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버릇은 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다.
잠자는 자세는 근골격계 건강을, 코를 고는 것은 기관지 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잘 때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리고 자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사소해 보이는 잠버릇이나 이 역시 건강에 이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입을 벌리고 자는 것은 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일어나면 '바짝' 말라있는 입...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
자고 일어났을 때 입 주변이 침으로 흥건하거나 입안이 바짝 말라있다면 입을 벌리고 잤다는 신호다.
가끔은 괜찮지만, 이러한 증상이 자주 반복된다면 각종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입을 벌리고 자는 이유는 다양한데, 코로 숨쉬기 힘든 것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 축농증 등으로 코가 막히면 코로 호흡하기 힘들어 입을 벌린 채 호흡하는 것.
수면 무호흡증 환자도 정상적인 호흡이 어려워 구강호흡을 하는 경우가 많다.
입을 벌리고 자는 것과 더불어 잠을 뒤척인다면 ‘상기도 저항 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수면 중 기도가 좁아져 호흡이 힘들어지는 질환이다.
호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잠에서 자주 깨고, 자고 난 뒤에도 개운하지 않은 증상 등이 나타난다.
호흡 감소로 수면을 방해한다는 점이 코골이와 유사해 ‘소리 없는 코골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같은 이유로 입을 벌리고 자면 건강에 다양한 문제가 찾아온다.
우선,
구강 호흡으로 입안이 건조해지면 세균이 증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된다.
이로 인해 백태와 입냄새가 심해지고,
나아가 충치, 잇몸병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또, 구강 호흡을 하면 오염 물질이 코에서 걸러지지 않고 몸으로 들어와 감염 질환에 쉽게 걸릴 수 있다.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점도 문제다.
입으로만 숨을 쉬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효율이 떨어진다.
이는 수면의 질을 떨어트려, 피로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
이는 모든 이에게 문제가 되지만, 특히 성장기 청소년의 경우 얕은 수면으로 인해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입을 벌리고 자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수면무호흡증, 알레르기 질환 등이 있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질환이 원인이 아니라면 베개 높이를 낮추는 것이 도움 된다.
아울러 술과 담배를 멀리하고 젖은 수건, 가습기 등을 이용해 실내 습도를 40~60%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김가영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hidoceditor@mcircle.biz
v.daum.net
최승규 한마디
오래전부터 말씀 드리고 있읍니다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 입니다
입에서 항문까지 이상 없다면 만병에서 자유롭다...........
구취는 만병의 원인이다...
구강 치아관리..위소장대장항문 방 에서
수없이 말씀 드렸는데
이제서
현대의학 에서 말해주고 있읍니다
원인 치료에 대해선 환경. 자세. 말하고 있읍니다
습도유지...
베개 낮춘다..
절대 아닙니다
반대로
베개를 높여야만 입은 닫히게 되고
방안 산소 포화량 늘리기 위해 (물수건 정도로 안된다)실내기온 20도 내외로(머리차(寒)게할수록 적은산소로 충분하다)...
창문 열어놓아 외부 공기 유통 유입 활발하게 해야 됩니다
입을 닫고 자는데 입안 건조해지는것은 말하지도 안읍니다
입을 닫고 잤는데 입이 마른다
후드 경직 입니다... .(전신근육 모두 굳어있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요즘은 젊은 분들까지 격는 불편증 이기도 합니다(애늙은이)
굳어진것 푸는건 정말 어렵읍니다
먼저 혈액 유통 제대로 되는지?
살펴보고 유통 부터 뜷어야 됩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잘봤읍니다
감사합니다
좋은기사 감상합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잘 감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