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나무가루깍지벌레 소나무가루깍지벌레는 매미목 가루깍지벌레과에 속하며 피해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특히 정원수와 공원수에서 심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세가 쇠약해지고 가지가 고사돼 수형이 파괴된다.
이 벌레는 가지 등에서 수액을 빨아먹는 흡수성 해충이지만 전파속도는 느려 같은 나무에서도 서식하고 있는 가지와 그렇지 않은 가지가 공존하는 경우도 있다.
외형상 소나무 잎이 흑색으로 변하면 의심해야 하며 가지 등에 흰 솜 같은 것이 묻어 있으면 발병됐다고 봐도 무방하다. 피해가 극심할 때에는 자라던 잎이 끝쪽부터 갈색으로 변하고 그을음병을 유발해 잎의 동화(同化)작용을 저해한다.
이 벌레는 1년에 2회 정도 발생하며 4∼5월에 성충이 된다. 성충이 되면 몸에서 흰 분비물을 분비한 후 산란을 시작한다. 산란시기는 5월 중순부터 7월 하순까지이나 일반적으로 5∼6월에 가장 많이 산란한다.
방제방법으로는 MEP유제(스미치온유제), 메치온유제(스프라사이드유제)를 1천배 희석해 피해 가지 등에 충분히 살포해야 한다. 시기는 5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로 7일에서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하는 것이 좋다.
소나무가루깍지벌레 피해 나무는 흰 솜이 나타나기 이전에 살포해도 좋은 효과가 있으나 피해의 조기 발견이 어려운 편이다. 이 벌레의 부화된 유충은 솔잎 사이와 수피 사이에 기생하며 서식하므로 약제를 고루고루 살포해야 한다. 일반 해충을 구제하듯 약제를 살포하면 천적만 제거하는 결과가 되므로 약제의 양을 충분히 쓰도록 하며 전착제(spreade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