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개론(小說槪論)
1. 소설의 정의
소설은 허구적인 이야기와 서술적인 산문으로 인생을 표현하는 창작 문학의 한 장르이다.
(1) 소설은 인생의 해석이다.→W.H.Hudson
(2) 소설은 적당한 길이의 산문으로된 가공적(架空的)인 이야기이다.→E.M.Foster
(3) 소설은 인생의 회화(繪畵)이다.→Percy Lubbock
(4) 소설은 독자에게 기쁨과 교훈을 주기 위해 기교적으로 쓴 연애 모험담의 픽션이다.→Abbe Wet
(5) 소설은 인물에 대하여 꾸며 놓은 이야기이다.→Brooks & Warren
2. 소설의 특성
⑴ 소설의 네 가지 특성
① 허구성(虛構性):자연과 인생을 모방.반영한 가공적 사실로 이루어짐→[가공적 사실]
② 진실성(眞實性):가공적인 사실을 통하여 인생의 참 모습을 추구함→[진리탐구]
③ 예술성(藝術性):예술적인 새로운 세계를 창조함→[예술적 작품세게]
④ 서사성(敍事性):이야기 전개를 산문 형식으로 표현함→[산문적 표현]
⑵ 기타 특성
① 현실성(現實性):진실성[reality]을 지닌 인생의 표현→[모방성]
② 산문 예술의 대표적 양식:단순한 이야기가 아닌, 사회적 배경과 인물을 그림.
③ 객관성:시가 주관적인 문학임에 대하여, 소설은 객관적인 문학.
④ 구어체 산문:독자의 공감을 위해 일상 용어가 주로 쓰이고, 문장은 구어체의 산문.
3. 소설의 내용 요소
⑴ 소설의 3요소
①주제(主題,theme):작자의 인생관이 용해된 작품의 중심 사상이다. 일반적, 직접적으로 명시되기보다는 암시적으로 표현된다.
②구성(構成,plot);필연적인 인과 관계에 따라 사건을 유기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가리킨다.
③문체(文體,style):언어를 부리는 작가의 태도로서 어구나 조사(措辭)로 나타난 작가의 개성을 뜻한다.
⑵ 소설 구성의 3요소
① 인물(人物,character):행동의 주체로 개성, 전형성, 보편성 등을 지녀야 한다.
② 사건(事件,story):소설 작품에 전개되는 이야기로 복선이나 암시에 의해 인과성.필연성이 따라야 한다.
③ 배경(背景,setting):소설의 시간적.공간적 환경으로, 인물의 심리와 사건 전개에대한 암시적 역할을 담당한다.
⑶ 소설의 4요소:인물, 배경, 구성, 주제
※ 소설의 3요소와 소설 구성의 3요소는 결국 주제를 향하여 유기적으로 통합, 창조되어야 한다.
4. 소설의 목적
⑴ 공리주의적 입장
도덕적 교훈을 주어야 한다는 태도이다.
⑵ 순수예술적 입장
정서적 감동과 예술적 쾌락을 주어야 한다는 태도이다.
⑶ 참다운 목적
인생에 대한 총체적인 표현과 인간성의 탐구를 통하여, 인생에 대한 교훈적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즐거움(카타르시스적 즐거움)을 동시에 제공해야 한다는 태도이다.
5. 소설의 갈래
⑴ 분량에 따른 분류
① 장편(長篇) 소설:콩트(conte)라고도 하며 『葉篇소설』이라고도 한다.
㈀ 소설 형식의 문학 작품중 가장 짧다(200자 원고지 20∼30매 정도)
㈁ 지극히 단편적인 사상(事象)을 다루며, 함축성이 강하다.
㈂ 구성이 고도로 압축되어 있고, 어떤 사건의 순간적인 모멘트를 포착하여 예리한 기지, 풍자, 해학을 담아 표현한다.
㈃ 작품:정비석의 『색지 풍경』, 하마드레리호의『독일군이 남겨 놓은것』 이무영의 『낚시질』, 황순원의 『모델』등이다.
② 단편(短篇) 소설:서구의 숏 스토리(short story)에 해당한다.
㈀ 복잡한 근대 사회의 특성에 적합한 형태다.(원고지 50∼100매 정도).
㈁ 단일한 주제, 구성, 문체로 통일된 인상을 준다.
㈂ 인생의 한 단면을 보여 주기 때문에 작가의 압축 기교, 전환의 기지, 그리고 해학이 요구된다.
③ 중편(中篇) 소설:단편 소설과 장편(長篇) 소설의 중간 분량이다.
㈀ 사회와 인간을 총체적으로 그린다.
㈁ 주제의 사상성을 중시한다.
㈂ 복잡한 구성이다.
④ 장편(長篇) 소설:서구의 로망(roman), 노블(novel)에 해당한다.
㈀ 책 1권 이상. 대하 소설(大河小說)이라 해서 10권 이상에 이르는 것도 있다.
㈁ 중편 소설 이상으로 총체성, 사상성, 복잡성 등이 요구된다.
㈂ 복합적 구성 방식을 취하여 많은 에피소드들을 연결시키며, 인물의 성격이 유동적이다.
6. 소설의 구성(構成, plot)
⑴ 구성의 개념(槪念)
① 구성의 정의:구성은 작품의 짜임새로,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사건을 인과 관계에 따라 유기적으로 질서 있게 배치하는 작가의 계획적이고 개성적인 방법이다. 흔히 『플롯(plot)』이라고 한다.
② 구성에 관한 여러 견해
㈀ 소설이나 희곡에 제시된 행동의 구조이다.→Brooks & Warren
㈁ 플롯은 소설의 논리적이고 지적인 측면이다.→E.M.Foster
㈂ 플롯은 행동의 모방이며 행하여진 것(사건)의 결합이다.→Aristoteles
㈃ 하나의 이야기는 본질적으로 사건들의 연결과 관련되어 있다. 넓은 의미의 『이야기』란 인물, 사건, 배경, 주제, 시점, 언어 등의 모든 요소를 포함하지만, 보다 엄격히 말하자면, 행동, 스토리 라인 또는 플롯이다.→Altenbernd
③ 구성의 개념
㈀ 인과 관계에 의한 사건의 전개 및 배열이다.
㈁ 주제를 구현하는 기법이다.
㈂ 소설의 예술미를 형성할 수 있도록 논리적이고 인과적으로 배열된 사건의 구조이다.
㈃ 복선을 사용하여 돌발적인 사건에 필연성을 부여할 때 통일성이 살아난다.
㈄ 좁은 의미로는 스토리의 전개, 넓은 의미로는 성격의 제시, 배경의 변화를 포함한 소설의 모든 설계를 뜻한다.
⑵ 스토리와 플롯
① 스토리(story,줄거리) : 시간적 순서대로배열된 사건의 진술로, 『그 다음엔』, 『그리고 또』와 같이 진행된다.(독서 후의 인상)
(예) 왕이 죽었다. 그리고 왕비가 죽었다.
② 플롯(plot 구성) : 인과관계에 중점을 둔 사건의 서술로, 『왜냐 하면?』논리로 진행된다.(독서 중의 감상 대상)
(예) 왕이 죽었다.그로 인해 슬퍼서 왕비도 죽었다.
⑶ 플롯의 특성
① 연대기(年代記, chronology) 성격:시간적 연결의 성격도 지닌다.
② 논리적 성격:전후의 인과 관계, 사건을
결합하는 동기, 결과, 상호 관계 등.
③ 갈등의 성격:작품의 구조는 갈등을 포함한다.→내적 갈등과 외적 갈등.
④ 정서의 성격: 독자들의 정서적 반응. 기대감, 호기심, 서스펜스, 의문, 불안, 연민, 공포 등.
⑷ 구성의 단계
소설의 플롯은 인과 관계에 의한 사건의 배열이므로 논리적 전개 양식이 필요하다.
① 3단계 구성:발단→전개→결말[始中終]→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② 4단계 구성:발단→전개→절정→결말[대단원]
③ 5단계 구성: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대단원]
㈀ 발단:작품의 도입 단계로 등장 인물이 소개되고 배경이 제시되며 사건의 실마리가 나타나는 부분이다.
㈁ 전개:사건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단계로 사건이 복잡하게 얽히고 갈등과 분규가 일어나며 인물의 성격도 변화 발전된다. 복선, 암시, 생략, 서스펜스 등의 기교가 요구되는 단계이다.
㈂ 위기:사건이 절정에 이르는 계기가 되는 단계로 사건의 극적 반전을 가져오는 모멘트가 나타나는 부분이다.
㈃ 절정:갈등과 분규가 가장 격렬해지고 사건이 최고조에 이르는 단계이며 동시에 사건 해결의 분기점이 되는 단계이다. 작품 전체의 의미가 제시되며 위기가 반전된다.
㈄ 결말:사건이 마무리되며, 모든 갈등과 분규가 해결되고 주인공의 운명이 결정되는 단계이다.
⑸ 구성의 유형
① 이야기의 가짓수에 따른 분류
㈀ 단일 구성[단순구성, simple plot]
한 가지 이야기만이 전개되는 구성이다. 단일한 사건이 전개되어단일한 인상을 주고 단일한 효과를 노리는 구성 방식이다. 주로 단편 소설에서 보인다.
(예) 모파상의 『목걸이』 등
㈁ 복합구성[복잡구성, intricate plot]
두 가지 이상의 이야기가 복합적으로 얽혀 전개되는 구성으로 현대 소설, 장편 소설에 흔히 나타나는 구성 방식이다.
(예) 톨스토이의 『부활』등
㈂ 피카레스크 구성(picaresque plot)
독립된 각각의 이야기가 동일한 주제로 엮어지거나, 각각 다른 이야기에 동일한 주인공이 등장하는 구성이다.
(예) 보카치오의『데카메론』, 홍명희의 『임꺽정』, 이광수의 『군상』, 김동인의 『여인』등
㈃ 액자식 구성
액자 소설에서 보이는 유형으로 한 작품이 『내부 이야기』와 『외부 이야기』로 이루어지는 구성 방식이다.『내부이야기』는 이야기 속의 핵심을 가리키며, 『외부이야기』는 이를 둘러 싼 이야기로서 후자의 액자가 된다. 액자식구성은 시점이 바뀌며, 특히 내부 이야기는 신빙성을 위해 서술자와의 거리를 유지하고 사건 자체를 객관화 한다.
㉠ 순환적 액자 구성:하나의 액자 속에 여러 내부 이야기가 있는 것으로 『데카메론』, 『천일야화』등이 이에 속한다.
㉡ 단일 액자 구성:하나의 액자속에 하나의 내부 이야기가 있는 것으로 『배따라기』, 『무녀도』, 『등신불』등이 있다.
② 사건의 진행 방식에 따른 분류
㈀ 평면적 구성[진행적 구성]
사건이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적 흐름에 따라 진행되는 유형이다. 일대기적 구성을 지닌 우리의 고대 소설에서 흔히 발견되며, 서구에서 중세의 로망(roman) 이후 근대 소설에 이르기까지 보편화된 전통적 구성 방법이다.
㈁ 입체적 구성[분석적 구성]
사건의 전개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전개하지 않고, 순서를 바구어 진행하는 방식이다. 『현재→과거→미래』 또는『과거→미래→현재』등으로 역행시켜 진행시키는 구성 유형으로 현대 소설, 특히 심리주의 소설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③ 통합성 유무에 따른 분류
㈀ 극적 구성[견고한 구성, 유기적 구성]
작품 속의 여러 가지 삽화나 사건 등이 유기적으로 긴밀하게 결합되어 『발단.전개.절정.결말』의순서에 따라 극적인 진행이 이루어져 완전한 하나의 이야기로 통합되는 구성 방식이다. 단일 구성이나 평면적 구성은 극적 구성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 삽화적 구성[산만구성, 이완된구성]
작품의 중심 사건과 밀접한 관련성이 없는 듯이 보이는 삽화.사선들이 산만하게 연결되었거나, 불필요하거나 부수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사건들이 섞여 있는 구성 방식이다. 피카레스크식 구성, 복합 구성이나 입체적 구성과 깊은 관련을 지니고 있다.
④ 상승 구성과 하강 구성
R.C.메레디드 등의 『소설의 구조(structuring Your Novel)』에서 제시된 구성 유형이다. 주인공의 주된 동기력이 독자의 인식점으로 보아 목표 도달에 성공했으면 상승 구성, 실패했으면 하강 구성으로 분류한다.
7. 소설의 인물(人物, character)
⑴ 인물의 개념
① 소설의 이중적 의미:등장 인물 및 그 인물의 개성, 캐릭터라고도 한다.
㈀ 소설 속에 나타나는 인물:외부에서의 관찰의 대상
㈁ 그 인물의 성격:그 인물의 내적 속성, 즉 흥미.욕망.정서.도덕적 원리 등의 혼합.소설의 인물은 ㈀과㈁의 상호 보완적 의미
② 인물의 중요성
㈀ 행동의 주체, 주제의 구현자이다.
㈁ 실제 인물의 복사가 아닌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창조되어진 인물→발자크의 『고리오 영감』, 도스토예프스키의『카라마조프의 형제』 등
㈂ 중요성:소설의 구성 요소 중에서 인물 설정이 가장 중요한 까닭은, 소설의 궁극적 대상이 인물을 통한 인간성의 탐구와 인간의 문제를 다룸에 있기 때문이다.
⑵ 인물의 유형
① 역할에 따른 분류
㈀ 주동 인물:작품의 주인공.주동적 역할을 수행하는 긍정적 성격의 인물.
(예)『춘향전』에서『이도령』이나『춘향』
㈁ 반동 인물:주인공에 대립되는 반대자, 적대자. 갈등을 일으키는 부정적 성격의 인물
(예) 『변사또』같은 인물
② 성격에 따른 분류
㈀ 전형적 인물:어떤 특정 부류나 계층의 보편적인 성격을 대표하는 인물로 공시적 보편성을 지닌다.
(예) 『흥부전』에서 흥부는 선인의 전형
㈁ 개성적 인물:어떤 특정 사회의 부류나 계층에 속하지 않는 독자적인 성격의 인물로 독특한 개성을 지닌다.
③ 성격 변화 여부에 따른 분류
㈀ 평면적 인물[정적 인물,2차원적 인물]:한 작품 속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성격 변화를 보이지 않는 인물.
㈁ 입체적 인물[동적, 발전적, 3차원적, 원형적 인물]:환경,상황 등의 영향으로 사건의 진전에 따라 성격의 변화를 보이는 인물.
④ 인생의 어떤 면을 보여 주는가에 따른 분류
㈀ 비극적 인물:제도나 인습, 인간의 탐욕 등에 의해 희생되는 비극적인 면을 보여 주는 인물
㈁ 희극적 인물:인생의 희극적인 면을 보여 주는 인물로서 성격적으로 해학적.회화적인 면모를 보이며 시대나 사회 현실에 대해 풍자적인 태도를 보인다.
※ 현대 소설의 인물 : 입체적 + 개성적 인물
⑶ 인물의 제시 방법
작가가 소설 속에서 인물을 제시하는 방법을 성격화라고 한다. 성격화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초보적인 것은 명명(命名)이나 외양 묘사를 통해 그 인물의 특색을 보여 주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 소설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심리와 행동을 묘사함으로써 인물의 성격을 제시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① 직접적 방법(분석적, 해설적, 편집자적, 논평적 제시):작가(서술자)가 직접적으로 인물의 특색, 특성을 요약해서 설명하는 방법→말하기(telling)
(예)『흥부전』이나『장화홍련전』의 경우
② 간접적 방법[극적, 장면적 제시]:행동이나 버릇, 대화, 갈등을 장면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독자의 상상력에 맡겨 버리는 방법→보여 주기(showing)
③ 평면적 방법
㈀ 전형적이고 성격이 변하지 않는 인물을 제시한다.
㈁ 해학이나 풍자의 수단으로 적합하다.
④ 입체적 방법
㈀ 변화와 발전이 있는 개성적 인물을 제시한다.
㈁ 내면 세계를 다루는 현대 심리 소설에 적용되고 있다.
⑤ 회화의 방법
㈀ 특징이 두드러진 성질 또는 표정을 과장해 표현함으로써 우스꽝스러운 인물을 제시한다.
㈁우리 현대 소설에서는 채만식의 『태평천하』, 김유정의 여러 작품들에서 볼 수 있다.
⑥ 부차적 인물의 제시:부차적 인물은 충분히 제시하지 않으나, 그 기능은 ㉠ 주인공의 도되기 인물, ㉡ 인간 관계를 구성하는 사회 요소, ㉢ 인간 상황의 혼성적 연출자로서 제시된다.
⑷ 인물의 갈등
① 개인과 개인의 갈등:주동 인물과 반동 인물 간의 갈등
② 개인과 사회의 갈등:개인이 현실을 살아가면서 사회 속에서 겪는 갈등
③ 개인과 운명과의 갈등:고대 그리스 비극에서 사용되었던 갈등으로, 개인의 삶이 운명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보통이다.
④ 외적 자아와 내적 자아의 갈등:개인의 양면적 자아. 즉 선과 악, 진실과 허위 등이 이루는 개인의 심리적 갈등
8. 소설의 배경(背景, stetting)
⑴ 배경의 개념 : 배경은 작품의 무대로서 사건이 일어나는 시간과 공간 그리고 사회와 역사적 환경이다. 배경은 사건에 사실성을 부여하며 인물의 심리 상태나 사건의 전개를 암시하는 역할을 하고, 주고 묘사와 서술에 의해 제시된다.
① 소설의 배경은 사건의 환경이며, 사건이 일어나는 직접적인 세계다
→ stanton, Robert
② 소설에 있어서 물질적인 배경이며 장소의 요소다.→C.Brooks, R.P.Warren
⑵ 배경의 기능
① 인물과 행동의 신빙성(reality의 부여)을 높여 준다.
② 작품의 분위기나 무드를 만들어 낸다.
③ 주인공의 의식과 사상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④ 배경 자체가 상징적인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⑤ 소설의 주제를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⑥ 독자로 하여금 현장감을 지니도록 한다.
⑶ 배경의 종류
① 시간적 배경:작품 속의 사건을 구체적인 시대에 한정하여 스토리의 구체성을 띠게 한다.
㈀ 고대 소설: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또는 전생.현세.내세에 걸친 오랜 기간 설정
㈁ 현대 소설:대체로 짧은 기간 설정
② 공간적 배경:인물이 활동하게 되는 공간적 무대로, 인물의 심리 상태를 암시하기도 한다.
㈀ 자연 환경:도시 전체,또는 어느 한 지방 등의 넓은 지역
㈁ 생활 환경:집 안, 일터 등의 좁은 범위에 국한되는 일상적 생활 영역
③ 사회적 배경:소설 속의 인간도 사회 속에 있는 인간이므로 통시적인 시대성과 공시적인 사회성이 나타나야 한다. 특히 역사적 사회가 부각되어야 한다. 또한 소설의 주제를 부각시키고, 등장 인물의 성격과 심리, 플롯의 전개, 소설적인 분위기 조성에 맞도록 꾸며 가야 한다.
㈀ 고대 소설:불교.유교 등의 종교적 색채가 짙음.
㈁ 현대 소설:지적, 정서적 분위기
④ 자연적 배경
㈀ 주관적 자연:등장 인물의 성격과 심리 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낭만적 자연이라고도 한다.
㈁ 객관적 자연:등장 인물의 심리 상태와는 관계없이 사실적으로 그린 객관적 자연 환경으로, 사실적 자연이라고도 한다.
⑤ 심리적 배경:『의식의 흐름』, 『내적 독백』등을 꾀하는 심리주의 소설에 등장하는 배경이다.
㈀ 논리를 초월하는 공간 영역을 교묘히 배합한 『만화경적 배경』을 가리킴.
㈁ 대표적 작물:버지니아 울프의『등대로』, 조이스의『율리시스』, 이상의『날개』등
⑥ 상황적 배경:실존주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배경으로서 실존적인 상황을 암시하고 상징하는 배경을 가리킨다.
㈀ 배경 자체가 주제와 직결되는 모습을 보인다.
㈁ 대표적 작품
㉠ 카뮈(Camus) 의 『이방인』에 나타난 부조리의 상황이 권태로운 삶이라는 배경으로 제시됨.
㉡ 카프카(Kafka)의 『변신』에서 그레고르가 벌레의 모습으로 변해 좁은 방 속에 ㄱㄷ혀 있는 것은 인간의 한계 상황을 나타낸 것임.
㉢ 사르트르(Sartre)릐 『벽』에서의 감옥은 인간의 한계 상황과 죽음이라는 벽의 세계를 암시하는 것임.
⑦ 역사적 배경:인물이 처한 시대 환경을 가리킨다. 고전 작품에서는 이 시대적 배경이 작품 이행의 관건이된다.
9. 소설의 주제(主題, theme)
⑴ 주제의 개념:작가가 작품에서 나타내려고 한, 인생에 대한 태도나 관점이며, 작품속에 용해되어 있는 중심 사상으로서 소설의 의미 내용에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이다.
※ 주제는 영어로는 theme, subject, 프랑스 말로는 모티프(motif), 독일어로는 테마(thema)라고 부른다.
① 주제는 동기에서 비롯되지만 동기 그 자체는 아니다.
② 주제는 스토리라든지 제재 속에 구체화되어 나타나지만, 제재 그 자체는 아니다.
③주제는 작가가 작품을 쓰려고 하는 의도나 목적과 관련은 있지만, 목적 자체는 아니다.
④ 작가의 인생관이나 사상에서 이루어지지만, 작가의 인생관 그 자체가 주제는 아니다. 즉, 소설의 주제는 작가의 인생관이나 사상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어 나타나나, 작품의 주제와 작가의 인생관이 별개의 것이 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볼때, 개개인의 사건이 모여 이야기가 된다면, 이야기의 진실을 통일된 형태로 모아 놓은 것이 주제라 할 수 있다.
(2) 주제의 표현 방법
① 명시적 방법 : 작가가 작품 속에 개입하여 주제를 직접 제시하는 방법. 작가의 의도를 독자에게 명백히 제시하여 일정한 도덕적 교훈을 주겠다는 공리적 자세에서 비롯된 방법으로 고대 소설, 계몽 소설에서 흔히 나타난다.
② 함축적 방법 : 인물, 사건, 배경, 분위기, 플롯의 진행, 갈등 구조와 그 해소 등 전체의 구조를 통해 암시적으로 제시되는 방법. 독자는 정확한 인식으로 작품을 읽어가며 주제를 파악한다. 현대 소설, 특히 예술 소설에서 나타나는 방법이다.
(3) 주제의 형상화 과정
소설의 주제는 인물의 대립과 갈등에 의한 선과 악의 대립과 그 결과에 따라 형상화되나, 이는 작가의 개성과 기법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4) 우리 나라 소설 주제의 변천
소설의 주제는 시대와 사회의 변천에 따라 달라진다.
① 고대 소설의 주제 : 일반적으로 조선 시대의 지배적 이념인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권선징악의 주제를 보인다.
② 신소설의 주제 : 갑오경장(1895) 이후의 개화 시대에 형성되었으므로 신문화 운동의 일익을 담당한 계몽 문학 경향의 주제를 보인다.
③ 현대 소설의 주제 : 작가 개개인의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시기별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 1910년대 : 자아 각성, 민족 의식에 바탕을 둔 주제가 나타남.
㈁ 1920년대 : 예술성의 추구로 인간 본연의 모습을 부각시키려는 경향이 주류를 이루었고, 중반 이후에는 계급 의식에 바탕을 둔 현실 고발과 비판을 다룬 주제가 나타남.
㈂ 1930년대 : 주제가 다양하여 농촌 소설에는 농민들의 삶을 부각시켜 의식 개혁을 제창하고, 자의식의 소설에는 인간 본질의 문제를 천착하려는 주제가, 도시 소설에는 사회와 인간의 관계, 인간의 삶의 문제를 다룬 주제가 나타남.
㈃ 광복 이후 : 다양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인간의 삶과 본질 문제를 조명하고자 하는 주제 의식을 보임.
10. 소설의 시점(視點, point of view)
(1) 시점과 서술자의 개념
① 시점 : 소설에서 대상, 사건을 바라보는 서술자의 시각, 관점으로, 소설의 진행이 어떤 인물의 눈을 통해 보여지는가 하는 관찰의 각도와 위치를 말한다. 궁극적인 소설의 시점은 1인칭과 3인칭의 두가지이다.
② 서술자(narrator) : 작품을 서술 표상하며, 독자에게 중개해 주는 존재로, 사건을 전개하는 허구적 형상이다. 따라서 서술자는 작가 자신이 아니며, 작가의 피조물이다.
(2) 시점의 종류
① 1인칭 주인공(서술자) 시점 : 1인칭 주관적시점, 1인칭 서술시점, 1인칭 주동자 시점이라고도 한다.
㈀ 주인공이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시점으로 '나는 이렇게 하였다'는 식으로 진술하여 독자에게 깊은 신뢰감을 준다.
㈁ 사건의 내적 분석에 의존하여 궁극적으로는 '의식의 흐름'인 소설이 된다.
㈂ 작품 : 최학송의 <탈출기>, 이상의 <날개>, 알퐁스 도데의 <별>, 유진오의 <창랑정기(滄浪亭記)>, 서간체 소설, 일기체 소설, 자전적 소설, 심리 소설 등에 나타난다.
② 1인칭 관찰자 시점 : 1인칭 목격자 시점, 1인칭 관찰자 서술이라고도 한다.
㈀ 작품 속에 등장하는 부인물인『나』가 주인공의 이야기를 서술한다.
㈁ 인물의 초점은『나』가 아니라 주인공에 주어진다.
㈂ 객관적인 관찰자의 눈에 비친 인간 내면 세계를 그리는 데 효과적이다.
㈃ 작품 : 주요섭의『사랑 손님과 어머니』, 김동인의『붉은산』, 현진건의『빈처』 『고향』등에 나타난다.
③ 전지적 작가 시점
3인칭 전지적 시점, 전지적 작가 서술이라고도 한다.
㈀ 작가는 전지 전능한 위치에서, 각 인물의 심리상태나 행동의 동기, 감정, 의욕 등을 서술한다.
㈁ 작가는 작품속에 직접 개입하여 사건을 진행시키고 인물을 논평한다.
㉠논설적 전지(editorial omniscient) 시점
전지적 서술자가 직접적으로 논평을 가하는 시점.
㉡객관적 전지(objective omniscient) 시점
전지적 서술자가 인물의 극적인 행동을 통해 독자의 평가를 허용하는 시점.
④ 작가 관찰자 시점
3인칭 제한적 시점, 흔히 3인칭 시점으로 불린다.
㈀ 작가가 외부 관찰자의 위치에서 객관적 태도로 서술하는 방법이다.
㈁ 외부 관찰에 의거하여 해설이나 평가를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제시한다.
㈂ 현대 사실주의에서 주로 사용되는 시점으로, 단편 소설에서는 극적 효과를 얻기 위한 수법으로 효과적이다.
㈃ 작품 : 황순원의『소나기』, 염상섭의『임종』 『두 파산』등에 나타난다.
⑤ 시점의 혼합
『누보 로망(Nouveau roman, 반소설)처럼 2인칭 시점이거나 1인칭 시점의 두 형태가 혼합되거나, 1인칭 관찰자 시점과 3인칭 시점이 혼합된 경우도 있다. 특히 액자 소설의 경우가 이러한데, 김동인의『배따라기』, 김동리의『무녀도』 『등신불』등이 그 예이다.
(3) 작가의 개입
작가가 소설의 서사 내용에 직접 간여하는 현상이다. 특히 3인칭 전지적 시점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많이 나타난다. 조선 시대의 고전 소설과 개화기 소설에 있어서는 이러한 현상이 심했으나, 사실주의의 등장과 함께 이런 현상은 많이 소멸되었다.
① 고전 소설 : 작가가『나』로서 직접 등장하지 않는 3인칭 시점이 주로 쓰였다.
② 신소설 : 개화 사상을 전달하려는 작가 의식이 강했기 때문에 작가가 소설 속에 개입하여 설명도 하고(전지적 작가 시점), 주관적인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③ 현대 소설 : 기법의 다양화로, 심리주의 소설은 1인칭 시점, 단편 소설에서는 작가 관찰자 시점, 장편 소설에서는 전지적 작가 시점이 쓰이고 있으나, 작품이나 작가의 태도에 따라 다양하다.
(4) 소설의 거리(距離, distance)
① 거리의 개념 : 소설에서 등장 인물이나 사건이 관찰되는 낙차의 정도를 말한다. 대체로 소설에서는 작가와 등장 인물의 거리, 독자와 등장 인물과의 거리를 가리킨다.
② 거리의 효과 : 작가는『작자 서술자 등장 인물 독자』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박진감과 현실감, 객관적 느낌 등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작품의 사실성(reality)을 살릴 수 있다.
③ 시점과 거리 : 소설의 거리는 시점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출처: http://my.netian.com/~sbs7916/main.ht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