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빈곤층 거주지역이 다운타운에서 교외지역으로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으며, 빈곤의 정도도 한층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빈곤층의 대부분이 새 이민자들인 소수유색인종인 것으로 드러나 보조주거시설과 고용 교육 등 정부의 이민자 관련 정책이 보다 현실적인 면으로 강화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극빈자보호기구 유나이티드웨이(UW)가 연방통계청 자료를 분석해 5일 발표한 ‘우편번호로 나타낸 빈곤층 거주 분포’ 보고서에 따르면 2001년 현재 토론토는 총 5백22개 거주지역 중 1백20곳이 빈곤층 밀집거주지역이다. 이는 지난 1981년 30 군데와 비교하면 불과 20년 사이 4배가 증가한 것이다. 빈곤층은 연소득이 연방통계청의 저소득기준점(LICO)인 2만3천 달러(두 자녀 가정기준)이하를 가리킨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또한 이와 같은 빈곤층 거주지역의 수적 증가와 함께 분포지역의 확산도 지적했다. 과거 다운타운에만 몰려있던 ‘가난한 동네’들이 이제는 도시 외곽지역으로 흩어져 전체 1백20개 중 92개 지역이 노스욕, 스카보로, 이토비코 등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각각 36, 26개를 기록한 노스욕과 스카보로는 20년 사이 빈곤화가 드라마틱하게 심화된 지역이었다.
UW 프란시스 란킨 회장은 “빈곤층의 거주 지역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는 렌트비이다. 포화상태에 이른 다운타운을 벗어나 상대적으로 싼 가격의 아파트가 있는 곳을 찾아 외곽으로 옮겨 가고 있는 것이다”라고 설명 했다.
란킨 회장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에서 드러난 가장 우려되는 점은 이와 같이 ‘끼리끼리’ 몰려 살고 있는 빈곤층의 대부분을 ‘신규이민자’인 ‘소수유색인종’들이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81년 조사에서는 전체 빈곤층의 37.4%에 불과했던 소수유색인종이 이번 조사에서는 77.5%로 엄청난 증가를 보였다.
이에 대해 란킨 회장은 “ 일단 빈곤층 밀집화가 나타나면 중산층 거주자와 고급 비즈니스 가 그 지역을 떠나게 된다. 따라서 범죄율이 증가하고 빈곤화가 심화돼 거주여건은 급격하게 악화한다”며 “정부는 행동이 지금 당장 필요하다”고 말했다.
란킨 회장이 요구하는 정부의 행동이란 보조주거시설의 확충과 새 이민자들에 대한 교육이다. ‘주거시설 확충’은 빈곤층에게 가장 큰 부담인 주거비 절감이라는 직접적 도움을 줄 수 있고 ‘교육’은 고용기회를 개선함으로서 생활 여건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간접적 도움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토론토대학 도시계획과 래리 번 교수는 “빈곤층 거주지역의 도시 외곽 확대현상은 이미 북미와 유럽 여러 도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 토론토에서도 10년 전부터 유사한 조짐이 보였다”면서 “다운타운에 집중된 정부보조주거시설의 지역별 적정 분포와 빈곤층을 위한 각종 커뮤니티 프로그램 운영 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