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v70DzJFfKC0
우리가 블로그를 하는 이유는 다들 여러 이유가 있지만, 나의 경우 직장에서 기획업무 즉 계획서를 만들고 각 부서의 계획을 종합하고 요약하고 하면서 소위 글발(?)이 딸리는 내 자신을 발견하고는 내 자신의 기획력 트레이닝 차원에서 시작하였다. 그리고 모 카페에 가입하여 수필만이 아니라 시를 쓰는 연습도 하였다. 내가 생각하기에 시는 글을 압축해서 표현하기에 거기에 걸맞는 언어 선택 등 어휘력을 풍부하게 하려면 상상력과 창의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곤란하지 않느냐 하는 생각이었다. 다음 글은 얼마 전 포스팅했던 문충태박사님의 「기적을 만드는 습관의 비밀」에서 ‘시의 유용성’과 관련하여 언급되었던 글을 요약해 본다.
https://blog.naver.com/sesi333/222081966781
일상을 깨뜨리는 행동을 하라 _ p.41~43
‘다람쥐 쳇바퀴 돈다’는 말이 있다. 틀에 갇혀 있는 다람쥐는 매일 쳇바퀴만 돈다. 어제도 그렇고 오늘도 그렇고, 쳇바퀴만 열심히 돌고 돈다. 우리의 일상이 그렇다. 어제도, 오늘도, 그게 그것인 것 같다. 그러니까 변화가 없다. 그렇기에 새로움이 없다. 틀에 갇혀 있는 사람은 고정관념만 돌린다. 어제도 오늘도, 그렇게 고정관념의 틀에서 열심히 돌고 돈다.
고정관념이란 생각이 고장 난 것을 말한다. 고장이 난 시계는 날마다 같은 시각만 가리키듯, 생각이 고장이 난 사람은 날마다 같은 주장만 한다. 생각을 파괴하라! 당연히 받아들이는 것을 파괴하라. 파괴해야 새로운 것이 보인다. 파괴해야 새로운 것이 만들어진다. 이 고정관념을 파괴하는 훈련으로 시만큼 좋은 것은 없다.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안도현 시인의 ‘너에게 묻는다’라는 시다. 세상을 보는 창의적 생각은 시인들이 가장 뛰어나다. 똑같은 것을 보더라도 시인들은 보는 시각과 접근하는 방법이 다르다. 게다가 표현하는 언어도 다르다. 당장 시집을 한 권 구입하라. 그게 아니라면, 책꽂이에서 먼지만 뒤집어쓰고 있는 시집을 꺼내라. 그리고 오물오물 오징어 씹듯이 읽고 또 읽어보라. 오징어처럼 구수한 느낌이 가슴속으로 파고들 것이다.
* 시를 잘 쓰고 싶다면 근대 시의 거목인 임보 시인의 글을 보라 권하고 싶다...
https://blog.naver.com/moonsook9/222266079444
【 임보 시인 】
・ 본명 姜洪基
・ 프랑스 시인, 랭보를 좋아하여 아예 필명을 '임보'로 바꾼 시인
・ 1962년, 서울대학교 국문과 졸. 1962년에 『現代文學』지로 등단
・ 전 충북대 국문과 교수
・ 시집: ‘林步의 詩들 59-74’ ‘山房動動’ ‘木馬日記’ 등 다수
・ 저서: ‘현대시운율구조’ ‘엄살의 시학’ ‘미지의 한 젊은 시인에게’
‘시와 시인을 위하여’ 등 다수
・ 현재 도봉구에서 ‘임보 문학관’ 운영 중
첫댓글 안녕하세요...
자작시를 쓰시는 분들에게 참고하시라고 제가 예전에 제 블로그에 올려놓았던 글을 가져와 올려봅니다...
건강하세요.
선생님! 함께 하시어 응원하여 주심에 감사 감사드립니다... 환절기 건강 유념하시고 오늘도 내내 좋은 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따스하게 기온이 오른 수요일날 오전시간에 컴앞에서
창작글을 읽으면서 머물다 갑니다 오늘의 날씨는 기온이 오르고 내일은 또 비소식이.
예보가 되었있습니다 대비들 하시고 나들이 하시기에 좋은날 안전운전하시고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선생님! 이렇게 또 응원해 주심에 감사 감사드려요... 행운이 함께 하기를 기원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