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제주시 옛 도심 재개발사업을 맡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 사업 시행이 불투명해졌다.
제주도는 최근 삼도2동, 일도1동, 건입동 등 옛 도심 재개발사업 대상지 토지주와 주민들에게 안내문을 보내 "제주도와 LH는 재정 형편상 사업 시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토지 소유자 등이 조합을 구성해 사업을 시행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도는 안내문에 조합을 구성해 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에 대한 찬ㆍ반 의견을 묻는 설문지를 첨부하고 17∼18일 건입동 영화문화예술센터에서 주민설명회를 열어 의견을 최종 수렴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말 지구지정 해제될 수도…사업 백지화
도와 LH가 사실상 사업 시행을 포기함에 따라 옛 도심 45만3200㎡를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 삼도2동 무근성 일대 16만㎡는 4개 구역으로 나눠 주택재개발사업을, 건입동 탑동로 남쪽 해짓골 일대 8만8000㎡는 도시환경정비사업을 벌이는 등 재개발사업을 하려던 계획은 추진이 어려울 전망이다.
토지주 등이 도와 LH가 사업을 맡아주기를 원하는 데다 수익성도 불투명해 조합을 구성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전망이기 때문이다.
도는 2008년 12월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하고 2009년 4월부터 촉진계획 수립용역에 들어가 재정비촉진계획(안) 주민공람, 도의회 의견 청취 등의 절차를 마쳤다.
그러나 개발구역과 사업주체 결정 등을 둘러싸고 의견이 엇갈려 지난해 6월 용역이 중단된 데 이어 지난해 말로 예정됐던 재정비촉진계획 결정 고시 기한도 1년 연장되는 등 사업추진에 차질을 빚어왔다. 올해 말까지 재정비촉진계획이 결정 고시되지 않으면 지정이 해제돼 사업 자체가 자동 폐기된다.
제주도 관계자는 "주민설명회에서 사업 경제성 등에 대해 설명하고 주민 의견을 최종 수렴해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제주도는 최근 삼도2동, 일도1동, 건입동 등 옛 도심 재개발사업 대상지 토지주와 주민들에게 안내문을 보내 "제주도와 LH는 재정 형편상 사업 시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토지 소유자 등이 조합을 구성해 사업을 시행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도는 안내문에 조합을 구성해 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에 대한 찬ㆍ반 의견을 묻는 설문지를 첨부하고 17∼18일 건입동 영화문화예술센터에서 주민설명회를 열어 의견을 최종 수렴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말 지구지정 해제될 수도…사업 백지화
도와 LH가 사실상 사업 시행을 포기함에 따라 옛 도심 45만3200㎡를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 삼도2동 무근성 일대 16만㎡는 4개 구역으로 나눠 주택재개발사업을, 건입동 탑동로 남쪽 해짓골 일대 8만8000㎡는 도시환경정비사업을 벌이는 등 재개발사업을 하려던 계획은 추진이 어려울 전망이다.
토지주 등이 도와 LH가 사업을 맡아주기를 원하는 데다 수익성도 불투명해 조합을 구성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전망이기 때문이다.
도는 2008년 12월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하고 2009년 4월부터 촉진계획 수립용역에 들어가 재정비촉진계획(안) 주민공람, 도의회 의견 청취 등의 절차를 마쳤다.
그러나 개발구역과 사업주체 결정 등을 둘러싸고 의견이 엇갈려 지난해 6월 용역이 중단된 데 이어 지난해 말로 예정됐던 재정비촉진계획 결정 고시 기한도 1년 연장되는 등 사업추진에 차질을 빚어왔다. 올해 말까지 재정비촉진계획이 결정 고시되지 않으면 지정이 해제돼 사업 자체가 자동 폐기된다.
제주도 관계자는 "주민설명회에서 사업 경제성 등에 대해 설명하고 주민 의견을 최종 수렴해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