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대기 중의 휘발성 탄화수소를 총칭하는 것으로 도심 스모그의 원인, 환경에 치명적인영향을 미치는 독성을 포함한 물질로써, 현재 합성, 세정, 도장 등과 관련된 석유 화학공업 분야에서 각종 유기용매가 사용되고 고분자의 용해나 인조피혁, magnetic 및 접착용 테이프 제조, 인쇄, 페인트, 필름 코팅 등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대개 건조 공정 중에서 증기압이 높아 대기 중으로 쉽게 휘발되어 덕트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면 바로 확산되어 처리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과 공존 시 태양광에 의해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PAN(Peroxyacetyl nitrate) 등의 광화학 산화제를 생성하는 물질로서 환경부에서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자동차 운행의 급증과 유류 과다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에 대한 관심도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커지고 있다. 따라서 VOCs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공정이나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VOCs 제거를 위한 기술은 열 회수 산화기술, 열 재생 산화기술, 촉매 산화기술, 농축 산화기술, 응축 회수 기술, 흡수법 및 흡착법 등이 있고, 바이오나 플라즈마 이용기술 등 최근까지 연구 개발되고 있는 기술들도 있지만 아직까지 실용화 기술은 개발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공정 배기가스로부터 저 농도의 VOCs를 회수하기 위하여 흡착법이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OCs 제거를 위해 다공성 고분자를 합성하여 TG장비를 사용하여 흡착능 실험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