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설
고흥 10경 가운데 으뜸인 팔영산(八影山, 608m)은 암석으로 이루어진 봉우리가 병풍처럼 이어지며 다도해의 절경을 감상할 수 있는 산이다. 1998년 7월 30일 전라남도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11년 팔영산도립공원이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편입되면서 현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지구로 불린다. 팔영산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산지가 해상국립공원에 포함된 사례이다. 지정 면적은 17.91㎢이다.
명칭 유래
팔영산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금닭이 울고 날이 밝아 햇빛이 바다 위로 떠오르면 이 산의 봉우리가 마치 창파에 떨어진 인쇄판 같은 모습을 보여 ‘영(影)’ 자가 붙었다는 설, 또는 세숫대야에 비친 여덟 봉우리의 그림자를 보고 감탄한 중국의 위왕이 이 산을 찾으라고 명하였는데, 신하들이 고흥에서 이 산을 발견한 것에서 유래하였다는 설 등이다. 팔영산은 본래 팔전산(八顚山, 八田山)으로 불리었다.
자연환경
팔영산은 백두대간에서 뻗어 내려온 산줄기의 남쪽 끝자락에 자리한 산이다. 해발고도는 608m이다. 고흥반도의 동쪽에 우뚝 솟아 있으며 북사면의 경사가 다소 급한 편이다. 해발 400m 이상의 정상부는 암석이 노출되어 절벽을 형성하고 있으며, 북쪽 사면으로는 8개의 암석 봉우리가 있다. 이 8개의 봉우리는 해발고도가 낮은 곳에서부터 제1봉으로 간주하여 가장 높은 곳에 제7봉이 위치하고 제8봉은 고도가 조금 낮은 곳에 있다.
고흥군에서는 1998년 초에 각 봉우리의 정상에 고유 이름을 표지석에 새겨 놓았다. 제1봉은 유영봉(491m), 제2봉은 성주봉(538m), 제3봉은 생황봉(564m), 제4봉은 사자봉(578m), 제5봉은 오로봉(579m), 제6봉은 두류봉(596m), 제7봉은 칠성봉(598m), 제8봉은 적취봉(591m)이다.
산에는 굴참나무, 갈참나무, 고로쇠나무 등 참나무류가 주종을 이루며 소나무를 비롯한 활엽수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러한 천연림을 활용하여 팔영산 자연휴양림을 조성하였다. 산에서 발원한 하천 가운데 동쪽 계곡을 흐르는 팔영천이 있으며, 이 하천은 남해로 흘러간다. 산에서 흘러내린 그 외의 하천은 산 주변에 건설된 팔영제, 시목저수지, 금사저수지, 백운하저수지 등으로 유입하여 주변 농경지의 농업용수로 이용된다.
현황
팔영산에 오르면 서쪽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다도해국립공원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날씨가 청명한 날에는 멀리 대마도까지 보인다고 한다. 산의 입구에서 여덟 개 봉우리에 대한 시가 적힌 간판을 만날 수 있다. 8개 봉우리 사이의 험준한 구간에는 철제 계단을 설치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부 구간은 산세가 매우 험하여 위험구간이 도사리고 있다. 등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다.
산의 북쪽 능가사(楞伽寺) 근처에는 자동차야영장이 설치되어 있고, 산의 동쪽으로 해발 400m 지점에는 팔영산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 있다. 팔영산에는 30년 이상된 편백나무 숲이 416㏊의 면적에 우거져 있어 치유 및 힐링의 최적 입지로 꼽힌다.
팔영산은 암릉을 따라 산행하는 묘미를 즐길 수 있는 곳으로 많은 탐방객들이 찾는 곳인 동시에, 천연림을 비롯하여 고라니 · 산토끼 · 노루 등의 다양한 동식물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연학습장으로도 이용된다. 고려 충렬왕 때 통역관으로 공을 세워 재상에 올랐던 고흥 출신 류충신이 은거했다는 류정승은거지로 알려진 피난굴, 신선대, 강산폭포 등도 팔영산의 볼거리이다.
팔영산 북사면의 탐방지원센터 근처에 자리한 능가사는 호남지방의 4대 사찰로 꼽히기도 한다. 417년(신라 눌지왕 1)에 아도화상이 창건하여 보현사라고 불렀다고 전해기지는 하지만 신빙성은 없다. 보현사는 정유재란 때에 왜군에 의해 불에 타 버려 폐찰이 되었다가 1644년(인조 22)에 중창되어 능가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능가사에 있는 대웅전(보물, 2001년 지정), 동종(보물, 2008년 지정), 1978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사적비, 2004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추계당 및 사영당 부도 등은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주의사항)
○ 여행자 보험은 80%이상이 개인보험에 가입되어 있어 이중가입 및
예산낭비의 지적 등으로 여행자 보험을 가입하지 않고 있습니다.
산행시 발생한 사고는 본인이 100% 책임을 져야 하며, 본 산악회에서는
민·형사상 모든 법률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당일 무단으로 불참하여 산악회 운영에 어려움을 주지 않도록
책임감 있는 예약을 부탁드립니다
○ 산행 중 선두대장을 추월하지 않도록 하고, 후미는 정해진 시간안에
하산을 완료하여, 진행에 지장 없도록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산행안내】
○ 산행일시 : 2024년 11월 17일 (일요일) 오전 06:00 출발
○ 출발 및 이동시간 : 06:00(상당공원 옆) - 10:00 (능가사)
o.산행 코스
o.1코스:능가사-흔들바위-유영봉(1봉)~적취봉(8)- 깃대봉(정상)- 탑재-능가사
원점산행( 약8Km 4시간 소요 )
o.2코스:능가사-흔들바위-유영봉(1봉)~적취봉(8봉)-탑재-능가사
원점산행( 약6.7Km 4시간 소요 )
o.3코스:능가사-흔들바위-유영봉(1봉)~두류봉(6봉)-탑재-능가사
원점산행( 약5.5Km 4시간소요)
o. 지난 산행지 결정 시 단코스로 자연휴양림 방향으로 하산키로 하였으나 버스가 매표소에서 2Km 정도 운행이 불가함을 확인하고 위와같이 산행하고자 합니다.
또한 장거리인 관계로 출발시간을 한시간 일찍 하고자 합니다.
【기 타】
○ 식 사 : 찰밥, 생수, 떡 제공
○ 이동수단 : 가나관광 ( 버스기사 류관혁. 010-5486-3850 )
○ 회 비 : 정회원 10,000원, 일반회원 30,000원
○ 입금계좌 : 농협 352-1943-0878-13. 권오명(충북불자산악회)
○ 산행신청 : 카페댓글 또는 산악회장 권오명 010-8534-5631
산악대장 성경호 010-8840-4664
총무부장 김양순 010-8965-3352
○ 기타공지 : 신청시 반드시 실명(이름)으로 꼬리글(댓글)을 달아 주세요.
(예약후 무단불참을 방지하기 위해 산행 일주일전까지 선입금 요망!!!)
○ 산행 신청
⇒ 본 산악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산행 신청자는 산행회비 선 입금자 순으로 44명 1차마감 후 이후신청자는 대기명단으로 관리하고 75명 이상 신청시 2호차 운행합니다.
o.산행 신청자
o. 산행신청자(선입금)
장범진. 김진영. 권순영. 성경호. 박민환. 이상화. 정재철. 김양순. 노경미. 권오명. 권순천. 김옥선. 김혜록. 장창미. 양유진. 김미영. 조분례. 장민순. 강병구. 김정수. 김송주. 안병각. 이범영. 정찬경. 손정희. 박인규. 정경화. 김용석. 김현숙. 최기옥. 황미숙. 김건숙. 이석동. 한승욱. 한재현. 김유현. 신서율. 정효순. 이순분. 김학구. 신범우. 전주영. 이홍순. 신보경.
이상 44명 산행 마감하며 75명이상이면 2호차 운행합니다. 감사합니다.
ㅇ.산행대기명단(입금자)
이영길. 김옥임. 장은숙. 김춘자. 이영희. 신연자. 김희주.
첫댓글 강병구 신청합니다
김정수 신청합니다
김양순.정재철.권오명.노경미.장범진.김진영.권순천.이상화.권순영.성경호.박민환김옥선.장창미.김혜록 입금입니다.
정찬경.양유진.김미영.조분례.장민순.강병구김정수.손정희.김송주.김용석.이범영.김현숙최기옥.황미숙.안병각.박인규.정경화 입금입니다
김건숙.이석동.한재현.한승욱.신범우.김유현입금입니다
정효순.이순분.김학구. 신서율.전주영.이홍순.신보경입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