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10월 공고되는 해상풍력 경쟁입찰에서 안보·공공역할, 국내 공급망 기여도, 유지보수 역량 등 '비가격 지표'를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향후 해상풍력 설비를 운영할 때 도청, 해킹 등에 취약한 해외 우려 기자재를 사용하거나, 외국계 자본이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을 잠식할 우려 등에 대비하는 차원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을 발표했다. 그간 에너지업계 안팎에서는 해상풍력이 재생에너지 핵심 전원으로 부상하는 만큼 정부가 시장과 제도,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특히 해상풍력 설비는 원전 1기에 맞먹는 1GW(기가와트) 규모로 운영돼 전력망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신재생 공급의무화(RPS) 제도를 개편하면서 공공 참여사업의 목표 비중을 제시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공공주도형 별도 입찰시장 신설을 추진한다. 정부는 이 같은 로드맵을 바탕으로 매년 4분기 시행했던 풍력 경쟁입찰을 2분기로 앞당기고, 입찰 수요에 따라 필요시에는 4분기 추가 공고를 할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부터 2026년 상반기까지 2년간 약 7∼8GW 규모의 물량에 대한 해상풍력 입찰 공고가 추진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862935?sid=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