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원전 초밀집 지역인데다 건설 된지 50년이 넘는 노후 석유화학공장들이 몰려 있는 곳이다. 때문에 전국 어느 지역보다도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지난 2016년 9월 울산과 인접한 경주에서 발생한 5.8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그리고 이어 지난해 11월 포항에서 5.4규모의 지진이 또 발생했다. 이들 두 지진이 울산시민들에게 주목받는 이유는 다름 아닌 양산단층대에 속하는 지역에서 발생했다는 점이고, 울산 서생에 위치한 고리원전과 신고리원전 땅 밑으로 양상단층이 지나고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지질학자들은 양산단층이 지진 활동을 쉬고 있을 뿐 언제든지 활동을 재개할 수 있는 활성단층일 가능성 크다고 진단하고 있다. 이는 경주지진과 포항지진이 끝이 아니라 앞으로 더 많은 지진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경주지진과 포항지진의 양산단층대 관련성이 알려지면서 재난으로부터 도시의 안전을 지키는 방법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경주지진 이후 무엇보다 재난상황 발생 시 대피요령 등 재난안전에 대한 교육이 학교현장을 중심으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같은 지적은 앞으로 초등학교 1만2천여명이 안전체험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해소될 전망이다. 최근 교육부가 실시한 학생안전체험시설 전국 공모에서 울산시교육청이 응모한 신복, 동부, 명촌, 문수, 강남초등학교 등 5곳 모두 선정됐기 때문이다.
이들 5개교는 교육부로부터 각 1억 원을 지원 받아 거점형 교실안전체험관 구축에 나선다. 이전에 운영 중인 6곳을 더하면 울산지역 안전체험관은 모두 11곳이 된다. 이로써 울산지역 초등학생 1만2천여 명이 안전체험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초등학교 거점형 교실안전체험관이 11곳으로 확대 운영됨에 따라 저학년들의 재난안전교육의 사각지대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라 기대한다.
그러나 초등학교에서 안전교육과 체험을 전혀 경험해보지 못한 중ㆍ고등학생들에 대한 안전교육의 필요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울산은 전국 어느 도시보다 재난 위험에 크게 노출돼 있다. 그럼에도 울산의 도시안전 의식은 울산이 안고 있는 위험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울산시와 국가안전당국은 이를 직시하고 재난안전망 확대에 나서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