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 보니 소아전용응급실이 전국에 10개 남짓이라고 해요.
그래서 검색을 해봤는데 제대로 정리된 데가 없어서 정리를 한번 해봤습니다.

지역 |
이름 |
전화번호 |
주소 |
서울 |
서울 아산병원 |
1688-7575 |
지) 서울 송파구 풍납2동 388-1 도)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서울아산병원 |
이대 목동병원 |
02-2650-5114 |
지) 서울 양천구 목동 911-1 도) 서울 양천구 안양천로 1071 이화여대목동병원 |
서울대병원 |
1588-5700 |
지) 서울 종로구 연건동 28-21 도) 서울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
경기 |
관동대 명지병원 |
031-810-5114 |
지) 경기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697-24 도) 경기 고양시 덕양구 화수로14번길 55 명지병원 |
의정부 성모병원 |
1661-7500 |
지) 경기 의정부시 금오동 65-1 도) 경기 의정부시 천보로 271 의정부성모병원 |
분당 차병원 |
대표번호 031-780-5000 소아전용 031-780-3937 |
지)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354-1 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65번길 16 분당차병원 |
카톨릭대 부천성모병원 |
1577-0675 |
지) 경기 부천시 원미구 소사동 2 도) 경기 부천시 원미구 소사로 327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
인천 |
가천의대 길병원 |
1577-2299 |
지) 인천 남동구 구월동 1198번지 도) 인천 남동구 남동대로 774번길 21 가천의과대학교길병원 |
충남 |
순천향대 천안병원 |
041-570-2114 |
지) 충남 천안 동남구 봉명동 216-8 도) 충남 천안 동남구 순천향 6길 31 순천향대학교병원 |
대구 |
계명대 동산의료원 |
053-250-7795 |
지) 대구 중구 동산동 194 도) 대구 중구 달성로 56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울산 |
울산대병원 |
052-520-7000 |
지) 울산 동구 전하동 290-3 도) 울산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877 울산대학교병원 |
서울 아산병원 www.amc.seoul.kr
올해로 개원 5주년을 맞는 서울 아산병원 소아응급실은 2010년 국내 최초로 개설된 소아전용 응급센터라고 합니다.
이대목동병원 www.eumc.ac.kr/mokdong
이대목동병원 소아응급실은 2011년 문을 열었는데요. 빠르게 진료받고 돌아갈 수 있도록 Fast Track과 감염 예방을 위한 격리 시설과 수유시설 등이 마련되어 있다고 합니다.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 www.snuh.org/child
서울대어린이병원은 2012년부터 운영중인대요. 24시간 전문의가 대기중이고 최근에는 타요 버스도 그 앞으로 지나다니나 보더라구요. 별도의 홈페이지를 운영하면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네요.
가천의대 길병원 www.gilhospital.com
인천지역 유일한 소아전용응급실을 보유한 가천의대 길병원은 2011년부터 소아와 성인 응급진료 공간을 분리했다고 해요. 소아전용 14개 장비도 도입했다고 하는데요. 대부분의 검사들이 피를 뽑아 진행되는데 반해 아기들 피를 뽑지 않고 여러가지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장비들이 있다고 해요.
관동대 명지병원 www.mjh.or.kr
비교적 가까운 김포나 서울 은평구, 마포구 쪽 부모님들이 많이 오신다고 하는데요. 15세 미만의 아이들이 주 진료대상이라고 합니다. 병원을 무서워하는 아이들이 겁을 덜 먹도록 출입문은 우주선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구요. 응급실 내부도 다양한 동물과 나무, 구름 같은 아이들 친화적인 소재로 꾸며놨다고 해요.
의정부 성모병원 www.cmcujb.or.kr
카톨릭대 서울성모병원에 소아전용응급실이 있다고하는 글을 보고 찾아봤는데 어딜봐도 서울성모병원과 관련된 내용은 없고 의정부 성모병원만 나옵니다.
분당차병원 http://bundangwoman.chamc.co.kr/
정확히는 분당차여성병원이네요. 차병원에서 여성, 아이들 진료 부분을 따로 떼 신관으로 분리한 것 같은데 정확한건 가보질 않아서 모르겠습니다.
순천향대 천안병원 www.schmc.ac.kr/cheonan/kor/index.do
TV 방송으로 인해 지금은 홈페이지가 다운이 된 것 같아요.
대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www.dsmc.or.kr
대구지역의 유일한 소아응급실인데요. 신생아집중치료센터도 있기 때문에 중증 영아는 연계 진료를 받을 수 있어서 이병원 저병원을 다닐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울산대병원 www.uuh.ulsan.kr
소아응급실의 경우 투자비용이 많고 수익성이 적어서 적자 사업이기 때문에 대부분 병원이 꺼린다는데 출산율 1위인 울산에서조차 울산대병원 하나 밖에 없네요.
전국 소아전용응급실 위치와 연락처 미리 알아두시고 응급상황에 당황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