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융안정 보고서
명목 GDP 대비 부채비율 124%
기업 신용 연체율도 가파르게 뛰어
기업의 빚이 지난해 말 2780조원으로 불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국가 경제 규모를 의미하는 명목 국내총생산(GDP.2236조원)의 약 1,2배 규모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국내 기업 10곳 중 4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충당하지 못하는
'취약기업' 상태로 놓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금웅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말 기업 신용 규모는 총 2780조1000억원으로
3분기 2734조7000억원 대비 1.7% 증가했다.
전 분기 대비 기업신용 증가율은 지난해 2분기 1.1%, 3분기 1.2% 등으로 계속 확대되고 있다.
명목 GDP 대비 기간신용 비율은 124.3%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한 해 동안 생산되는 모든 부가가치를 더해도 기업의 빚을 갚을 수 없다는 의미다.
GDP 대비 기업신용 비율은 2019년 3분기 말 100.5%로 100%를 처음 넘어선 뒤 매 분기 상승하고 있다.
명목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2022년 2분기 부터 여섯 분기 연속 하락하고 있는 것과 비교된다.
연체율도 오르고 있다.
작년 4분기 기업신용 연체율은 1.65%로 1년 전 0.95%에 비해 0.7%포인트 높아졌다.
같은기간 중소기업은 연체율이 1.12%에서 1.93%로 껑충 뛰었다.
재무구조가 부실한 기업은 늘어나고 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 1 미만 취약기업 비중은 작년 3분기 말 기준 44%에 달했다.
2022년 말 37%에 비해 7%포인트 뛰었다.
국내 기업의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2021년 말 8.7배, 2022년 말 5.1배, 2023년 3분기 말 1.6배 등으로 뚝뚝 떨어지고 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가계신용은 주택 거래 위축 등의 영향으로 증가 폭이 둔화했지만,
기업신용은 증가세가 지속됐다'며 '가계.기업 대출 연체율은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상승했다'고 진단했다.
빚을 내고 제때 갚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이 늘면서 국내 금융회사의 부실 채권도 불어나고 있다.
국내 금융회사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은 2022년 말 28조1000억원에서 2023년 말 43조7000억원으로 15조6000억원 중가했다.
업권별로 은행의 부실채권은 2023년말 기준 12조50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23.8% 늘었다.
같은 기간 여신전문금융사, 상호금융, 저축은행을 포함한 비은행 금융회사의 부실채권은 18조원에서 31조2000억원으로
73.4% 급증했다.
한은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확대 가능성, 기계.기업의 채무상환 부담 누증 등 가능성에 유의해
금융시스템 내 취약성 및 리스크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리스크 요인에도 불구하고 국내 금융시스템은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강진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