하라
○順德崇禮 (순덕숭례) 바른 도리를 따르고 예의를 잘 지켜라.
○順理則裕 (순리즉유) 도리를 따르면 넉넉해진다.
○順天者存 逆天者亡 (순천자존역천자망) 순리에 따르는 사람은 살아남아 성공 하고, 순리를 따르지 아니하는 사람은 망하게 된다.
○崇德廣業 (숭덕광업) 덕을 높이며 사업을 넓혀 나가라.
○崇德而廣業也 (숭덕이광업야) 위와 동일
○習與性成 (습여성성) 습관은 성격을 이루니, 좋은 습관을 갖자.
○繩鋸木斷 水滴石穿 (승거목단 수적석천) (繩鋸斷木 水滴穿石) 끈톱이 나무를 자르고 물방울이 바위을 뚤는다 (菜根潭)
○勝私窒慾 (승사질욕) 사심(私心)을 이기고 욕심을 막아서 바른 길로 나간다.
○時不再來 (시불재래) 한번 지나가버린 시간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時和年豊 (시화연풍) 나라 안이 화평하고 풍년이 들다
○愼其獨 (신기독) 홀로 있을 때 더욱 신중하자.
○信望愛 (신망애) 믿음 소망 사랑
○愼思篤行 (신사독행) 신중히 생각하고 굳게 행하라
○愼始敬終 (신시경종) 처음 시작할 때처럼 끝도 삼가 신중 하라
○申申如也 (신신여야) 마음은 항상 온화하고 너그러워라.
○信愛忍和 (신애인화) 믿음과 사랑으로 참고 화합하며 행복한 가정을 이루자.
○信爲德以本 (신위덕이본) 신용은 항상 덕을 근본으로 해야 한다.
○信爲萬事本 (신위만사본) 신용이 만사의 근본이다. 신용 있는 사람이 되자.
○愼終如始 (신종여시) 처음이 신중한 것 같이 끝도 신중하여라.
○心廣萬成 (심광만성) 마음이 넓으면 만사가 다 잘 이루어진다.
○心大則 百物皆通 心小則 百物皆病 (심대즉 백물개통 심소즉 백물개병) 마음 이 넓고 크면 모든 것을 수용할 수 있고 마음이 작으면 모든 것을 두루 할 수 없다 (朱子)
○深思高擧 (심사고거) 깊이 생각하고 고결하게 처신한다
○深思力踐 (심사역천) 깊이 생각하고 그 생각 한 바를 소신이 서면 전력을 다 해서 실천을 하여라.
○心生道也 (심생도야) 마음은 도를 만드니, 좋은 마음을 갖자.
○心身十分淸 (심신십분청) 마음과 몸 항상 충분히 맑게 하고 평화롭게 살자.
○心如萬古靑山 (심여만고청산) 마음은 만고에 푸른 청산처럼 늘 젊고 맑게!
○心如明鏡臺 (심여명경대) 마음은 밝은 거울과 같으니 먼지가 끼지 않도록 항상 닦고 털자.
○心如水 (심여수) 내 마음은 항상 물과 같이 맑아라.
○心如水淡 (심여수담) 마음은 물 같이 맑고 담백 하여라.
○心如鐵石 (심여철석) 마음이 철석같이 굳고 단단하여라.
○心外無法 (심외무법) 내 마음이 깨끗하면 법이 다 소용없는 것.
○心田耕作 (심전경작) 자신의 마음 밭을 갈고 가꿔야 한다.
○心淸事達 (심청사달) 마음이 맑으면 모든 일이 다 잘 이루어진다.
○心淸志高 (심청지고)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뜻을 높게 세우자
○心虛手實 (심허수실) 마음은 허허롭게 비우고, 손은 알차고 실하게.
○我忘吾 (아망오) 내가 나의 존재마저 잊은 무아의 경지 .
○我心如松柏 (아심여송백) 내 마음 송백같이 푸르고 변함 없어라.
○樂者樂也 (악자락야) 음악은 원래 즐거운 것이니 음악을 즐길 줄 아는 소양 을 갖자.
○安居危思 (안거위사) 편안할 때 재난에 대비하라
○雁去而潭不留影 (안거이담불류영) 기러기 날라 간 뒤에 연못에 그림자는 남 지 않는다.
○安居則樂土 (안거즉락토) 내가 편안히 사는 곳이 바로 극락이고 천당이라네. 내 가정이 바로 낙원이니 가정을 잘 이루어 나가라는 뜻.
○安分(知足) (안분지족) 자신의 분수를 알고 만족하라
○愛人如己 (애인여기) 남 사랑하기를 자기 자신 같이 하라.
○養高志 (양고지) 높은 이상과 뜻을 갖자
○良藥苦口利於病 (양약고구이어병) 좋은 약은 입에 쓰나 몸에는 좋다.
○讓一步爲高 (양일보위고) 더 높아지기 위해 한 발을 양보할 줄도 알자. 더욱 발전하기 위해 눈앞에 작은 일을 한 발 양보 할 줄도 알자.
○言飛千里 (언비천리) 한번 한 말은 천리를 달려간다.
○言忠信 行篤敬 (언충신 행독경) 말이 성실하고 신의가 있으며 행실이 돈독하 고 경건하라
言忠信行篤敬蠻邦可行 말이 성실하고 신의가 있으며 행실이 돈독 하고 경건하면 오랑캐라도 행할 수 있다 (안중근의사 글)
○言必忠信行必誠實 (언필충신행필성실) 말은 반드시 진실하고 미덥게 하고, 행실은 반드시 참되고 성실하게 하라. 그리하면 모든 사람에게 존 경 받는 사림이 된다.
○言行一致 (언행일치) 말과 행동이 같아야 한다.
○業廣惟勤 (업광유근) 사업을 넓히는 것은 오직 부지런한데 있다.
○如松之盛 (여송지성) 푸른 소나무와 같이 늘 무성하게 발전하여라.
○如水如風生涯以去 (여수여풍생애이거)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如臨深淵 (여임심연) 깊은 연못가에 서있는 듯 조심하며 살자.
○如鳥數飛 (여조삭비) 배우기를 쉬지 않고 끊임없이 練習하고 익힘
○易地思之 (역지사지) 입장과 처지를 바꿔 생각하라
○鳶飛魚躍 (연비어약) 솔개가 하늘을 날고 잉어가 연못에서 뛰는 것과 같이 용기 있는 씩씩한 사람이 되어라.
○鍊心淸志 (연심청지) 마음을 깨끗하게 단련하고 뜻을 맑게 한다.
○英雄千秋 (영웅천추) 영웅의 이름은 천추에 남는 법. 열심히 노력해서 이름 을 세상에 남기는 사람이 되자.
○吾心在太古 (오심재태고) 내 마음은 태고에 있다. 즉 소박하고 세속에 물들 지 않는 깨끗한 마음.
○玉不磨無光 (옥불마무광) 옥도 갈지 않으면 빛이 나지 않는다
○溫故知新 (온고지신) 옛것을 익혀 새것을 안다
○溫良恭儉讓 (온량공검양) 온화하고 선량하고 공경하며 검소하고 양보하는 마 음을 갖자.
○溫柔敦厚 (온유돈후) 온화고 부드러우며 인정이 많은 사람이 되자.
○外寬內明 (외관내명) 밖으로 풍기는 외모는 너그럽고, 마음속은 밝아라. 밖 은 너그럽고 안은 밝은 사람이 되어라.
○外寬內直 (외관내직) 타인에게는 부드럽게 대하고 자기 자신에게는 엄격하여 라.
○欲寡其過 (욕과기과) 자기 잘못과 실수를 적게 하고자 노력하라.
○欲尊先謙 (욕존선겸) 남의 존경을 받으려면 먼저 내가 겸손해야 한다.
○庸庸多厚福 (용용다후복) 평범한 가운데 두터운 복이 많다.
○勇者不懼 (용자불구) 용감한 사람에게는 두려움이 없다.
○愚公移山 (우공이산) 어리석은 영감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꾸준하게 열심히 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雲散霧消 (운산무소) 구름이 흩어지고 안개가 사라진다는 말로, 의심이나 근 심이 없어진다는 뜻
○雲心月性 (운심월성) 구름 같은 마음 달 같은 성품. 욕심 없이 맑고 깨끗한 마음을 비유하는 말
○雲外蒼天 (운외창천) 구름 밖에는 푸른 하늘이 있다. 즉 희망이 있다
○元氣和淸 (원기화청) 우주의 으뜸인 큰 기운이 화화롭고 맑게 감도니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지고 운이 좋다.
○僞善蕪近名 (위선무근명) 착한 일을 하더라도 소문나지 않게 하라
○爲善無近者 (위선무근자) 선을 행함에 명예는 생각지 말라.
○爲善最樂 (외선최락) 선한 일을 하는 것이 최고의 즐거움이다.
○威而不猛 (위이불맹) 위엄이 있되 사납지 말라.
○惟勤有功 (유근유공) 오직 부지런함에 공덕이 있다. 즉 부지런하게 사는 것 이 처세의 근본이다.
○有基無壞 (유기무괴) 기초가 단단하면 무너지는 법이 없다 .
○有德家中和氣滿 (유덕가중화기만) 덕이 있는 집안에는 항상 화기가 가득하 다.
○有德不可敵 (유덕불가덕) 덕이 있는 자에겐 대적할 적이 없다.
○有德者 必有言 (유덕자 필유언) 덕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착한 말을 한다
○有備無患 (유비무환) 모든 일에 미리 대비하면 근심할 일이 없다.
○有生於無 (유생어무) 有는 無에서 생겨난다.
反者道之動 (반자도지동) 모든 것이 다시 제자리로 되돌아옴은 도(道)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고,
弱者道之用 (약자도지용) 모든 것이 그 기운이 소진되어 약해짐은 도(道) 에 쓰임이 있기 때문이다.
天下萬物生於有 (천하만물생어유) 하늘 아래 모든 것은 원래 있는 것에 서 생겨나는 것이지만
有生於無 (유생어무) 있는 것 또한 없는 것에서 비롯한 것이다. 老子(노 자) '道德經(도덕경)'
○唯善是寶 (유선시보) 오직 착한 것이 보배로다.
○流水不爭先 (유수불쟁선) 흐르는 물은 먼저가려고 앞을 다투지 아니한다. 우 리도 앞 다투어 너무 서둘지 말고 여유 있게 살자.
○流水不腐 (유수불부) 흐르는 물은 썪지 않는다
○柔弱勝剛强 (유약승강강) 부드럽고 약한 것이 굳세고 강한 것을 이긴다.
○有慾則無剛 (유욕즉무강) 욕심이 있으면 강할 수가 없다.
○唯以無念 (유이무념) 오직 無念(무념)의 경지를 경험 할 때 마음은 지극히 편안해 진다.
○有志竟成 (유지경성) 뜻이 있으면 마침내 길이 열린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와 같은 뜻
○有志者事竟成 (유지자사경성) 위와 동일
○有志必成 (유지필성) 뜻이 있으면 반드시 이루어진다.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
○允集其中 (윤집기중) 진실로 중용의 도리를 지켜라.
○隱居行義 (은거행의) 숨어살며 그 뜻을 추구하며 의롭게 행한다
○銀海銅山 (은해동산) 銀(은)은 바다같이 많고 구리는 산과 같이 많다. 장차 재물이 많아 부귀 안락 하라는 뜻.
○陰德廣施 (음덕광시) 남모르게 착한 덕을 널리 베풀어라.
○陰德陽報 (음덕양보) (出典 淮南子)
有陰德者 必有陽報 有陰行者 必有昭明 (유음덕자 필유양보 유음 행자 필유소명) 남 몰래 덕을 베푸는 사람은 반드시 그에 따른 보 답이 있고, 숨은 행실이 반듯한 사람은 밝은 이름이 있게 된다
○陰德有慶 (음덕유경) 남모르게 덕을 쌓으면 경사스런 일이 생긴다
○疑心生暗鬼 (의심생암귀) 의심을 하면 두려운 망상이 생긴다.
○義然後取 (의연후취) 의로운 뒤에 재물을 취하라.
○義以建利 (의이건리) 의로서 이로움의 근본을 삼아라.
○義重若泰山 (의중약태산) 義(의)를 태산과 같이 무겁게 생각하라. 의로운 사 람이 되라는 뜻.
○義重如山 (의중여산) 의리는 산과 같이 무거워라. 의리를 존중할 줄 아는 훌 륭한 사람이 되자.
○義海恩山 (의해은산) 의리는 바다 같고 은혜는 산과 같다.
○以禮立身 以禮立門 以禮立國 (이례입신 이례입문 이례입국) 예로서 몸을 세 우고 예로서 가문을 세우고 예로서 사회와 국가를 바르게 한다.
○履霜堅氷至 (이상견빙지)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얼 때가 온다. 즉 어 려움이 지나가고 행운이 온다.
○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以言 其臭如蘭 (이인동심 기이단금 동심이언 기취여 란) 두사람이 힘을 합하면 쇠라도 끊을 수 있고 마음을 같이한 사람의 말은 난향과 같다
○以和爲悳 (이화위덕) 화화로움으로서 덕을 이루어 나간다.
○人間五福壽爲先 (인간오복수위선) 사람의 오복 가운데 장수하는 것이 으뜸임 ○人命至重 (인명지중) 사람의 목숨은 매우 귀중한 것. 자신을 아껴라.
○人無遠慮 難宬大業 (인무원려 난성대업) 멀리 못 보는 사람은 큰 일을 이루 기 어렵다
○人百己千 (인백기천) 다른 사람이 백의 노력을 할 때 자기는 천의 노력을 하라. 그래야만 남보다 앞설 수가 있을 것이다.
○忍忿免憂 (인분면우) 분함을 참으면 금심을 면한다.
○人生如奇 (인생여기) 인생은 세상에 잠시 왔다가 가는 것. 만사에 감사하고 즐겁게 살자.
○人生在勤 (인생재근) 인생은 부지런함에 달려 있다.
○忍是積德門 (인시적덕문) 참는 것이 덕을 쌓는 문이로다.
○仁義禮智信 (인의예지신) 사람이 마땅히 지녀야 할 5가지 덕목. 仁은 측은지 심(惻隱至心)으로 불쌍한 것을 가엽게 여겨 정을 나누는 마음이고, 義는 수오지심(羞惡至心)으로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악한 것을 미 워하는 마음이고, 禮는 사양지심(辭讓至心)으로 겸손하여 남을 위 해 사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고, 智는 시비지심 (是非至心)으로 옳 고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이고, 信은 광명지심 (光名至心)으로 중심을 잡고 가운데 바르게 서 밝은 빛을 냄으로 믿음을 주는 마 음이다
○人一己百 (인일기백) 남이 한번 할 때 나는 백번이라도 해야 한다
○仁者無憂 (인자무우) 어진 사람은 근심이 없다
○仁者無敵 (인자무적) 어진 사람에게 적이 없다. 즉 어질게 살면 나를 해칠 아무런 적이 없다.
○仁者壽 (인자수) 어진 사람은 장수 한다.
○仁者樂山 (인자요산) 착하고 어진 사람은 산수와 자연을 좋아한다.(知者樂水)
○仁者人也 (인자인야) 仁(인)을 지켜야 사람다운 사람이다.
○忍中有和 (인중유화) 참는 가운데 화평함이 있다. 즉 참는 것이 곧 행복의 근원이다.
○人之生也直 (인지생야직) 사람의 천성은 정직한 것이 니라.
○忍之爲德 (인지위덕) 참는 것으로 덕을 삼아라.
○仁孝恭儉 (인효공검) 어질고 효성스럽고 공손하고 검소하여라.
○一刻千金 (일각천금) 짧은 시간도 천금같이 귀하다. 즉 시간이 소중하다는 것을 말 함.
○日勤天下無難事 (일근천하무난사) 오직 근면성실하면 세상만사 어려움이 없 다
○一念通天 (일념통천) 한결같은 생각으로 최선을 다하면 하늘에도 통한다. 즉 최선을 다하면 모든 일이 다 잘 이루어진다는 말씀.
○一德一心 (일덕일심) 같은 도덕을 지키고 같은 마음으로 살자.
○日暮思親友 (일모사친우) 날 저무니 친구 생각 간절하네.
○一生重寶身無病 (일생중보신무병) 내 일생에 가장 소중한 보배는 몸에 병 없는 것이로다.
○一笑百慮忘 (일소백려망) 한번 크게 웃어 모든 걱정을 잊어라 (화엄경)
○一始無終 (일시무종) 한번 일을 시작하면 끝까지 하라.
○一心 (일심) 변함이 한결같은 마음.
○一心情到 豈不成功 (일심정도 기불성공) 한마음으로 정진하면 어찌 성공 못 하리
○一忍長樂 (일인장락) 한 순간을 참으면 오래도록 즐거움이 지속된다.
○一日一錢 千日千錢 (일일일전 천일천전) 하루에 일전이면 천일은 천전이다
○一切唯心造 (일체유심조) 세상 모든 것은 오직 마음에서 지어내는 것 (화엄 경)
○一寸光陰不可輕 (일촌광음불가경) 시간은 곧 생명이다. 한 치의 시간도 가벼 이 하지 말며, 항상 시간을 아껴 학문과 자신의 발전에 힘써야 한 다.
○一片氷心 (일편빙심) 한 조각 어름같이 차가운 마음. 항상 냉정하고 바른 판 단을 할 수 있는 슬기로운 사람이 되자.
○自彊不息 (자강불식) 자기발전을 위해 스스로 쉬지 않고 노력하라.
○自彊不息 厚德載物 (자강불식 후덕재물) 스스로 강해지려 쉬지 않고 두터운 덕으로 만물을 싣는다.(周易) 인간은 늘 늘 힘써 쉬지 않고 노력 하며 인간의 후덕한 마음으로 세상의 모든 존재를 안아주어야 한 다는 뜻
○自居超然 淸淨自居 溫和超然 (자거초연 청정자거 온화초연) 스스로 만족하 여 욕망을 넘어섬, 마음과 몸을 깨끗이 하고 만족하게 사는 삶, 부 드럽고 너그러운 마음으로 욕망을 넘어서는 삶
○慈悲無敵 (자비무적) 자비로운 사람은 적이 없다
○自性淸淨 (자성청정) 스스로 그 성품을 고요히 지녀라.
○自勝者强 (자승자강) 자기를 이기는 자가 진실로 가장 강한 자이다.
○慈顔愛語 (자안애어) 항상 자비로운 얼굴 표정 사랑스러운 말씨를 써라
○慈仁積善 (자인적선) 자비롭고 인자하고 늘 선을 행하는 사람이 되자.
○自作自受 (자작자수) 자기가 한 것 만금 자기가 돌려받는다.
○自適其適 (자적기적) 자신이 좋아 하는 것을 쫓아 즐겁게 산다.
○自知者明 (자지자명) 자기를 아는 사람이 진정 현명한 자이다.
○作善降福 (작선강복) 선을 행하면 복을 내린다.
○長樂萬年 (장락만년) 만년이나 지나도록 오래 오래 변함없는 즐거움이 넘쳐 흘러라.
○長樂無極 (장락무극) 온 집안에 길이 즐거움이 가득하여라.
○長發其祥 (장발기상) 오래도록 상서로움이 나타나 계속되어라.
○章往考來 (장왕고래) 지난 것을 밝게 나타내고 장래의 일을 잘 생각해라.
○在德不在險 (재덕부재험) 덕이 있으면 위험한 일이 없다.
○財上平如水 人中直似衡 (재상평여수 인중직사형) 재물은 평등하기가 흐르는 물 같고, 사람은 바르기가 저울과 같다
○積功累德 (적공루덕) 공을 쌓아야 덕이 쌓인다.
○積德累仁 (적덕루인) 덕을 쌓고 어진 일을 많이 한다.
○積善堂前無限樂 (적선당전무한락) 선을 쌓는 집안은 앞날에 무한한 즐거움이 있다
○積善成德 (적선성덕) 선을 쌓고 덕을 이루어라.
○積善餘慶 (적선여경) 착한 일을 하면 경사가 넘친다.
○積少成多 (적소성다) 작은 것이 모여 많은 것이 되니 모든 것을 절약해서 성실하게 살자.
○積少成大 (적소성대) 작은 것이 모여 큰 것이 되니 한꺼번에 큰 것을 바라 지 말고 차근차근 작은 것 붙어 착실히 쌓아 올리자.
○積水成淵 (적수성연) 한 방울의 물이 모여 연못을 이루니 작은 것을 쌓아 큰 것을 이루자.
○積水成川 (적수성천) 한 방울의 물이 모여 강을 이룸과 같이 작은 것을 쌓아 큰 것을 이루자.
○滴水穿石 (적수천석) 방울방울 떨어지는 물방울이 돌에 구멍을 뚫는다. 끈질 긴 노력은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
○寂然不動 (적연부동) 조용하고 동요하지 않는 마음으로 살자.
○積仁廣度 (적인광도) 어진 일을 쌓고 널리 사람을 제도하라.
○積仁基德 (적인기덕) 어진 행동을 늘 쌓고 덕행을 근본으로 삼아라.
○積土成山 (적토성산) 작은 흙을 모아 큰 산을 이룬 다는 말로 티끌모아 태산 과 같은 뜻.
○轉石無苔 (전석무태) 굴러가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 늘 부지런해서 자기의 능력을 다 발휘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자.
○轉禍爲福 (전화위복) 재앙이 바뀌어 복이 될 수도 있으니 참고 견디어라.
○切磋琢磨 (절차탁마) 옥을 갈고 닦듯이 학문과 인격을 갈고 닦는다.
○點積穿石 (점적천석) 한 방울의 물이 쌓이면 돌을 뚫는다. 滴水穿石과 같음
○點鐵成金 (점철성금) 쇳덩이를 다루어 황금을 만든다. 즉 좋은 교육으로 훌 륭한 사람을 만든다.
○接人淸風 (접인청풍) 사람을 접할 때 맑은 바람과 같이 부드럽게 하라. 對人 淸風과 같은 뜻
○正近邪遠 (정근사원) 바른 것은 가까이 하고 사악한 것은 멀리하라.
○正己爲先 (정기위선) 자기 자신을 바로 하는 것이 가장 먼저이니라.
○正己和人 (정기화인) 자기 자신은 바르게 하고, 남과는 늘 화합하라.
○精思力踐 (정사역천) 깊이 생각한 다음에 힘써 실천하라.
○精神一到何事不成 (정신일도하사불성) 정신을 한 곳에 모으면 무슨 일이든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
○情深潭水 (정심담수) 정이 깊기를 연못의 고인 물 보다 더 깊게 하여라.
○正心誠意 (정심성의) 마음을 바로하고 뜻을 참되게 하라
○正心修德 (정심수덕) 마음을 바르게 하고 덕을 닦아라
○情深如海 (정심여해) 맺은 정은 바다와 같이 깊고 변함이 없어라
○情如萬里長江 (정여만리장강) 우리 서로 맺은 정은 만리를 이어가는 긴 강 과 같이 영원하여라.
○貞而不諒 (정이불양) 곧고 바르지만 완고하지는 말라.
○靜者壽 (정자수) 성품이 고요한 사람은 장수한다.
○靜中觀物理 (정중관물리) 고요함 속에 만물의 이치를 살펴보라.
○靜中動 (정중동) 고요함 중에 어떠한 움직임이 있음
○靜處光陰最好 閒中氣味偏長 (정처광음최호 한중기미편장) 고요하고 조용히 사는 시간이 가장 좋으며 한가한 중의 분위기와 느낌이 유난히 좋다
○濟世安民 (제세안민) 세상을 구하고 국민을 편안하게 하라.
○鳥歌花舞 (조가화무) 온 가정에 봄에 새가 노래하고 꽃이 춤을 추듯 행복이 가득하라.
○凋言敏行 (조언민행) 말은 아끼고 행동은 민첩하게 하라.
○尊德性道問學 (존덕성도문학) 덕성을 존중하고 도는 물어서 배워라
○尊師愛生 (존사애생) 스승님은 존경하고 제자는 사랑하라
○從善如流 (종선여류) 선을 따르기를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게 하라.
○終日乾乾 (종일건건) 종일토록 쉬지 않고 노력하면 모든 일이 편안하다.
○主一無適 (주일무적) 한곳에 집중하면 적이 없다
○酒香百里 花香千里 人香萬里 (주향백리 화향천리 인향만리) 술향기는 백리 를, 꽃향기는 천리를, 사람의 향기는 만리를 간다
○衆德和敦 (중덕화돈) 큰 덕은 사람을 더욱 화목하게 하고 돈독하게 한다.
○卽始終見 (즉시종견) 시작에 나아가서 끝을 본다.
○增人以言 重於金石珠玉 (증인이언 중어금석주옥) 따뜻한 말 한마디가 어떤 재화보다 귀하다
○持己秋霜 待人春風 (지기추상 대인청풍) 스스로에게는 가을 서리처럼 엄하 게, 남을 대할 때는 봄바람처럼 부드럽게 하라
○至大至剛 (지대지강) 어떤 일에도 꺾이거나 흔들리지 않고 강하게 나가라.
○至誠無息 (지성무식) 옳은 일은 끝까지 행하라.
○至誠通神 (지성통신) 지극한 정성은 천지신명에게 통한다. 즉 정성을 다하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없다
○止於至善 (지어지선) 항상 지극한 선에 머물러 살자.
○知恩報恩 (지은보은) 은혜를 알고 은혜를 갚아라.
○至人無己 (지인무기) 학문과 덕이 높은 사람은 자기의 욕심이 없다.
○智仁勇 (지인용) 지혜와 어진 마음과 용기를 길러라.
○知者不言 (지자불언) 아는 자는 말이 없다. 말을 많이 하는 자는 속이 비어 있기 때문이다.
○智者不惑 (지자불혹) 지혜로운 사람은 악에 물들지 아니하고 미혹되지 아니 한다.
○志在高山 心如大海 (지재고산 심여대해) 뜻은 높은 산처럼, 마음은 넓은 바 다처럼 갖자
○志在千里 (지재천리) 원대한 포부를 지녀라.
○知足不辱 (지족불욕) 만족할 줄 알면 치욕스러운 일은 당하지 않는다.
○知足常樂 (지족상락) 만족할 줄 알면 항상 즐겁다.
○知足者富 (지족자부) 만족 할 줄 아는 자가 진실한 부자이다.
○地之穢者 多生物 水之淸者 常無魚 (지지예자 다생물 수지청자 상무어) 땅이 더러우면 초목이 무성하지만 맑은 물에는 언제나 고기가 없다. 故 로 君子는 當存含垢(구) 納汚之量하며, 不可持好 潔獨行之操니라. 고로 군자는 더러운 것을 수용하는 아량을 가져야 하고 너무 깨끗 한 것을 좋아해 홀로 행하는 지조만 지켜서는 곤란함
○知彼知己 (지피지기) 남의 사정도 알고 자기의 사정도 알자.
○知行一致 (지행일치) 아는 것과 행동을 일치하게 하라.
○眞光不輝 (진광불휘) 참된 빛은 속인의 눈에는 띄지 않는다
○進德修業 (진덕수업) 덕을 먼저 갖추고 학업이나 사업을 넓혀 나간다.
○振民育德 (진민육덕) 모든 사람들과 사귀는 데는 오직 덕으로 한다.
○眞善美 (진선미) 참되게 착하게 아름답게
○眞水無香 (진수무향) 진실로 좋은 물에는 냄새가 없는 것과 같이, 인격이 높 은 사람은 별로 표가 나지 않는다.
○眞實不虛 (진실불허) 진실 된 것은 결코 헛되지 아니한다. 즉 진실되게 사는 것이 가장 현명한 것이다.
○盡人事待天命 (진인사대천명) 三國志 ‘修人事待天命’에서 유래된 말로 사람 의 할 일을 다 하고 하늘의 뜻을 기다려라
○塵積爲山 (진적위산) 티끌이 쌓여 태산이 된다
○塵合泰山 (진합태산) 티끌이 모이면 태산이 된다.
○懲忿窒欲 (징분질욕) 분함을 막고 욕심을 막는다.
○澄心靜慮 (징심정려) 마음을 깨끗이, 생각을 조용하게.
○采菊見秋深 (채국견추심) 국화를 따보니 가을이 깊었음을 알 수 있다.
○處世德爲本 (처세덕이본) 덕행으로서 처세의 근본을 삼아라.
○處世心情如水淡 (처세심정여수담) 세상 사는 마음을 마치 담담한 물과 같이 조용하고 깨끗하게!
○處染常淨 (처염상정) 어떤 더러운 환경에 처해도 항상 우리는 깨끗하게 처신 하는 정의로운 사람이 되리라.
○天高氣淸 (천고기청) 하늘은 높고 기운은 맑다. 온 집안에 경사가 무궁하다.
○天祿永昌 (천록영창) 하늘에서 준 복록이 이 집안에 길이 번영할지어다.
○川流不息 (천류불식) 흘러가는 강물은 그침이 없다. 그와 같이 우리도 그치 지 말고 길이 발전해나가자.
○泉流思源 (천류사원) 흘러가는 샘물도 근원을 생각한다. 사람도 항상 뿌리를 생각하며 살자.
○泉遠流長 (천원유장) 샘이 깊으면 멀리 흘러간다
○淸高止道 (청고지도) 청렴하고 고결한 도를 갖자
○淸氣入骨 (청기입골) 밝은 기운이 뼈에 사무치니 심신이 맑고 깨끗해 짐.
○靑山見我無言以生 (청산견아무언이생)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네.
○靑雲之志 (청운지지) 입신 출세하여 높은 지위에 오르려고 하는 대망(大望) 또는 고결하여 속세를 벗어나고 싶어 하는 마음을 비유하여 이르 는 말
○淸淨無欲 (청정무욕) 맑고 깨끗하고 아무런 욕심이 없다
○淸眞 (청진) 맑고 꾸밈 없이 깨끗함.
○淸泉洗心 (청천세심) 맑은 샘물에 씻은 듯 깨끗한 마음을 갖자.
○淸風明月 (청풍명월) 바람은 맑고 달은 밝다.
○淸和 (청화) 온화하고 맑음이 넘쳐라.
○初(之)心 (초심) 어떤 일을 함에 있어 처음 먹은 마음
○初日心 最後心 (초일심 최후심) 처음 먹은 마음이 끝까지 같아야 한다
○初志一貫 (초지일관) 처음에 세운 뜻을 끝까지 밀고 나감.
○寸陰百年促 (촌음백년촉) 짧은 시간을 아끼지 않으면 백년의 인생도 짧다. 즉 시간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교훈.
○春合景祥 (춘합경상) 봄기운이 상서로운 경치를 머금고 있다. 즉 행운이 우 리 집안에 봄과 더불어 가득하다.
○春花秋實 (춘화추실) 봄에 꽃이 피고 가을에 열매 맺는다. 즉 젊어서 노력하 면 반드시 나이든 뒤에 공이 온다.
○忠言逆耳 (충언역이) 내게 좋은 충고는 귀에 거슬린다
○治心正氣 (치심정기) 마음을 다스리고 용기를 회복하며 당당하다.
○親慈子孝 (친자자효) 어버이는 자식에게 자비롭고 자식은 부모에게 효성스러 워라.
○枕書高臥 (침서고와) 책을 베게삼아 높이 베고 글을 읽는다.
○快人快事 (쾌인쾌사) 씩씩한 사람이 되며 시원스러운 행동을 하라.
○濯心淸水 (탁심청수) 마음을 맑은 물에 깨끗이 씻고 한 평생 행복하게 살아 가자.
○泰山北斗 (태산북두) 태산같이 높고 북두칠성처럼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그런 훌륭한 사람이 되라.
○泰山不讓土壤 河海不擇細流 (태산불양토양 하해불택세류) 태산은 한줌의 흙 을 사양치 않고 큰 물은 작은 개울물도 가리지 않는다. 군자는 도량이 넓어 작은 일에 좌우되어서는 곤란하다는 말씀
○泰而不驕 (태이불교) 풍부하고 편안하여도 교만하지 않는다.
○土積成山 (토적성산) 흙이 쌓이면 산을 이룬다
○平步期顧 (평보기고) 평탄한길도 잘 보고 걸어야 한다. 즉 모든 일에 조심해 서 실수가 없게 해야 성공한다.
○飽德醉義 (포덕취의) 덕에 배부르고 의에 취하라
○布德行惠 (포덕행혜) 덕을 널리 펴고 은혜를 갚아라.
○風順雨調 時和年風 (풍순우조 시화연풍) 바람은 부드럽고 비는 조화로우니 시절은 온화하고 내내 풍년이네
○風靜波安 (풍정파안) 바람이 고요하면 파도는 잔잔하다. 내 마음이 안정되면 모든 일이 편안하다.
○何處來 何位在 何所去 (하처래 하위재 하소거) 너는 어디서 와서, 지금 어디 에 있으며, 장차 어디로 가는가?
○學不厭敎不倦 (학불염교불권) 배움을 싫어하지 말고 가르침을 게을리 말라.
○學然後知不足 (학연후지부족) 배우고 난 후에야 부족함을 안다
○學者如登山 (학자여등산) 배움이라는 것은 산을 오르는 것과 같다.
○閑居高志 (한거고지) 한가로이 거하면 뜻을 높이 가질지라
○閑情談遠 (한정담원) 큰 정은 담백하고 영원하다
○咸有一德 (함유일덕) 사람은 모두 순일한 덕을 갖고 있다. 즉 세상에 근본적 으로 악한 사람은 없다.
○海不讓水 (해불양수) 바다는 바다에 흘러드는 모든 불을 사양하지 않는다. 즉 대인은 모든 사람을 포용하며 괄시하지 않는다.
○海不厭深 (해불염심) 바다는 아무리 깊어도 더 깊어지기를 싫어하지 않는다. 그와 같이 우리도 마음이 깊고, 덕을 수행해서 바다보다 더 덕성 이 깊은 사람이 되자.
○行不無得 (행불무득) 행동하지 않으면 얻는 것이 없다.
○行思禮 動思義 (행사례 동사의) 행동하기 전 예의를, 움직이기 전 참된 뜻을 생각하라
○行善不怠 (행선불태) 선을 행하기를 게을리 하지 말라.
○行成蘭室 (행성난실) 난초 향기 나는 집을 만들자. 행복하고 단란한 가정을 꾸며 행복하게 살자.
○虛室生白 (허실생백) 방을 비우면 환해진다. 즉 마음을 비우면 마음이 밝아 진다.
○虛心康寧 (허심강녕) 마음속에 헛된 망상이 없으면 마음이 편안하고 건강함
○赫日流輝 (혁일류휘) 여름의 뜨거운 해가 빛을 발하듯 넘치는 행운이 그치지 말라.
○螢雪之功 (형설지공) 여름에는 반딧불로, 겨울에는 눈빛으로 공부를 해서 이 룬공로. 열심히 공부를 해야 성공을 한다는 뜻.
○惠愛爲心 (혜애위심) 남을 위하고 사랑하는 것은 평소의 마음가짐이어야 한 다
○虎死留皮 (호사유피)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虎死留皮人死留名 (호사유피인사유명)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 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好善優於天下 (호선우어천하) 선을 좋아하면 천하에 뛰어나게 된다.
○浩然之氣 (호연지기) 천지에 가득 찬 크고 넓은 정기, 무엇에도 구애됨 없는 떳떳하고 유연한 기개를 기르라
○湖中明月 (호중명월) 호수에 비친 밝은 달과 같이 만인이 우러러 보는 아름 다운 사람.
○好賢樂善 (호현락선) 어진 이를 좋아하고 선을 즐긴다.
○弘益人間 (홍익인간) 널리 인간 세상을 이익 되게 하는 사람이 되자.
○鴻志遠望 (홍지원망) 젊은이여 큰 뜻을 품고 멀리 내 다 보아라
○和氣滿堂 (화기만당) 온화한 기운이 온 가정에 가득하여라.
○和氣滿堂中 (화기만당중) 화목한 기운이 온 집안에 가득하여라.
○和氣瑞雲 (화기서운) 온화한 기운과 상서로움이 구름과 같이 집안에 가득하 여라.
○和氣自生 君子宅, 春光先到 吉人家 (화기자생 군자댁, 춘광선도 길인가) 온 화한 기운이 스스로 생기는 집은 군자의 집이요 생동하는 봄빛 이 먼저 드는 집은 길인의 집이라
○和氣致祥 (화기치상) 온화하고 부드러운 기운이 온 집안에 가득하다
○和樂長安 (화락장안) 가정에 화평과 즐거움이 넘치고 오래도록 건강하고 평 안하여라.
○禍福無門 (화복무문) 화와 복이 들어오는 문은 특별이 없다.
○禍福無門 惟人自招 積善之家 必有餘慶 (화복무문 유인자초 적선지가 필유여 경) 화복이 들고나는 문은 없다. 오로지 사람이 자초할 뿐, 선을많 이 쌓는 가문은 필히 넘치는 경사가 있나니
○花笑欖前聲未聽 (화소람전성미청) 꽃이 남간 앞에서 웃어도 그 소리를 들은 적이 없네. 진리는 모든 곳에 있지만 사람이 어리석어 알지 못한 다는 뜻.
○和順齊家之本 (화순제가지본) 화목하고 사랑하는 것은 집안을 다스리는 근본 이다
○和神養素 (화신양소) 정신은 온화하게, 마음은 소박하게.
○花欲開時 方有色 水成潭處 却無聲 (화욕개시 유방색 수성담처 각무성) 꽃은 피려 할 때 색을 발하고 물이 못을 이루는 곳엔 소리가 없다
○和而不唱 (화이불창) 화합하되 자기주장을 지나치게 하지 말라.
○和而不同 (화이부동) 남을 존중하여 화합하되 중심과 원칙을 잃지 않는다
○和風瑞雲 (화풍서운) 온화한 바람과 상서로운 구름. 우리 가정에 행운이 항 상 가득하여라
○花香千里 精香萬里 (화향천리 정향만리) 꽃향기는 천리를 가고 사람마음의 향기는 만리를 간다
○懷德 (회덕) 子曰 君子懷德 小人懷土 君子懷刑 小人懷惠 공자가 말하길 군 자는 큰 덕을 생각하고 소인은 삶의 터를 생각한다. 군자는 보편 적 법칙을 생각하고 소인은 작은 혜택을 생각한다
○懷德維寧 (회덕유녕) 덕이 있는 사람은 만사를 편안하게 한다.
○會者定離 去者必返 (회자정리 거자필반) 만나면 헤어지는 게 정한 이치이듯 떠난 자는 반드시 돌아 온다
○孝悌忠信 (효제충신) 부모에 대한 효도, 형제간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 친구와의 신의를 아울러 이르는 말
○厚德者流光 (후덕자류광) 덕이 두터운 사람은 자손의 영화를 누린다.
○厚德載物 (후덕재물) 덕을 두텁게 한 다음에 거기 사물을 실어라. 즉 덕을 쌓은 다음 할 일을 해야 한다.
○厚吾德 (후오덕) 厚吾德 逸吾心 亨吾道 덕을 쌓아 복을 만들고 마음을 편안 히 하여 수고로움을 던다 (菜根潭)
○後生可畏 (후생가외) 젊은 후배들을 두려워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