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명 영어 번역기준 개선 아이디어 공모 이벤트 |
문화재청은 문화재의 명칭과 용어에 대한 영어 번역 기준을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표준화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일정한 기준과 원칙없이 기관 별, 번역가 별로 자의적이고 상이한 기준으로 번역함으로써 관람객에게 혼란과 불편을 초래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명실공히 표준화되고 단일한 영어 번역기준을 만드는 일에 국민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문화재명 영어 번역기준 개선 아이디어 공모 이벤트」를 개최하오니, 관심있는 분의 많은 참여바랍니다.
□ 응모분야
ㅇ 영어 번역(표기) 기준 개선 아이디어 공모
- 문화재명 및 용어에 대한 각종 매체(안내판, 안내책자, 저술 등 무 제한)의 영문표기 중 오류 또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을 발굴하여 개선(안)과 함께 제시
- 일상생활에서 문화재명 및 용어에 대한 영어 번역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례를 제시하고 개선 아이디어 제시
- 현재 사용 중인 영어번역기준의 문제점 지적 및 개선 아이디어 제시 등
□ 응모일정
ㅇ 접 수 : 09.1.2(금) ~ 1.12(월)/11일간(09:00~18:00)
ㅇ 심 사 : 09.1.12(월) ~ 1.15(목)
ㅇ 결과발표 : 09.1.19(금) 예정
- 문화재청 홈페이지(www.cha.go.kr)
□ 응모 방법
ㅇ 온라인 참여
- 문화재청 다음 블로그(http: //blog.daum.net/munhwajaecheong)
- 문화재청 네이버 블로그(http://blog.naver.com/culturalh)
- 문화재청 미니홈피(http://town.cyworld.com/chlove)
※ 문화재청 홈페이지(www.cha.go.kr) 및 블로그, 미니홈피에서 지정 양식 다운로드 후 작성 및 제출)
□ 심사방법
ㅇ 심사위원
- 「문화재명 및 문화재용어 영어 번역기준 사업」추진단
ㅇ 심사기준
심사요소 |
배점 |
비고 | |
논리성․ 체계성 |
제시된 기준 및 원칙이 일정한 법칙에 따라 논리적이고 체계적인지 여부 |
25 |
|
보편성․ 타당성 |
외국인 또는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가 이를 지지․수용할 수 있을 만큼 보편․타당한지 여부 |
25 | |
활용성 |
제시된 개선 기준(안)이 이번 사업(정책)에 반영 가능한지 여부 |
50 |
□ 시상규모
ㅇ 우수상
- 우수 개선 아이디어(20명) : 문화상품권 증정
※ 제시된 사례 및 개선 아이디어가 소정의 기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1, 2등의 시상은 생략할 수 있음
ㅇ 참가상
- 활용 가능한 아이디어를 제시한 모든 참가자에게는 창덕궁 무료관람권(1인 2매) 증정 추진(인원 제한 없음)
구 분 |
인원 |
상금(문화상품권) |
1등 |
1명 |
30만원 |
2등 |
3명 |
20만원 |
3등 |
6명 |
10만원 |
아차상 |
10명 |
5만원 |
참가상 |
|
창덕궁 무료관람권 1매 |
※ 별도 시상식 없이 수상자에게 시상품 개별 송부
※ 설날 이전에 문화상품권 수령 가능하도록 조치 예정
□ 유의사항
ㅇ 안내판, 안내책자 등에서 문화재명칭과 용어의 잘못된 영어 번역 사례를 찾는 것 외에도, 2001년에 문화재청에서 마련한 적이 있는 기준안에 대해 개선안을 제시하여 주시기 바람
ㅇ 반드시 지정양식(HWP) 다운로드 후 작성하여 해당 접수처(블로그 및 미니홈피)에 첨부, 제출할 것
ㅇ 단순히 문제점과 개선안 만 제시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기준과 원칙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것(위반시 참가상 자격 없음)
ㅇ 해당 기준과 원칙이 모방성 시비가 있을 경우 입상 취소하며, 선착순으로 제시된 분을 반영(블로그, 미니홈피 등 접수장소 3곳 모두 확인하여 귀하의 의견과 중복되는지 확인 바람)
ㅇ 아이디어 제안 수량에 제한 없으며, 다수 개선안 제시는 심사시 유리하게 반영됨
※ 단순히 번역의 오류만을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기준으로 삼을 만한 개선 아이디어(의견)을 제출하는 것이 중요
□ 기타 문의사항
ㅇ 담당자 : 문화재청 문화재활용팀 윤관영 (042-481-4746, kwan980@ocp.go.kr)
ㅇ 문화재청 홈페이지(www.cha.go.kr) 및 블로그 및 미니홈피
=============================================================================================
문화재명 로마자 표기//영문 번역 기준
2001년11월1일 작성
1. 로마자 표기는 문화관광부 고시 제2000-8호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른다.
2.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띄어쓰기는 국립국어연구원 편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삼는다.
3. 문화재명의 영문 명칭은 로마자 표기나 영문 번역 표기 중에서 어느 하나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4. 고유 명사(인명, 지명 등)는 로마자로 표기한다. 이에는 책 이름, 건물 이름, 그림 이름, 불교 용어 들을 포함한다.
예) 동국정운, 숭례문, 매화도, 보살
4-1. 이전 지명이나 옛 지명이 사용된 경우에는 현행 지명으로 바꾸지 않는다. 또한 현행 행정 구역 단위가 아닌 경우에는 붙임표(-)를 넣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예) (울릉)나리동 : Naridong
5. 일반 명사는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의미 변별이 필요한 것
청동, 석조, 목조, 금동, 금제
사자, 모란 등
(2) 다른 곳에도 있는 것
삼층 석탑, 입상, 좌상, 동종, 부도 등
6. 번역을 했을 때와 번역하지 않았을 때 의미 차이가 있거나 인지도에 현저한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번역하지 않는다.
예) 청자, 백자, 청화백자, 분청사기, 탈춤, 석빙고
7. 고유 명사의 한 부분으로 일반 명사가 들어 있을 경우 형태소 분석을 하지 않고 고유 명사로 취급한다.
예) 나옹화상어록(책 이름), 현묘탑, 실상탑
8. 외래어인 경우에는 원어를 살려 적는다.
예) 사리 sarira
9. 자연 지물명, 문화재명, 인공 축조물명은 붙임표(-)없이 붙여 쓴다. (로마자표기법 제3장제6항 참조)
9-1. 성(城), 산성(山城) 이름은 전체를 로마자 표기로 한다.
10. 불경은 예외적으로 로마자 표기와 영어 번역을 같이 사용한다. 문화재의 전체 명칭을 로마자로 표기하고 ( ) 안에 해당 불경의 영어 이름을 병기한다. 영어 번역은 불경의 종류, 즉 화엄경, 반야경, 금강경 등을 대상으로 하며, 불경 앞뒤에 붙는 초조본, 초판본 등은 번역하지 않는다.
10-1. 위에 해당하는 내용은 첨부한 ‘불경 대조표’와 같다.
11. 문화재명과 로마자//영어 번역의 대응은 다음과 같다.
(공)단 : satin
(마애)상(像) : image
(탑)재 : fragments
**(택)재실/재각/재사 : ** shrine
******묘역일원 : Whole area of ******'s tomb
***목판: wood printing blocks of ***
***출토: from ***
**계표석 : Landmark
**고(古)/구(舊)읍성 : Old **eupseong
**고가(古家) : 's old house
**굴(窟) : **gul
**돈대 : 로마자, 띄어쓰기
**동***(**洞***) : 이때의 동(洞)이 행정구역이 아니라 동네/마을의 의미라면 모두 로마자로 표기
**동**가/**가옥 : 's house **-dong <- **동 자리에 벼슬이나 직업 등이 오면 이들을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단. 호는 제외
**류 : School of ** (유파 개념)
**문집 : a collection of **'s works <- ‘문집’이 책명 속에 확실히 들어 있으면 전체를 로마자하지만 ‘문집’이 **의 여러 작품들을 모아 놓은 의미라면 앞의 예처럼 해석한다.
**바위 : 로마자
**사당 : ** shrine
**사적기(事蹟記) : Record for **
**사적비(史蹟碑) : Monument inscribed with history of
**사적비(事蹟碑) : Monument of
**사지 : **sa site
**서원 : ** seowon
**성당: Catholic church
**순절비 : Monument of **'s dying for loyalty
**승전비 : Monument of **'s victory
**실기 : records about <- ‘실기’가 책이름이면 그대로 로마자하지만, 사후나 후대에 **의 작품이나 행적 등의 기록을 모은 것이라면 앞의 예처럼 해석한다.
**완문 : document
**읍성 : **eupseong
**자생지 : Natural habitat of **
**장(匠): **jang
**정악: **jeongak
**정원 : ** garden
**층석탑 : ** storied stone pagoda
**향교대성전 : Daeseongseon of ** hyanggyo
12지상(십이지) : the 12 oriental zodiac animals
1질 : 1 complete set
3.1운동 : 3.1(Samil) Independence Movement
A필B도: B도 by A
가곡: gagok
가사: gasa
가전 : kept in the family of
각궁 : gakgung
각배: cup in the shape of horn
갈색 : brown
감실 : tabernacle
강당 : Lecture hall
객사 : guesthouse
거문고산조: Geomungo sanjo
겹 : lined
경복궁근정전 : Gheongbokgung Geunjeongjeon <- 서울숭례문과 같다
계단(戒壇) : ordination altar
고분: tumulus/tomb
고분군 : tumulis/tombs
고분군-백제고분군: tumuli of Baekje Period
고지(庫址) : warehouse site
공부 : ax
공사관: legation
공신교서 : Royal document of meritorious subject <- 다른 내용은 번역하지 않고 ‘for'를 한 뒤 받은 사람의 이름을 적는다.
공신록 : Royal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 다른 내용은 번역하지 않고 ‘for'를 한 뒤 받은 사람의 이름을 적는다.
과대 및 요대 : Girdle and pendants
관덮개 : Coffin cover
관사(官舍) : gwansa
관상감: Gwansanggam
관세음보살 : gwanseeumbosal
관음보살 : gwaneumbosal
관천대: Gwancheondae
광배 : nimbus
교구 : buckle
교지: royal edict
교첩 : appointment
구석기 : paleolith
국화 : chrysanthemum
군락 : stock of/community of
군청색 : ultramarine color
굴참나무: Asian cork-oak tree
권 14 : volume 14
권 14,15 : volumes 14, 15
권 상하 : first and last volumes
권속불일괄 : attachment buddha bundle
귀(鬼) : demon
귀면청동로 : Bronze brazier with demon mask decoration
귀문전 : Tile with demon design
귀부 및 이수 : Turtle shaped pedestal and dragon shaped capstone
귀형(龜形) : in the shape of a tortoise
금관 : geumgwan
금관조복 : Geumgwan jobok
금동 : Gilt-bronze
금제 : gold
금제경식 : Gold necklace
금제여래좌상 : Seated gold yeorae statue
금제천 : Pair of gold bracelets(팔찌)
급제 : passing state service examination 문과 : civil 무과 : military
기린 : kylin
기타유물 : Other relics
남사당놀이: 로마자 <- 놀이, 유희, 굿 따위는 로마자로 한다. 앞에 지명이 여럿 나올 경우 이들 위치는 영어 구문 구조를 따른다.
남색 : deep blue
납석 : amalmatolite
납의 : quilted
내외호: inner and outer jar
내친고/단속바지 : 로마자
너와집/통방아/굴피집/투막집 : neowajib/tongbanga/gulpijip/tumakjip
녹(綠) : Green
농악 : farmers' music
농요 : farmers' song
누비 : quilted
느티나무 : Seven zelkova trees
다뉴세문경 :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 and a pair of knobs
다래나무: Bower actintdia
단령포 : dallyeongpo
당간지주: flagpole supports
당산 : dangsan
당초문 : arabesque design
대사, 선사, 화상, 국사, 대선사, 법사 : 로마자로 하면서 앞의 법호와 띄어쓰기를 한다. 그러나 책이름이나 그림이름 등에 쓰인 경우에는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띄어쓰기 참조
대세지보살: Daesejibosal
대접 : bowl
대좌 : pedestal
대취타: daechwita
도요지 : Pottery kiln site
도호부, 유수부, 좌수영, 우수영 : 로마자 <- 고려, 조선 때의 옛 행정(군사) 지명은 로마자로
동관: east building
동궁비 : crown princess
동다회대/감투 : 로마자
동모/동파두 : 로마자
동채: in underglaze copper
두침/족좌 : 로마자
로(갈대) : reed
마애(磨崖) : carved on rock surface
매(梅) : plum
매향 : commemorating the burial of incense
모란 : peony
모전 : imitation brick
목관 : Wooden coffin
몽촌토성: Mongchon toseong
묘역: tomb area
묘지(墓誌) : Epitaph
문(무늬) : design
문루(門樓) : Gate pavilion
문배주(술이름) : 로마자
미륵보살 : mireukbosal
미륵보살반가상 : mireukbosal statue sitting with his legs half-crossed
민요 : folk songs
바지 : trouser
박지 : sgraffito
반(盤) : basin
반가상/반가사유상 : statue sitting with his legs half-crossed
반야바라말다심경약소 : Banyabaramildasimgyeongnyakso
방형(方形) 무덤 : Square based **
방형대좌 : on square pedestal
백송: Lacebark pine
백자 : Baekja
백자 대호 : Larg baekja jar
백자 호 : Baekja jar
백자철화포도문호 : Baekja jar with grape design in underglaze iron
백자청화=청화백자
베(삼베) : Hemp
벼루/연(硯) : inkstone
벽화 : mural
변소(화장실)/측간 : Lavatory/Restroom
병영성(兵營城) : fortress b
arracks
병풍(병) : folding screen
보(보자기) : cloth for wrapping
보문(寶紋) : with jewel design
보살 : bosal
복사문: design of a silk wrapping cloth
복장유물 : accompanying relics
봉산탈춤: Bongsan talchum
봉수대 : smoke-signal station
봉황 : Chinese phoenix
부(附): and 비변사등록부의정부등록-> Bibyeonsadeungnok and Uijeongbudeungnok
부도내유믈 : Relics from stupa
부조묘 : bujomyo
분재기: document transferring properties
분첩 : puff
분청사기 : Buncheongsagi
불화 : Buddhist painting
비(碑) : monument/stele
비각 : monument pavilion
비로자나불: birojanabul
비석거리 : Stele street
뽕나무 : Mulberry trees
사고(史庫) : Archive
사당 : Shrine
삭구 : rasp
산뢰 : pot
산성 : mountain fortress wall
산성: **sanseong <- 로마자. ‘**산’에 있는 성의 구조라면 로마자이지만, 만약 어디어디에 있는 산성이라는 의미라면 해석을 해야 한다.
산성지: mountain fortress wall site
산수 : landscape
산수화조문 : with landscape and flower and bird designs
삼강문 : Memorial gate
삼존불 : samjonbul
삼회장저고리 : 로마자
상(像) : statue
상(裳)/치마 : skirt
상감 : inlaid
상여 : bier
상중하 : first, second and last volumes
생가(生家) : Birthplace
서간문 : letters
서관: west building
서당 : 로마자
서도소리: Seodosori
서울문묘: Seoul Munmyo
서울화계사 : Seoul Hwagyesa
서울화계사동종 : Bronze bell of Hwagyesa in Seoul <- 위의 것과 구분 잘 할 것
서해안 : the western coast
석(조) : stone
석각 : carved stone
석불(石佛) : Stone buddha
석불상 : stone buddha statue
석빙고 : 로마자
석실(石室) : Grotto
석조 : stone tub
선사(禪師) : Zen priest <- 단독으로 쓰였을 때만 이렇게 하고, ‘** 선사’일 경우에는 번역하지 않고, 로마자로 바꾼다.
선사유적지 : Prehistoric remains
선사주거지: prehistoric settlement site
선소리산타령: Sensori santaryeong
성(城) : fortress <- ‘성’ 자체를 번역할 때만
세거지 : residence area of
세문경 :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
소색 : White
소자본 : in small charcaters
소조(塑造) : Terra-cotta
수문 : sluice
술, 장도, 장검, 호패, 방상씨탈 : 로마자
승(繩): rope
승무: seungmu
시나위: 로마자
시루 : steamer
신도비 : Tomb monument of
신도비부묘소/묘및신도비 : tomb and monument of
신사(神祠) : shrine
신학교: theological school
십장생: en symbols of longevity
아미타불 : amitabul
아청색/북청색 : dark blue
아태조, 강씨부인, 호구아씨, 용왕대신, 산신님, 창부씨, 신장님, 무학대사, 곽곽선생, 단군, 산불제석, 나옹님, 칠성님, 군웅대신, 금성신, 민중전, 최영장군, 명도 : 로마자
악수, 명목, 습리, 널이불, 흑삼, 청천익, 동달이, 쾌자, 단령 : 로마자
암각화 : Petroglyphs
압형 : in the shape of a duck
약사여래: yaksayeorae
양념국자 : ladel
얼레빗: coarse comb
여래 : yeorae
여래좌상 : Seated yeorae statue
연(연꽃) : lotus
연가7년명 : with inscription of Yeonga 7(chil)nyeon
연산군묘: Royal tomb of King Yeonsangun
연자방아/연자매 : Millstone worked by a horse
연적 : yeonjeok
영당/영우/사당/재사/재실 : shrine
영정/진영 : Portrait
옥류(玉類) : jades
옥색 : Jade green color
옷 : 오늘날에 쓰이는 것은 번역. 아닌 것은 로마자로
완문 : wanmun
왕지: royal edict/royal letters
왜성(矮星) : 로마자, 띄어쓰기 <- 일본사람들이 쌓아서 붙여진 이름인데, 로마자로 표기한다. 행정구역(리, 동)의 작은 단위라면 ‘왜성 of ***’라고 하지만, 아니면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한다.
요 : bedclothes
요지 : kiln site
용범 : Yongbeom
운(구름) : cloud
원앙 : mandarin duck
유(버드나무) : willow
유개 : lid
유록색 : Light green color
유리배 : glass
유묵(遺墨) : calligraphy
유물 : relic(s)
유서: last testament of ***
유적 : remains
은행나무: Gingko/Ginkgo tree
음각 : incised
의(자)상(倚(子)像) : statue seated on stool
이불 : overquilt
익재영정 : Portrait of Ikjae
인(印) : seal
인형(人形) : in the shape of a human figure
일원: whole area of
입상 : Standing statue
입석/선돌 : menhir
자라줌치, 제비부리당지(댕기), 매개당지, 떠구지당지 : 로마자
자색 : purple
자청색 : purplish blue color
장군(그릇의 하나) : janggun
장승 : jangseung
저(모시) : ramie
저고리 : jeogori
저울 : balance
적상 : jeoksang
적석총: stone-pile tomb
전(傳) : believed to be
전(塼) : Tile
전적(典籍): old books
전적지 : Battleground
전탑 : brick pagoda
절목 : list
정려각/정각/여표비각 : Monument pavilion
정려비 : Monument
조복 : jobok
조선왕조궁중음식: Royal culinary art of Joseon Dynasty
족보 : Genealogical table
종묘제례악: Jonmyo jeryeak
종택(宗宅)/종가(宗家) : head residence
주본(晋本): jubon
주성(鑄成) : made by
주자 : wine pot
주초: plinth
주칠(朱漆) : red lacquered
죽(대나무) : bamboo
중앙도서관: central library
지석/묘지석 : stone epitaph
지석묘(군)/고인돌 : dolmen(s)
직령포 : jingnyeongpo
진본(周本): jinbon
진사 : in underglaze iron/in undergalaze copper/in inlaid copper
참빗 : Fine-tooth comb
창의 : changui
책판/판/판본 : Wood blocks of
처용무: Cheoyongmu
** 척화비 : ** anti-compromise stele
천마도장니: Saddle flap with Cheonmado
천연보호구역 : Nature reserve
천홍(淺紅) : Light red
철(조): iron
철사-이조백자철사포도문호 : Baekja jar with grape design in underglaze iron in Joseon
철조 : iron
철채백화: coated with iron
철화/철사 : in underglaze iron
철확 : Iron cauldron
청동 : Bronze
청동검 : Bronze sword
청량산괘불탱: 로마자, 띄어쓰기, 어순 주의
청록색 : bluish green color
청석탑 : Slate stone pagoda
청자 : Cheongja
청자 매병: Cheongja maebyeong
청자 병 : Cheongja bottle(또는 pot)
청자 수병 : Cheongja pitcher
청자 수적 : Cheongja sujeok
청자 완 : Cheongja bowl
청자 정병 : Cheongja jeongbyeong
청자 항 : Cheongja jar
청화백자 : Cheonghwabaekja
초가 : Thatched house
초조본(初雕本): chojobon
총통-대완구: Large cannon
총통-세총통: Narrow rifle barrel
총통-소총통: Small rifle barrel
총통-지자총통: Jija rifle barrel
총통-차승자총통: Chaseungja rifle barrel
총통-황자총통: Hwangja rifle barrel
총통: cannon barrel/rifle barrel
출토복식 : Antique garments
춤 : dance
충신 : faithful retainer
측우대: pedestal for rain gauge
태실 : Placenta chamber
태지석: inscription stone
태항(胎缸)/태호(胎壺): placenta jar
태환이식 : Two earrings with large balls
토기 : earthenware
토성 : ** toseong
토성 : Earthen wall
통문 : Circular letter
통약조약 : Treaty of commerce between
투각/투조 : openwork
판소리 심청가: Pansori Simcheongga
팔각정 : Palgakjeong
패도, 대례모 : Paedo, Daeryemo
패옥, 서대, 홀, 전복, 구군복, 소례복, 제복, 배자, 대례복, 상, 후수 : 로마자
패총 : shell mound
편병/자라병: pyeonbyoeng
편호(扁壺) : jar
포도 : grape
포함 : inclusion
폭포 : waterfall
표주박 : Small gourd vessel
표형(瓢形) : in the shape of a gourd
풍기대: wind streamer
학(새이름) : crane
합/반합: bowl/medicin case
항라 : silk
해수욕장 : beach
해시계 : sundial
행궁 : temporary palace
향교 : hyanggyo
향나무: Chinese juniper tree
향로/향완 : incense burner
향청/동헌/내아 : 로마자
혜산 유숙: 호-이름 순서대로 로마자로.
호적단자/호구단자/호적: family register
호적대장 : Census register
혼천시계 : Honcheonsigye
화각(華角) : decorated with oxhor
화분 : flowerpot
화청자 : Cheongja in underglaze iron
황(黃) : yellow
황쏘가리: Golden mandarin fish
황후 : queen
회중시계 : Pocket watch
효자(녀) : dutiful son(daughter)
효행 : filial conduct
휴대용앙부일구: Ptable Angbuilgu
흉배 : hyungbae
※ 불경 대조표 : 로마자 (번역)
원칙 : 한글 명칭을 로마자로 표기하고 괄호 안에 불경의 번역어를 적는다. 예) 금강경, 묘법연화경, 화엄경, 능엄경 등
묘법연화경(=법화경) : Myobeomnyeonhwagyeong (Saddharma-pundarika sutra)
화엄경(=대방광불화엄경) : Hwaeomgyeong(Avatamsaka sutra)
능엄경(=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대불정수능엄경)
: Neungeomgyeong(Suramagma sutra)
아비달마식신족론 : abidalmasiksinjongnon (Abidharma sutra)
아비담비파사론 : abidambipasaron (Abidambipasa sutra)
현양성교론(현양론, 광포중의론) : hyeonyangseonggyoron (Commentary on Yogacaryabhumi sutra
유가사지론 : yugasajiron (Yogacaryabhumi sutra)
대반야바라밀다경(=대반야경=반야경=반야심경) : daebanyabaramildagyeong (Mahaprajnaparamita sutra)
금강반야바라밀경(=금강경) : Geumgangbanyabaramilgyeong (Maha-prajna-paramita sutra) or (Vajra-prajina-paramita sutra)
능엄경 : neungeomgyeong (Suramagma sutra)
보살선계경 : bosalseongyegyeong (Bodhisattva sutra)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대방광원각경=원각경=요의경) : Daebanggwangwongaksudarayouigyeong (Dharani sutra)
범망경(=범망경노사나불설보살심지계품=범망보살계경) : Beommanggyeong
불설대보부모은중경(=부모은중경=은중경) : Bulseoldaebobumoeunjunggyeong (Sakyamuni's teaching on parental love)
지장보살본원경(=지장경) : Jijangbosalbonwongyeong (Ksitigarbha purva-pranidhana sutra)
아미타경 : Amitagyeng (Amitabha sutra)
대방광원각략소주경 : Daebanggwangwongangnyaksojugyeong (Commentary on Daebanggwangwongakgyeong)
보우경 : Bougyeong
천수경 : Cheonsugyeong
******소(疏) : (Commentary on ********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약사경) : Yaksayurigwangnyeoraebonwongongdeokgyeong (Bhaisajyaguru sutra)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 : Banyabaramildasimgyeongnyakso (Commentary on prajina-paramita sutra)
주의) 위에 각 로마자 표기는 괄호 안의 ‘=’ 표시 항목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 )의 항목이 한글 명칭에 사용되었다면 그 항목을 로마자로 표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