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힐링툴 (치유의도구들)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동하
    2. 달과나무
    3. 히란야
    4. adam
    5. 군자
    1. 높은 산
    2. 사곡
    3. 절대공
    4. 몸과 영혼의 하모..
    5. 긍정의 힘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ilovej21
    2. 아로하83
    3. 들봄
    4. 기미정
    5. alicehee
    1. uhoo
    2. 윤성준
    3. 나문
    4. 율율
    5. 아니지내
 
카페 게시글
N4-퀀텀에너지볼(에너지수) 자료, 질문과 체험 나누기 에너지 레벨이 높다"라는 말을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요.
심신일여 추천 1 조회 413 19.01.15 17:06 댓글 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9.01.15 17:16

    첫댓글 심신일여님 높은 에너지 물이 나오는 책이 궁금합니다! 한번 읽어 보고싶은데 소개부탁드려도 될까요?

  • 작성자 19.01.15 19:12

    "암의 진실"(타이 볼링거저)이라는 책의 아주 일부(4페이지)에 물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치료의 시작이다 라는 책은 구입하고서도 읽지 못했는데 좋은 내용있으면 전해 드리겠습니다.

  • 19.01.15 18:28

    음~ 그러게요.
    공부하셔서 저좀 알려주세요~^^
    제가 사용하는 용어가 제가 다 알아서 쓰는건 아니니까요.

  • 19.01.15 19:03

    질문하신 내용은 일반 물리적 시각에서 질문하신건데요.
    사실 그런 물리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퀀텀에너지 볼과 에너지 물 관련 글에 사용한 에너지 레벨 이란 뜻은 그런 물리적 개념은 아닙니다.
    물론 에너지가 어떤 종류던 높으면 낮은데로 흘러가겠죠? 즉 필요한 곳에 가서 일을 하겠죠?
    "물은 답을 알고 있다" 라는 책 내용은 물리학자는 완전 뻥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물이 기억력이 있다는건지 도무지 이해를 못하죠.
    미묘한 미약에너지(subtle energy)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그책을 보시면 답에 가까운 내용을 아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 작성자 19.01.15 19:07

    감사합니다. 사실 저도 물에 대한 관심을 조금 더 가진 계기가 된 것은 "물은 춤춘다"동영상인데 사랑한다 또는 미워한다,태을주주문에 따라 모양이 바뀌는 것이 흥미로워서 관심을 가졌습니다.그래서 알파님의 제품에 물을 담을 때나 마실 때 감사합니다 라는 꼭 합니다.
    사실 저도 아주 구체적으로 알고 싶지는 않았지만 혹 누가 질문을 하면 기본적인 대답은 해야 하는데
    번역이 문제인지 피라미드구조와 일직선구조 등 알 수 없는 말들이 나와 많이 헷갈리네요.
    틈틈히 고민해 보겠습니다. 저 역시 전공이 공학인지라...

  • 19.01.15 19:18

    에너지 준위는 양자역학에서 양성자나 전자 같은 소립자의 스핀 각이나 위치등을 설명할때 사용하는데 제가 사용한 의미와는 다릅니다.
    에너지 레벨이 높다고 세포막 침투가 잘 되는건 아닙니다. 세포막 침투란 말은 입자세계에서 분자와 세포 수용체의 작용에 따라 표현하죠. 근데 세포막의 작용과 세포 통신 등은 디지털 바이올로지를 만든 방베니스트 박사의 연구를 보면 현대과학은 아직도 모르는게 더 많습니다.
    물분자 집단이 작으면 흡수가 잘 되지만 그렇다고 세포 속으로 잘 들어가는 것은 아니고 칼슘이나 나트륨 이온 교환등 복잡한 여러 과정이 필요하죠. 근데 물분자 집단이 작으면 이런 일이 원활하게 잘 되는 것 같아요.

  • 19.01.15 23:26

    육각수는 물 연구를 오래 하시다 돌아가신 전무식 박사님이 처음으로 사용한 말이고 이론이죠.
    오래전 그분 육각수 책을 읽어본 기억이 납니다.
    육각수를 만드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물 온도나 미네랄, 자기장, 전기 등 여러가지가 있고 육각결정도 통계적으로 육각결정이 더 많은거를 말하는거고 육각결정을 항상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물은 산소와 수소의 이온결합이나 공유결합, 수소결합, 분자간 인력, 쌍극자 힘 등 복잡하게 작용하여 물분자 집단이 형성되는데 이걸 모두 밝히는 건 불가능해 보입니다. 그래서 물의 기억력 기전도 여전히 밝히기 쉽지 않고요.

  • 19.01.15 19:26

    그러나 물의 기억력을 활용하는 전사기나 동종요법을 보면 너무나도 분명하게 물은 기억을 합니다.
    물질이 만드는 정보 파동도 기억하고
    사람의 의식도 기억하고~
    어떤 작용으로 에너지 레벨도 높아지고~
    이제 더이상은 저도 잘 몰라유~~~

  • 19.01.15 21:39

    아참!
    제가 보기엔 퀀텀에너지 볼이 만드는 에너지 워터도 당근 육각수입니다.

    근데~
    이렇게 말하면 사기입니다.
    육각수가 풍부한 물입니다.
    라고 말하면 사기는 아닙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