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이 가지는 형식들의 창조
Secret Symbol전
상징은 인간이 가지는 고유한 능력으로 현대예술가의 작품에서도 조형적 상징으로 풍부하게 표출되고 있다.
<Secret Symbol>전에 초대한 작가들의 작품에 감춰진 예술적 표현의 특수한 형태를 의미하는 표상상징과
조형상징으로 구별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글 | 정영숙(서울산업대학교 겸임교수, 아트세인 디렉터)
[2010. 1. 29 - 2. 25 현대백화점 미아점 갤러리H]
[현대백화점 미아점 갤러리H]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20-1 T.02-2117-2233
예술은 인간의 감정을 상징하는 형식들의 창조다.
수잔 K.랭커(Susanne K. Langer)
예술가는 물체의 형태에 심리적 중요성을 부여하여 상징(Symbol)으로 변형시킨다. 상징은 진리의 상징인 빛, 정열의 상징인 태양 등 자연적 상징과, 사랑의 상징인 하트모양과 기독교의 상징인 십자가 등의 상투적 상징이 있으며 신화, 종교, 철학 등 문화영역과 사회영역에서 상징은 범용되고 있다. 미술에서 상징은 19세기 후반 문학에서의 상징주의(symbolism)의 영향으로 형상할 수 없는 내면의 관념 등을 상징, 우의, 표징 등의 수법으로 이미지를 통해 전달하였다. 상징주의 미술은 장식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그 당시 아르누보(Art Nouveau)와도 연계성을 갖고 있다. 상징은 인간이 가지는 고유한 능력으로 현대예술가의 작품에서도 조형적 상징으로 풍부하게 표출되고 있다. <Secret Symbol>전에 초대한 작가들의 작품에 감춰진 예술적 표현의 특수한 형태를 의미하는 표상상징과 조형상징으로 구별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조형이미지 대상이 직접적인 의미내용 이외에 추상적인 관념을 상징하는 표상상징작가로는 강상중, 이서미이다. 강상중의 <빛의 정원>시리즈는 작은 원형 안에 다양한 기호를 표기, 반복하고 있다. 식물, 꽃, 음계, 사람 등을 표현하여 자연과 인간의 조화, 융합이 원색의 향연으로 강렬하게 품어내고 있다.
강상중 빛
박정연argyle pepsi
서희화.신선도-봉황 116x91cm 플라스틱에 아크릴 2007
이서미-별
이서미의 작품에 등장하는 이미지는 ‘새(Bird)’이다. 새는 작가의 분신으로 “그들은 우화적인 모습으로 남녀노소, 국적을 초월한 상징적인 인물로 일상의 은유적인 배경에서 활동한다”라고 작품 설명에 덧붙였다. 판화를 전공한 작가는 능숙하게 동판을 다룬 <공원>, <별>에는 반인반조(半人半鳥)가 등장한다. 스타벅스 로고가 반인반조의 사이렌으로 윗 몸은 아름다운 여인이고, 아랫 몸은 새의 모습이라면, 이서미 작품의 반인반조는 그 반대이다. 또한 인간의 몸은 동화책에 등장하는 캐릭터처럼 단순하다. 특히, <공원>은 가족, 여인과 산책을 하는 일상적 풍경을 감각 있는 조형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도형, 기호, 표의 등 조형이미지 대상이 직접적인 의미와 이미 상징화된 조형상징의 작가로는 박정연, 서희화이다. 박정연은 “국가의 상징에 세계적인 기업의 로고나 심법들을 오버랩하여 일상 생활에 침투한 자본과 경제의 힘을 일종의 엠블린(emblem)으로 시각화한 작업들이다”라고 설명을 하고 있다. 격자무늬 천(Plaid)과 아가일 패턴(argyle pattern)을 기본 문양으로 작가가 선택한 로고를 삽입하여 시각디자인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wannabe Heineken beer>, <wannabe Heineken dark>는 격자무늬에 하이네켄 문자가 별모양으로, <Argyle pepsi1>은 태극기와 펩시를 상징하는 색상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기호, 표의, 물질의 정체성이 강렬하게 시각화된 작품들이다.
서희화 작가는 민화와 플라스틱제품의 공통적인 속성을 연계하여 특별한 조형언어로 포착하고 있다. 작품을 직접 감상하지도 재료를 살펴보지도 않고, 이미지만 대면한다면 요즘에 통상적으로 전통민화의 현대적 제스처쯤으로 볼 수 있다. 그렇지만, 그의 작품 앞에 서면 플라스틱폐자재로 꽃을 핀 화조도, 신선도, 수복도 등에 재료의 기발한 변신으로 시각적 유쾌함을 느끼게 된다. 민화에 등장하는 동물, 꽃, 식물 등은 플라스틱 입체작품으로도 표현되어 조형의 영역을 넓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댓글 그림을 자세히 보니 입체적인 느낌이 드러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