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디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내렸습니다.
이창용 총재는 추가인하여지는 있지만 이번 인하는 "매파적" 인하임을 강조했습니다.
금통위원 6명중 5명이 향후 3개월 동안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해야한다고 제안했습니다.
향후 기준금리인하는 가개부채안정속에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BOK cuts policy rate after 38-month-long tightening cycle
한국은행, 38개월간의 긴축 사이클 끝에 정책 금리 인하
By Lee Yeon-woo 이연우 기자
Posted : 2024-10-11 17:44 Updated : 2024-10-11 17:45
Korea Times
Household debt growth has slowed enough to validate 'hawkish rate cut': Gov. Rhee
이총재: 가계부채 증가율은 '매파적 금리 인하'를 입증할 만큼 둔화
The Bank of Korea (BOK) lowered its key interest rate by 0.25 percentage points, Friday, ending a three-year and two-month rate freeze. This move reflects the stabilization of domestic inflation and aligns with similar actions by major economies like the U.S. and Europe.
한국은행이 금요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여 3년 2개월간의 금리 동결을 종료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국내 인플레이션의 안정화를 반영하며 미국과 유럽과 같은 주요 경제국의 유사한 조치와 일치한다.
Further reductions, however, are unlikely this year due to persistent concerns about high household debt, according to market watchers.
그러나 시장 전문가들에 따르면 높은 가계부채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로 인해 올해 추가 인하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The BOK's monetary policy board reduced the rate from 3.5 percent to 3.25 percent, narrowing the interest rate gap with the U.S. to 1.25 percent.
한국은행 통화정책위원회는 금리를 3.5%에서 3.25%로 인하하여 미국과의 금리 격차를 1.25%로 좁혔다.
Gov. Rhee Chang-yong noted that while there is room for further cuts, any future decisions will be closely tied to financial stability, cautioning that this latest cut should be viewed as "hawkish."
이창용 총재는 추가 인하 여지는 있지만 향후결정은 금융안정과 밀접하게 연관될 것이라며 이번 인하는 "매파적"으로 봐야 한다고 경고했다.
The central bank has assessed that maintaining a restrictive rate for an extended period is no longer necessary at this moment, especially as consumer price inflation dropped to 1.6 percent in September, driven largely by falling petroleum prices.
중앙은행은 특히 석유 가격 하락에 힘입어 9월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1.6%로 떨어졌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더 이상 제한적인 금리를 장기간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평가했다.
"Unless there are major changes, such as geopolitical risks in the Middle East, no significant shifts in the inflation trajectory is expected," Rhee said.
이총재는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같은 큰 변화가 없는 한 인플레이션 궤도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Another reason is that the growth of household debt has stabilized due to the government's strengthened policies.
또 다른 이유는 정부의 강화된 정책으로 인해 가계부채 증가세가 안정화되었다는 점이다.
"There has been notable progress. While next month's data will likely show an increase, reflecting the transactions from July and August, a decline is expected in October and November," Rhee said.
"눈에 띄는 진전이 있었다. 다음 달 데이터는 7월과 8월의 거래를 반영하여 증가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지만, 10월과 11월에는 감소세가 예상된다,"라고 리는 말했다.
Rhee noted that apartment transactions in September were half those of July, and the price growth rat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dropped to one-third of August's level.
이총재는 9월 아파트 거래량이 7월의 절반 수준이었고 수도권의 가격 상승률은 8월의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It is by no means that financial stability has been achieved based on the September (household debt) figures," he said. "The government's commitment to stabilizing household debt is strong, and we plan to coordinate policies with the government accordingly and monitor the situation closely."
그는 "9월 (가계부채) 수치를 기준으로 금융안정을 달성한 것은 결코 아니다,"라며 "가계부채 안정화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강하며, 이에 따라 정부와 정책을 조율하고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lthough the BOK has signaled the possibility of future rate cuts, any changes will be gradual.
한국은행이 향후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모든 변화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Five out of the six monetary policy board members believe the base interest rate should be maintained at this level over the next three months, while on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 cut below 3.25 percent should remain on the table.
6명의 통화정책위원 중 5명은 향후 3개월 동안 기준금리를 이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한 명은 3.25% 이하의 인하 가능성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The market consensus is also that the board will hold the base rate steady at its upcoming meeting on Nov. 28, and carefully monitor the market as concerns about household debt remain high.
또한 시장에서는 11월 28일에 열리는 이사회에서 기준금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이라는 데 의견이 일치한다.
"With the U.S. making significant rate cuts, the BOK no longer had a strong reason to maintain high interest rates," said Joo Won, director of the Hyundai Research Institute. He added that he expects the rate to remain steady for the rest of this year, with a potential cut next year.
주원 현대경제 연구실장은 "미국이 금리를 대폭 인하하면서 한국은행은 더 이상 높은 금리를 유지할 강력한 이유가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남은 기간 동안 금리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하며 내년에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Ahn Dong-hyun, an economics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lso expects the BOK to cut the policy rate only once this year. "Although conditions are in place for a rate cut, such as a declining exchange rate and falling inflation, the situation doesn't allow for a reduction due to concerns over household debt."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도 올해 한은이 정책금리를 한 차례만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환율하락과 물가하락 등 금리 인하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만 가계부채 우려로 인하 여력이 없는 상황이다."
Reflecting the concerns, Rhee also downplayed public expectations for the real estate market, warning that "the likelihood of the base rate returning to the previous level of 0.5 percent is extremely low."
이 총재는 이러한 우려를 반영하듯 부동산 시장에 대한 대중의 기대를 경시하면서 "기준금리가 이전 수준인 0.5%로 돌아갈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He said, "Korea is not in a situation like the U.S. where it can lower the policy rate by 0.5 percentage points."
그는 "한국은 미국처럼 정책금리를 0.5%포인트 낮출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Eyes are on whether the rate cut can help the domestic economy recover. The central bank has been under pressure from the government to loosen its grip and to boost the sluggish domestic economy.
금리인하가 국내 경제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중앙은행은 정부로부터 긴축을 완화하고 침체된 국내 경제를 부양하라는 압력을 받아왔다.
"In terms of consumption, the growth rate for the second half of the year is 1.8 percent, while the annual rate is 1.4 percent. Although this is lower than the potential growth rate of 2 percent, it signals a recovery phase," Rhee said.
"소비 측면에서 하반기 성장률은 1.8%인 반면 연간 성장률은 1.4%이니다. 이는 잠재 성장률인 2%보다는 낮지만 회복국면을 알리는 신호탄이다,"라고 이총재는 말했다.
Meanwhile, the benchmark KOSPI opened higher ahead of the monetary meeting, but it surrendered all its intraday gains and reversed, finishing the session at 2,596.91, a 0.09 percent decrease compared to Thursday. The won-dollar exchange rate, which opened above 1,350 won, also reversed direction during the session, dropping by 0.7 won to 1,349.5 won
한편, 벤치마크 코스피는 통화 회의를 앞두고 상승세로 출발했지만 장중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반전해 목요일 대비 0.09% 하락한 2,596.91로 장을 마감했다. 1,350원 이상에서 개장한 원-달러 환율도 장중 방향을 바꿔 0.7원 하락한 1,349.5원을 기록했다.
#BankofKorea(BOK)한국은행 #Interestratecut금리인하 #Householddebt가계부채 #Inflationstabilization인플레이션안정화 #RheeChang-yong이창용 #Policyrate정책금리 #Monetarypolicyboard통화정책위원회 #Financialstability금융안정 #U.S.interestrate미국금리 #Economicrecovery경제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