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기 힘든 암호도 아니고 한시간 넘게 붙잡고 있다 결국 포기했어요. 40대도 이런데 고령 약사님들은 어떠실지 걱정이네요."
정부가 요양기관을 개인정보보호 자율점검 대상으로 지목하고 부실 기관은 현장점검을 강행한단 방침을 내놓았지만 정작 관련 기관들은 혼란을 겪고 있다.
12일 약국가에 따르면 개인정보보호 자율점검을 위한 심평원 '자율점검지원시스템(이하 지원시스템)' 이용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약사들은 신청 절차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에 기재돼 있는 용어도 전문적인 단어가 많아 약사들이 관련 내용을 기재하기가 쉽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더해 등록 항목 중 약국에서 기재하기 애매한 내용이나 약국 상황 별로 내용이 달라지는 부분도 있어 답변이 쉽지 않은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
▲ 약사들이 개인정보 자율점검을 위해 이용 중인 심평원 지원시스템의 복잡한 절차, 난해한 용어 등으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
서울의 한 약사는 "막상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막연하고 무슨 말인지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적지 않다"며 "필요한 것은 알겠지만 1인 약국들이 다수인 약국의 현실에 맞춰 진행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약사도 "질문이 애매하고 의도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아 작성이 쉽지 않다"며 "동료 약사들도 처음에 들어갔다 포기하고 나온 경우가 적지 않다"고 했다.
약사들은 관련 내용을 문의할 곳도 마땅치 않아 곤란을 겪고 있다는 반응이다. 관계 기관인 심평원이나 청구 프로그램 업체 등에 연락을 취해도 별다른 안내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성북구의 한 약사는 "한시간 넘게 씨름하다 심평원, 약학정보원에도 연락해 문의했지만 모르겠다는 답변만 돌아왔다"며 "관련 기관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병원, 약국이 알아서하라는 식인 것 같아 분통이 터진다"고 토로했다.
약사들은 이번 사안과 관련해 대한약사회를 비롯해 시도지부 등이 나서서 회원들을 대상으로 개인정보보호법 시행과 이번 자율점검 등에 대한 실질적인 안내와 교육 등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심평원이 이번 자율점검 시스템 관련 전국 순회교육을 계획 중이지만 교육신청 인원은 지역별로 적게는 100명에서 많게는 600명에 한정돼 있어 정작 참가할 수 요양기관 관계자는 한정될 수 밖에 없다.
|
▲ 심평원은 자율적으로 자율점검 시스템 관련 전국 순회교육을 진행 중이지만 정작 대상 인원은 지역별로 한정돼 있는 형편이다. |
경기도의 한 약사는 "서울, 경기만 해도 의약사가 수천명인데 심평원 사이트에 들어가면 600명 정도 수용하는 것으로 돼 있다"며 "약사회가 단순 보도자료 등으로 문서만 발표할 것이 아니라 회원들이 몰라서 피해를 보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을 교육 등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심평원은 10일부터 14일까지 신청(요양기관업무포탈 http://biz.hira.or.kr)한 요양기관의 경우 자율점검 지원시스템 사용방법에 대한 순회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