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주예측학 ∣四柱預測學∣
甲子納音 갑자납음
十天干與十二地支按順序兩兩相配,從甲子到癸亥,共六十個組合,故稱六十甲子。
又每兩組配一納音五行,到底是什麼意思,至今對我國學術界是一個謎。
십천간과십이지지를 둘둘서로 짝하고, 갑자에서 계해까지, 합60개 조합이므로, 60갑자라 한다.
또 매 두조 짝이 납음오행이며, 거기는 무슨의미인데, 지금까지도 우리 학술계는 수수께끼이다.
壬申、癸酉 劍鋒金 甲戌、乙亥 山頭火 丙子、丁醜 洞下水
戊寅、己卯 城牆土 甲子、乙丑 海中金 丙寅、丁卯 爐中火
戊辰、己巳 大林木 庚午、辛未 路旁土 庚辰、辛巳 白臘金
壬午、癸未 楊柳木 甲申、乙酉 泉中水 丙戌、丁亥 屋上土
戊子、己醜 霹雷火 庚寅、辛卯 松柏木 壬辰、癸巳 常流水
甲午、乙未 沙中金 丙申、丁酉 山下火 戊戌、己亥 平地木
庚子、辛醜 壁上土 壬寅、癸卯 金箔金 甲辰、乙巳 佛燈火
丙午、丁未 天河水 戊申、己酉 大驛土 庚戌、辛亥 釵釧金
壬子、癸醜 桑松木 甲寅、乙卯 大溪水 丙辰、丁巳 沙中土
戊午、己未 天上火 庚申、辛酉 石榴木 壬戌、癸亥 大海水
以下摘錄三命通會之“論納音取象”,以體味其義。
아래에 삼명통회가 기록한 "논납음취상"으로, 그 뜻을 체감해본다.
육십갑자 납음오행표
육갑 | 갑자 | 을축 | 병인 | 정묘 | 무진 | 기사 | 경오 | 신미 | 임신 | 계유 |
납음 | 海中金 | 爐中火 | 大林木 | 路中土 | 劍鋒金 | |||||
육갑 | 갑술 | 을해 | 병자 | 정축 | 무인 | 기묘 | 경진 | 신사 | 임오 | 계미 |
납음 | 山頭火 | 潤下水 | 城頭土 | 白蠟金 | 陽柳木 | |||||
육갑 | 갑신 | 을유 | 병술 | 정해 | 무자 | 기축 | 경인 | 신묘 | 임진 | 계사 |
납음 | 泉中水 | 屋上土 | 霹靂火 | 松柏木 | 長流水 | |||||
육갑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 경자 | 신축 | 임인 | 계묘 |
납음 | 沙中金 | 山下水 | 平地木 | 壁上土 | 金箔金 | |||||
육갑 | 갑진 | 을사 | 병오 | 정미 | 무신 | 기유 | 경술 | 신해 | 임자 | 계축 |
납음 | 覆燈火 | 天河水 | 大驛土 | 釵釧金 | 桑柘木 | |||||
육갑 | 갑인 | 을묘 | 병진 | 정사 | 무오 | 기미 | 경신 | 신유 | 임술 | 계해 |
납음 | 大溪水 | 沙中土 | 天上火 | 石榴木 | 大海水 |
ㅡㅡㅡㅡㅡㅡㅡㅡㅡ
昔者,黃帝將甲子分輕重而配成六十,號曰花甲子,其花字誠為奧妙,聖人借意而喻之,不可著意執泥。
옛날 황제는 갑자를 경중으로 나누며 짝은 60을 이루고, 왈화갑자라 부르며, 그화글자는 성이 오묘하며,
夫自子至亥十二宮,各有金、木、水、火、土之屬,始起於子為一陽,終於亥為六陰,其五行所屬金、木、水、火、土,在天為五星,於地為五嶽,於德為五常,於人為五臟,其於命也為五行。
是故甲子之屬乃應之於命,命則一世之事。故甲子納音象,聖人喻之,亦如人一世之事也。何言乎?
무릇 자에서 해까지 12궁이고,각 금목수화토의 속이 있고, 처음은 자로 시작 1양이고, 끝은 해로 6음이며, 그 오행은금 목수화토 소속이고, 하늘에 있어 오성이 되고, 땅에서 오악이 되며, 덕에서 오상,사람은 오장,그 명에서 오행이 되었다.이러하여 갑자의 속은 명에 응하고, 명은 일세의 일이다.고로 갑자납음상은,성인이고,사람의 일세 일이다. 뭔가?
子醜二位,陰陽始孕,人在胞胎,物藏其根,未有涯際;
寅卯二位,陰陽漸開,人漸生長,物以拆甲,群葩漸剖,如人將有立身也;
辰巳二位,陰陽氣盛,物當華秀,如人三十、四十而有立身之地,始有進取之象;
자축 두위치는, 음과 양은 잉태했고, 사람은 포태에 있고, 사물은 그 뿌리를 숨기고, 애각이 있다.
인묘 두위치는, 음양이 서서히 열리고, 사람은 생장하고, 갑을 해체하고, 그룹이 점차 나뉘며, 사람은 입신이 있다.
진사 두자리는, 음양 기가 성하고, 사물은 화려하고, 사람이 30 세, 40 세이며 입신하는 곳이 있고, 시작은 진취의 상이다.
午未二位,陰陽彰露,物已成奇,人至五十、六十,富貴貧賤可知,凡百興衰可見;
申酉二位,陰陽肅殺,物已收成,人已龜縮,各得其靜矣;
戌亥二位,陰陽閉塞,物氣歸根,人當休息,各有歸著。
오미 2자리는, 음양이 드러나고, 사물이 훌륭 해지고, 50 대 60 대까지의 사람, 부귀빈천을 알 수 있으며, 보통 흥쇠를 볼 수 있다.
신유 두자리는, 음양이 숙살하고, 물은 수확되고, 사람은 줄어들고, 각자 그 조용함을 얻는다.
술해 두 곳은 음양이 닫혀지고, 물질의 기는 뿌리로 돌아가고, 사람은 쉬어야하며, 각자 자신의 귀환이 있습니다.
詳此十有二位先後,六十甲子可以次第而曉。
상세히 이 십은 2자리의 선후가 있고, 60갑자는 차례로 새벽일수 있다.
甲子乙丑何以取象為海中之金?
갑자을축은 취상에서 왜 해중금이 되는가?
蓋氣在包藏,有名無形,猶人之在母腹也,
壬寅癸卯絕地存金,氣尚柔弱,薄若繒縞,故曰金泊金。
庚辰辛巳以金居火土之地,氣已發生,金尚在礦,寄形生養之鄉,受西方之正色,乃曰白蠟金;
甲午乙未之氣已成,物質自堅實,混于沙而別于沙,居於火而煉於火,乃曰沙中金也,
壬申癸酉氣盛物極,當施收斂之功,穎脫鋒銳之刃。
蓋申酉金之正位,幹值壬癸,金水淬礪,故取象劍鋒而金之功用極矣;
至戌亥則金氣藏伏,形體已殘,鍛煉首飾,已成其狀,藏之閨閣,無所施為,
而金之功用畢,故曰庚戌辛亥釵釧金。
대개 기는 포장이 있고, 이름은 있으나 보이지 않으며, 여전히 사람도 어머니의 배에 있다,
임진 계묘 절지는 금에 있으며, 기는 여전히 유약하고, 수축하는 것처럼 얇으므로 왈 금박금입니다.
경진 신사는 금으로 화토의 땅에 살고 있으며, 기가 이미 발생했고, 금은 여전히 광산에 있으며, 기생 다산의 땅이며, 서방의 정색이며, 이는 왈 백재금입니다.
갑오 을미의 기는 이미 이루고, 물질은 고체이며, 모래와 섞여 모래와 구별하며, 화 속에 거하고 화에서 정제되며, 왈 사중금이며, 임신 계유 기는 성하여 물이 극이고, 의당 수렴의 힘을 베풀고, 날카로운 모서리의 칼날이 제거됩니다.
대개
신유 금의 올바른 위치는, 천간 값 임계이며, 금수가 담금하며, 고로 상은 검봉이며 금의 기능이 다합니다.
술해에 이르면, 금 기가 숨겨지고, 형체는 남으며, 단련 머리장식이며, 이미 그 상을 이루고, 규각에 숨겨지고, 할 일이 없으며,
금의 기능 사용이 끝나므로, 왈 경술 신해는 차전 금이다.
壬子癸醜何以取象桑柘木?
임자 계축은 취상에서 왜 상석목인가?
蓋氣居盤屈,形狀未伸,居於水地,蠶衰之月,桑柘受氣,取其時之生也;
庚寅辛醜則氣已乘陽,得栽培之勢力其為狀也,奈居金下,
凡金與霜素堅,木居下得其旺,歲寒後凋,取其性之堅也,故曰松柏木,
戊辰己巳則氣不成量,物已及時,枝葉茂盛,郁然成林,取其木之盛也,故曰大林木,
壬午癸未,木至午而死,至未而墓,故楊柳盛夏葉凋,枝幹微弱,取其性之柔也;故曰楊柳木;
庚申辛酉,五行屬金而納音屬木,以相克取之。
蓋木性辛者,唯石榴木;
申酉氣歸靜肅,物漸成實,木居金地,其味成辛,故曰石榴木;
觀它木至午而死,惟此木至午而旺,取其性之偏也;
戊戌己亥,氣歸藏伏,陰陽閉塞,木氣歸根,伏乎土中,故曰平地木也。
대개 기는 반굴에 거하고, 모양은 확장되지 않으며, 수지에 거하고, 잠쇠의 월이며, 상석의 기를 받고, 그 시의 생을 얻습니다.
경인 신축은 이미 양 기를 타며, 재배의 세력을 얻어 그것이 상이 된다.
금과 서리가 강하고 나무가 번성하며 일년 중 추위가 지나면 자연의 힘을 얻는 의 형태이므로 왈 송백목이며,
무진 기사는 기가 양을 이루지 않으며, 일이 시기이고, 가지와 잎이 울창하고, 숲이 우울하고, 그 목이 왕성하므로, 대림목이며,
임오 계미는 목이 오에서 사이고, 미에서 묘이므로, 버들목 여름같아 가지가 미약하며 그 성질이 부드럽다 고로 양유목이다.
경신 신유는, 5행 금에 속하고 납음은 목에 속하며 상극으로 가져온다. 대개 목성인 신금은,유일한 석류목 이다;
신유 기가 정숙하게 돌아 왔고 점차 단단 해졌고 목은 금지에 살고 그 맛은 매운 맛이 나므로 석류목이라 한다.
그 목이 오에 이르러 죽고, 이 목이 오에 이르러 왕을 추리하여 그 성질의 치우침을 가진다.
무술 기해는 기가 돌아와 잠복하고, 음양은 가려지고, 목기는 뿌리로 돌아가 토중에 복하므로 왈 평지목이다.
丙子丁醜何以取象澗下水?
병자 정축은 취상에서 왜 간하수인가 ?
蓋氣未通濟,高段非水流之所,卑濕乃水就之鄉,由地中行,故曰澗下水;
甲寅乙卯,氣出陽明,水勢恃源,東流滔注,其勢浸大,故曰大溪水;
壬辰癸巳,勢極東南,氣傍離宮,火明勢盛,水得歸庫,盈科後進,乃曰長流水也;
丙午丁未,氣當升降,在高明火位,有水沛然作霖,以濟火中之水,惟天上乃有,故曰天河水;
甲申乙酉,氣息安靜,子母同位,出而不窮,汲而不竭,乃曰井泉水;
壬戌癸亥,天門之地,氣歸閉塞,水力遍而不趨,勢歸乎寧謐之位,來之不窮,納之不溢,乃曰大海水也。
대개 기는 통제가 없고, 높은 부분은 물의 흐름장소가 아니며, 겸손한 습기는 여전히 수의 향이며, 땅 가운데 가므로 왈 윤하수다.
갑인 을묘는 기가 양명에서 나고, 수 세는 원천이며, 동쪽 흐름은 쏟아지고, 그 세는 크게 잠겨 있으므로 왈 대계수이다.
임진 계사는, 세가 남동쪽에서 다하며, 기는 리궁 곁이고, 화는 밝고 세는 왕성하며, 수는 고를 얻고, 잉과는 뒤로 물러나고, 이는 왈 장류수이다.
병오 정미는, 기가 의당 승강하며,높은 화의 위치는 수가 파도를 일으켜 화중의 수를 덜어주지만 하늘에는 있으므로 천하수이다.
갑신 을유는, 기가 호흡은 안정하고, 아들과 어머니는 같은 위치나오며 다하지는 않고, 다그치며 지치지 않으며 이는 정천수이다.
임술 계해는, 천문의 땅이며, 돌아온 기는 닫혀 있고, 수력은 어디에나 있고, 세는 경향은 없으며, 끝이없고, 넘치지 않아 이는 대해수이다.
戊子己醜何以取象霹靂火?
무자 기축은 취상에서 왜 벽력화인가?
蓋氣在一陽,形居水位,水中之火,非神龍則無,故曰霹靂火;
丙寅丁卯,氣漸發輝,因薪而顯,陰陽為治,天地為爐,乃曰爐中火也;
甲辰乙巳,氣形盛地,勢定高岡,傳明繼晦,子母相承,乃曰覆燈火也;
戊午己未,氣過陽宮,重離相會,丙靈交光,發輝炎上,乃曰天上火也;
丙申丁酉,氣息形藏,勢力韜光,龜縮兌位,力微體弱,明不及遠,乃曰山下火也;
甲戌乙亥謂之山頭火者,山乃藏形,頭乃投光,內明外暗,隱而不顯,飛光投乾,歸於休息之中,故曰山頭火也,
대개 1양의 기이며, 형은 수위에 있고, 수중의 화이며, 신용이 아니면 없으므로 왈 벼락 불이다.
병인 정묘는, 기가 점차 빛나고, 급여 때문에, 음과 양은 규칙이며, 하늘과 땅은 용광로이며, 이는 노중 화이다.
갑진 을사는, 기가 왕성지 모양이며, 기세는 가오 강에 세워지고, 명나라의 전승, 아들과 어머니이 상승하며, 이는 복등화이다.
무오 기미는 기가 양 궁전을 통과하고 회의가 반복되고 정신이 빛과 교환되고 불꽃이 빛나고 이는 천상 화이다.
병신 정유는 기 호흡은 숨겨져 있고, 힘은 탑광이며, 거축은 태 위치로 축소되고, 힘은 약하고, 빛은없고 멀며, 이는 산하화이다.
갑술 을해는 산두화는, 산에 숨겨져 있고, 머리는 빛내며, 내는 밝고 외는 어둡고, 숨겨져 있지만 보이지 않으며, 날아서 빛내고, 투건하고, 휴식중에 돌아오므로, 왈 산두화이다.
庚子辛醜何以取象壁上土?
경자 신축은 취상에서 왜 벽상토라 하는가?
氣居閉塞,物尚包藏,掩形遮體,內外不交,故曰壁上土;
戊寅己卯,氣能成物,功以育物,發乎根莖,壯乎萼蕊,乃曰城頭土;
丙辰丁巳,氣以承陽,發生已過,成其未來,乃曰沙中土也;
庚午辛未,氣當成形,物以路彰,有形可質,有物可彰,乃曰路傍土也,
戊申己酉,氣已歸息,物當收斂,龜縮退閑,美而無事,乃曰大驛土也;
丙戌丁亥,氣成物府,事以美圓,陰陽曆遍,勢得期間,乃曰屋上土也。
기가 폐색에 거하며, 사물은 여전히 숨겨져 있고, 숨겨진 몸, 내 외는 사귀지 않으므로 왈 벽상토이다.
무인 기묘는, 기는 성물이고, 공은 사물을 키우며, 뿌리 줄기가 나타나며, 강한 꽃받침이 되며, 이는 성두토이다.
병진 정사는, 기는 승양이고, 발생은 이미 지나고, 그 미래를 이루고, 이는 왈 사중토이다.
경오 신미는, 기는 형을 이루고, 사물은 도로에 나타나며, 유형적이고 질적이며, 나타내는 것이 있으며, 이는 노방토이며,
무신기유는, 기가 돌아와 호흡하고, 사물은 수렴하고, 거북이는 퇴각하여 한가로우며, 아름다우며 무사하며, 이는 대역토이다.
병술 정해는 기가 부를 이루고, 아름다운 으로 일이며, 음양은 모두 끝났으며, 기는 기간을 얻고, 이는 왈 옥상토이다.
余見路旁之土,播殖百穀,午未之地,其盛長養之時乎?
大驛之土通達四方,申酉之地,其得朋利亨之理乎?
城頭之土取堤防之功,五公恃之,立國而為民也,
壁上之土明粉飾之用,臣庶資之,爰居而爰處也;
沙中之土,土之最潤者也,土潤則生,故成其未來而有用;
屋上之土,土之成功者也,成功者靜,故止一定而不遷。
나머지를 보면
노방의 토는, 백곡물을 심고 오미의 땅인, 그 왕성한 성장 영양의 때인가 ?
대벽의 토는, 사방을 통달하고, 신유의 땅, 그리고 붕을 얻어 리형의 이치입니까?
성두의 토는, 제방의 공로를 가지고 있으며, 다섯 왕자는 자랑스러워하고, 나라가 세워지고 사람이 되며,
벽상의 토는, 백색 도료로 사용되며, 궁정은 부자이며, 거주지도 장소입니다.
모래 속의 토는, 토양 중 가장 축축한 토양이 태어나서 미래와 유용성이됩니다.
지붕 위의 토는, 토양의 성공이다, 성공은 조용함, 그래서 멈춰 정하며 움직이지 않습니다.
蓋居五行之中,行負載之令,主養育之權,三才五行皆不可失,
處高下而得位,居四季而有功,
金得之鋒銳雄剛,
火得之光明照耀,
木得之英華越秀,
水得之濫波不泛,
土得之稼穡愈豐。
聚之不散,必能為山,山者,高也;散之不聚,必能為地,地者,原也。
用之無窮,生之罔極,土之功用大矣哉!
대개 오행 중에는, 짐의 순서를 갖고, 주가 양육의 권리이고, 삼재 오행 모두 잃어버리지 않고,
높은곳 아래이며, 사계절에 살며 노력이 있고,
금을 얻어 날카롭고 강하며,
화를 얻어 빛이 밝고,
목을 얻어 영화 아름답고,
수를 얻어 넘치는 파도가 넓지 않고,
토를 얻어 가색이 더 풍부하다.
모여서 흩어지지 않고 반드시 산이 됩니다. 산은 높다 ; 흩어지고 모이지 않으면 반드시 땅이 되고, 땅은 근본이다.
사용은 끝이 없고, 생의 무모함이며, 토에서 기능은 쓰임이 위대합니다!
五行取象,皆以對待而分陰陽,即始終而變化。
오행취상은, 모두 기다림이며 나누어 음양인데, 즉 시종이며 변화이다.
如 이를테면
甲子乙丑對甲午乙未,海中沙中,水土之辨,剛柔之別也;
庚申辛已對庚戌辛亥,白蠟釵釧,乾巽異方,形色各盡也;
壬子癸酉對壬午癸未,桑柘楊柳,一曲一柔,形質多別也;
庚寅辛卯對庚申辛酉,松柏石榴,一堅一辛,性味迥異也;
갑자 을축 대 갑오 을미는 해중 사중, 수 토의 구별이며, 강유의 다름이다 ;
경신 신사 대 경술신해는, 백색 왁스, 건손이 다른 방향, 형색이 각 다합니다.
임자계유 대 임오계미는, 상석양유이며, 1번 굽고 한번 유하고, 형질은 많이 다릅니다;
경인 신묘대 경신신유는, 송백석류이며, 하나는 단단하고 하나는 매운맛, 성미도 매우 다릅니다.
戊辰己巳對戊戌己亥,大林平地,一盛一衰,巽乾殊方也;
戊子己醜對戊午己未,霹靂天上,雷霆揮鞭,日明同照也;
丙寅丁卯對丙申丁酉,爐中山下,火盛木焚,金旺火滅也;
甲辰乙巳對甲戌乙亥,覆燈山頭,含光畏風,投光止艮也;
무진기사 대 갑술을해는, 대림평지이며,하나는 왕성 하나의 쇠퇴, 손건 특별한 방이다 ;
무자기축 대 무오기미는, 벽력천상이며, 하늘의 벼락, 천둥 채찍, 태양과 빛이 함께 빛납니다.
병인정묘 대 병신정유는, 노중 산하, 불은 나무로 가득 차 있고, 금왕 불은 꺼진다.
갑진을사 대 갑술을해는, 복등산두이며, 빛을 포함하고 바람을 두려워하고, 투광을 간이다.
庚子辛醜對庚午辛未,壁上路旁,形分聚散,類別死生也;
戊寅己卯對戊申己酉,城頭大驛,東南西北,坤艮正位也;
丙辰丁巳對丙戌丁亥,沙中屋上,幹濕互用,變化始終也。
경자신축 대 경오신미는, 벽상노방이며, 형태와 흩어져, 죽음과 삶도 범주에 속합니다.
戊寅己卯 대 무신기유는, 성두대역이며,남동쪽, 북서쪽, 곤간정위이다;
병진정사 대 병술정해는, 사중옥상이며, 간 습식 상호 사용하며, 변화는 처음과 끝이다.
圓看方看,不外旺相死休; 원을보고 방을 보아, 왕상사휴 외는 없다.
因近取遠,莫逃金木水火土。 가깝기에 멀리서 취하고,금목수화토를 도망한다
以干支而分配五行,論陰陽而大明始終。간지로 나누며 오행을 짝해,음양을 논하며 시종이 크게밝다.
天成人力相兼,生旺死絕並類。 하늘은 사람힘에 겸하여 이루고, 생왕사절과 함께하는 류이다.
嗚呼! 오호라!
六十甲子聖人不過借其象以明其理,而五行性情,材質,形色,功用無不曲盡而造化無餘蘊矣。
60갑자는 성인이 불과 옛날 그상으로 그 이치를 밝히며, 오행성정,재질,형색 노력을 사용 굽히지 않은것이 다 없으며 조화가 아닌것이 없다.
ㅡㅡㅡ
十神心性 십신심성
天干透出的十神,也被解釋為天性的自然流露,此天性有“破則立”的關係,
如印克傷,傷克不了官,正官心性現,還有不破也立的關係,
如日元一片比肩,無官殺克制,則比肩心性顯露。
以下列出各透出十神之心性,命主來判斷自己哪個心性顯露。
也有多個心性同時顯露的情況,並且不在少數。
천간 투출인 십신도 천성의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해석되는데, 이 천성은 "파즉립"의 관계인데,
이를테면 인이 상관을 극하면 상관은 관을 극할 수 없고, 정관심성이 보이며, 깨지지 않는 것과 서있는 것의 관계,
즉 일원이 비견을 나란히 하고 관살의 극제가 없으면,비견 심성이 드러난다.
다음은 각각투출한 십신의 심성을 나열하고, 명주는 자신의 마음 중 어느 심성이 드러나는지를 판단하다.
또한 여러 가지 심성이 동시에 드러나는 경우도 적지 않다.
正官心性,正直負責,端莊嚴肅,循規蹈矩,易流於刻板,墨守成規,反為意志不堅。
偏官心性,豪爽俠義,積極進取,威嚴機敏,易流於偏激,叛逆霸道,反為墮落極端。
정관심성은, 올바르고 책임감 있고, 위엄 있고 진지하고, 규칙을 따르고, 엄격하고, 순응하기 쉽지만 의지가 강하지는 않습니다.
편관심성은, 대담하고, 기사도 정신이 투철하고, 공격적이고, 위엄 있고, 기민하고, 극단적이고, 반항적이고, 지배적이지만, 극단적으로 타락했다.
正印心性,聰穎仁慈,淡薄名利,逆來順受,易流於庸碌,缺乏進取,反為遲鈍消極。
偏印心性,精明幹練,反應機敏,多才多藝,易流於孤獨,缺乏人情,反為自私冷漠。
정인 심성은, 총명하고 자비로운, 명예와 재산에 무관심, 복종, 평범하기 쉽고, 진전이 없지만 느리고 부정적입니다.
편인 심성은, 약삭빠르고, 유능하고, 반응이 좋고, 다재다능하고, 외롭기 쉽고, 인간적인 감정이 부족하지만, 이기적이고 무관심하다.
比肩心性,穩健剛毅,勇敢冒險,積極進取,易流於孤僻,缺乏合群,反為孤立寡合。
劫財心性,熱誠坦直,堅韌志旺,奮鬥不屈,易流於盲目,缺乏理智,反為蠻橫衝動。
비견심성은, 마음과 비슷하고, 꾸준하고 단호하며, 용감하고 모험적이며, 공격적이고, 물러나기 쉽고, 사교성이 부족하지만 고립되고 양립할 수 없습니다.
겁재심성은, 열정과 솔직함, 끈기와 야망, 불굴의 투쟁, 맹목적이기 쉽고, 이성이 부족하지만 오만하고 충동적이다.
食神心性,溫文隨和,帶人寬厚,善良體貼,易流於虛偽,缺乏是非,反為迂腐懦弱。
傷官心性,聰明活躍,才華橫溢,逞強好勝,易流於任性,缺乏約束,反為桀傲不馴。
식신심성은, 글을 좋아하고, 온화하고 느긋하며, 관대하고, 친절하고, 사려 깊고, 위선적이기 쉽고, 옳고 그름이 없지만 현학적이고 비겁하다.
상관심성은, 총명하고 활동적이며, 재능이 있고, 강하고 경쟁적이며, 고집이 세고, 자제력이 부족하지만, 오만하고 길들여지지 않았습니다.
正財心性,勤勞節儉,踏實保守,任勞任怨,易流於苟且,缺乏進取,反為懦弱無能。
偏財心性,慷慨重情,聰明機靈,樂觀開朗,易流於虛浮,缺乏節制,反為浮華。
정재 심성은, 근면하고 검소함, 실용적이고 보수적, 근면함, 내키지 않는 마음, 진취적이지 않지만 비겁하고 무능함.
편재 심성은,부유하고, 관대하고, 총명하고, 낙천적이고 쾌활하며, 허영심이 많고, 절제가 부족하지만 화려합니다.
五行之性 오행의 성질
木主仁,其性直,其情和,其味酸,其色青。
목은 주가 인으로 그 성은곧고, 그정은 온화,그 맛은 시고,그 색은 청이다.
木盛的人長得丰姿秀麗,骨骼修長,手足細膩,口尖發美,面色青白。
為人有博愛惻隱之心,慈祥愷悌之意,清高慷慨,質樸無偽。
木衰之人則個子瘦長,頭髮稀少,性格偏狹,嫉妒不仁。
木氣死絕之人則眉眼不正,項長喉結,肌肉乾燥,為人鄙下吝嗇。
火主禮,其性急,其情恭,其味苦,其色赤。
화 주는 예이고, 그 성질은 급,그 정은 공손, 그맛은 쓰고,그 색은 적이다.
火盛之人頭小腳長,上尖下闊,濃眉小耳,精神閃爍,為人謙和恭敬,純樸急躁。
火衰之人則黃瘦尖楞,語言妄誕,詭詐妒毒,做事有始無終。
화가 성한 사람은 머리작고 다리길고, 위는 뾰쪽 아래는 넓고,농안소귀,정신섬락,
土主信,其性重,其情厚,其味甘,其色黃。
토는 주가 믿음이고,그 성은 무겁고, 그 정은 후하고,그맛은 달고,그색은누렇다.
土盛之人圓腰廓鼻,眉清木秀,口才聲重。
為人忠孝至誠,度量寬厚,言必行,行必果。
土氣太過則頭腦僵化,愚拙不明,內向好靜。
不及之人面色憂滯,面扁鼻低,為人狠毒乖戾,不講信用,不通情理。
金主義,其性剛,其情烈,其味辣,其色白。
금은 주가 의리이고,그성은 강,그정은 세차고,그맛은맵고,그색은 희다.
金盛之人骨肉相稱,面方白淨,眉高眼深,體健神清。
為人剛毅果斷,疏財仗義,深知廉恥。
太過則有勇無謀,貪欲不仁。
不及則身材瘦小,為人刻薄內毒,喜淫好殺,吝嗇貪婪。
태과는 용감하나 책략이 없고, 탐욕이어질지 않다.
불급은 신체가 외소하고, 사람 정이 얇고 안에 독이며, 음이 좋고 살이 좋으며 ~
水主智,其性聰,其情善,其味鹹,其色黑。
수는 주가 지혜,그성은 귀밝고, 그정은 선,그 맛은 짜고,그색은 검다.
水旺之人面黑有采,語言清和,為人深思熟慮,足智多謀,學識過人。
太過則好說是非。飄蕩貪淫。
不及則人物短小,性情無常,膽小無略,行事反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