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덕 안(岸)자는 의부(義符)로 산 산(山)자 변에, 성부(聲符)로 굴바위 엄(厈)자를 했습니다. 굴바위 엄(厈)자는 기슭 엄(厂)자에 막을 간(干)자를 했습니다. 들개 안(犴), 돌이 깨끗한 안(矸)자는 막을 간(干)자가 들어 있어서 ‘안’으로 읽습니다. 해안(海岸) 연안(沿岸) 피안(彼岸) 안두(岸頭) 안벽(岸壁) 하안(河岸) 접안(接岸)
얼굴 안(顏,顔)자는 의부(義符)로 머리 혈(頁)자에 성부(聲符)로 선비 언(彦)자를 했습니다. 선비 언(彥,彦)자는 글월 문(文)자 아래에 낭떠러지 엄(厂)자를 하고, 터럭 삼(彡)자를 했습니다. 선비 언(彥,彦)자에서 글월 문(文)자는 선비는 글을 하는 사람이기에 붙인 것이며, 아래에 낭떠러지 엄(厂)자를 한 것은 선비가 있는 집을 표시한 것이고, 터럭 삼(彡)자는 선비의 빛나는 문채(文彩)를 표시한 것입니다. 선비 언(彥,彦)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선비 언(彥,彦)자는 선비가 공부를 해서 문채가 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위조할 안(偐), 나무 이름 안(楌), 거칠 안(喭)자들은 선비 언(彦)자가 들어 있어서 ‘안’으로 읽습니다. 안색(顔色) 안전(顔前) 안면(顔面) 홍안(紅顔) 세안(洗顔) 미안(美顔) 후안(厚顔) 안료(顔料)
눈 안(眼)자는 눈을 표시하는 글자니까, 눈 목(目)자에 눈의 위치를 표시한 글자인 어긋날 간(艮)자를 했습니다. 어긋날 간(艮)자는 볼 견(見)자와 비교하면 외면을 한 글자입니다. 얼굴을 외면한 것은 서로 마음이 맞지 않은 것을 나타냅니다. 마음이 어긋났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어긋날 간(艮)자도 눈의 위치를 표시하는 글자입니다. 어긋날 간(艮)자의 아래 부분은 사람의 다리를 표시하는 글자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어질 량(良)자는 어긋날 간(艮)자의 머리에 점 주(丶)자를 더 했습니다. 안구(眼球) 안질(眼疾) 안광(眼光) 안압(眼壓) 안검(眼瞼) 안력(眼力) 백안(白眼) 심안(心眼)
책상 안(案,桉)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편안할 안(安)자를 했습니다. 편안할 안(安)자는 집을 표시하는 집 면(宀)자 아래에 여자 여(女)자를 해서, 여자가 집에 있으면 편안하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안석(案席) 안건(案件) 안하(案下) 안상(案上) 법안(法案) 서안(書案) 시안(試案) 방안(方案)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