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호] 故 이형근 대장 '10001'로 군번 1번
군번(軍番)은 일반인들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것으로, 주민등록번호는 잊어도 군번은 잊지 못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군복무를 한 사람들에겐 추억 어린 존재다. 우리 군의 군번 체계는 장교·부사관·병사 등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창군 초기부터 현재까지 몇차례 변화를 겪었다. 우리 군에서 첫 군번을 단 사람은 이형근(李亨根·2002년 작고) 예비역 대장<작은 사진>이다.
1946년 1월 국군의 전신인 국방경비대에 입대, 대위로 임관한 이 예비역 대장에게 당시 미 군정청은 군번 1번을 부여했다. 그는 선배들도 있다며 1번을 사양하다 미 군정청이 맥아더 사령관이 결정한 일이라고 하자 수락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이 예비역 대장의 군번은 10001번이었다. 그는 사단장, 군단장, 초대 합동참모회의(합참의 전신) 의장, 육군참모총장을 거쳐 1958년 대장으로 예편했다. 미군의 군번 1번은 육군 원수를 지낸 퍼싱 장군(1860~1948)이다.
-
공군 군번은 1949년 50001번으로 시작됐으며 초대 및 3대 공군참모총장을 지낸 김정렬 전 국무총리가 첫 군번을 부여받았다. 해군은 초대 해군참모총장을 지낸 손원일 제독이 군번 1번(80001)이다. 1946년 군번을 부여받았다. 공군 장교 군번은 90년도 임관자까지 50001번부터 76534번까지 부여됐다.
창군 이후 6·25전쟁을 전후해서까지 장교 군번은 임관 출신별로 다양한 체계가 유지되고 사병 군번도 140여종에 달해 혼란이 초래되기도 했다. 이에 국방부는 1967년 4월 1일자로 군번 체계를 정립해 장교, 준사관, 부사관, 병사 등 네종류로 구분해 사용하기 시작했다.
지금의 군번 체계는 1991년 1월 1일부터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장교의 경우 출신별 구분 없이 통합해 연도별 임관일자순 일련번호로 군번을 매겼다. '연도-10001~' 형태다. 예컨대 2009년도에 임관한 군번 1번 장교는 '09-10001'이다.
부사관의 경우 '연도-50001~', 준(準)사관의 경우 '연도-30001~'로 군번이 붙는다. 병사의 경우 연도별로 8계단 군번이 붙는다. 육군 병사의 경우 연도 다음 번호에 차이가 있는데 1군(71000001~), 2군(72000001~), 3군(73000001~), 훈련소(76000001~), 육군본부(77000001~) 등이다. 공군 병사는 연도 다음에 '70000001~', 해군 병사는 '71000001~', 해병대 병사는 '72000001~' 번호가 각각 붙는다.
군번은 보통 '인식표'<큰 사진>라 불리는 메달 모양의 금속편에 문자와 함께 새겨져 있다. 인식표는 전사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 꼭 필요한 존재로 모든 군인은 이 인식표를 목에 걸도록 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