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암집(眉巖集) 유희춘(柳希春)생년1513년(중종 8)몰년1577년(선조 10)자인중(仁仲)호미암(眉巖), 연계(漣溪)본관선산(善山)시호문절(文節)특기사항최산두(崔山斗),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김인후(金麟厚)와 교유
眉巖先生集卷之十二 / 日記 刪節○上經筵日記別編 / 甲戌下
初一日。以殿講試官。未罷漏而起。梳洗食粥。罷漏後詣闕。待門開于光化門。乃未明差早開門也。入至勤政殿南邊定虜衛廳依幕。姜知事暹,李參判俊民亦來會。卯時。左相朴公以試官詣經筵廳。鄭惟吉,朴忠元,金貴榮,姜士尙,沈守慶,朴啓賢及吾三人。摠十員。卯正殿坐。侍臣先入。試官次入。自位高五員坐于東。其下五員坐于南。都承旨柳㙉爲曹司試官。收栍a034_363b于十試官處。講書儒生十五人。而獨幼學李洽論語通。閔敬男詩略。其次三人得粗。其餘十人不通。午正。畢事而退。副水刺于經筵廳。然早朝在定虜衛廳。食家供朝飯。故入侍至午而不飢矣。未時歸舍。八月
初四日。余以雩祀報祀獻官。夕食後。詣中樞府齋宿。
初五日。天明。衣黑團領。詣闕待開門。與禮判金貴榮相遇。議別試試官二所入望事。受香而出。出自南大門。遠至菌峴之東雩祀壇側。雩祀。乃句芒,祝融,后土,蓐收,玄冥,后稷六神也。大祝曹敬中。寫祝文。
初六日。四更一點。行祀事。凡登陟壇上者四度。祭畢a034_363c假寐。至昧爽食粥。天明回程。卯時歸舍。
初七日。是日有政。余入戶曹參判末望。不受點。又入刑曹參判副望而受點。李陽元,李希儉爲首末望也。許恩欽爲持平。沈忠謙爲正言。
初八日。午後。弘文博士金應南來訪。持尙書洪範。以質疑晦。余隨問而答。且因水潤下火炎上之說。遂引文中子曰。火炎上而受制於水。水趨下而得志於火。故君子不欲多上人。金君嘆美其言。因手書以歸。佩服云。
初十日。前延安府使安鴻子漸。今月來訪。余驚喜迎a034_363d接。語及丁未臘月北遷之時。安以珍原宰簡慰云。棄白髮慈親。遠從天涯。懷惡可想。然知其無可奈何。而安之若命。古人事也。珍重善保。以期會面於十年之後。吾之望也。嘗誦此書於名公佳士之中。在座莫不嗟嘆。余贈以漆扇。
十二日。昧爽出門。平朝。詣訓鍊院僕射廳。吏戶兵禮四判書,吏曹參判朴謹元,禮議任鼐臣,兵議崔顒已至矣。有頃。右相乃至。左參贊朴忠元,右參贊成世章亦至。諸宰相皆從西偏入。揖于政承。遂皆踞交倚而坐。以今日都試開場也。試內禁兼司僕等十餘人。六a034_364a兩各矢而罷。
十三日。平朝。詣掌樂院。乃十七日望闕禮習儀也。尹鉉,李俊民,朴謹元,李栻同入僕射廳幕。食禮賓之供。辰時習儀。以刑曹上官小留待。卽廳先入而請坐。余遂詣秋官。吏迎門外。律學祗迎于中門外。郞官祗迎于中門內。余由左邊階而入。據案而坐。正郞佐郞各三人。先以公服入。行公禮。次以紅團領入。行私禮。律學,醫員,錄事,胥吏,皁隷,鎖匠。各行其禮。禮畢。開印受詞訟。分入房。正佐郞迭來稟議。余以上官之日。不爲刑訊決罰。令招部將勤捉取膽人。又看入啓啓目。a034_364b著名踏印。申時。畢事而歸舍。
十四日。昨因寬中。聞聖上玩意射候。非惟弓力日强。又能中鵠。蓋射亦六藝之一。而上之氣力。多材多藝。一至於此。然恐其玩物喪志也。○余頃於都試。薦辛應基,李璥於吏參朴謹元。今日。又薦辛應基,楊大樹於兵判鄭公。又薦李億福部將於兵書。又薦羅袖淸勤可差權管。鄭書曰諾。
十五日。申時。忽聞聖上王候不快。驚憂不已。卽遣人探審。又希春與妻共占。得革之初爻動。用离雖克體。然體兌乘時而旺。离生艮。艮又生兌。大吉無疑。
a034_364c十六日。鷄鳴而起。五更寅時未明。行時享于曾祖考妣祖考妣先考妣六位。每考妣共一卓。祭物甚豐。夫人之勤幹。禮儀小差。希春之忘錯。亦暗中之所致也。祭後。分送餕餘于隣里族親。
十七日。食後詣刑曹。同判書坐起。尙之令公。虛心咨訪。可爲同寅協恭矣。曹中多詞訟判決之事。日暮乃罷。
十八日。巳時。被試官牌招詣闕。在同被召中最先詣。入勤政殿作依幕。吏曹正郞金孝元來訪而拜。余以李廷瑞申救士禍於乙巳丁未之際。放還之朝。諸公a034_364d同謫者。皆官其子弟。獨廷瑞未嘗得官其兄子瀞。且瀞亦爲人甚可愛。金君欣然有好助判書之意。戶曹判書尹鉉亦來訪。日暮。諸擬望人來到。或有不來者。禮判乃入單子。希春於一所試官受點。判尹沈守慶爲上試官。凡文武五所。每所試官三人。參試官四人。監試官臺諫各一人。合五九四十五員。肅拜于勤政殿庭。上賜酒以次受飮。又文科試官。受食宣飯。二更末乃出。余隨沈判尹。至成均館明倫堂。夜已三更二點矣。判尹沈希安坐北。余坐東壁。兵曹參議崔顒景肅坐西。參試官則右通禮李訒,軍器正尹杲,司a034_365a藝尹承慶,庶尹任國老。而監試官則執義崔興源,獻納鄭士偉也。判尹以策問題。屬于希春,崔景肅,尹承慶。
十九日。儒生入門數一千六百七十一名。
二十日。凡試官七員。監試官二員合九員。共校考試卷。至初更五點而罷。乃十六軸。卽二百六十道也。
二十一日。平明。上明倫堂。終日考文二十軸。乃二百道也。至二更四點乃罷。
二十三日。今日考二十軸。卽二百道也。
二十四日。早起。如前考文。至初更五點。乃二十五軸。a034_365b卽二百五十道。以二十六日出榜故。汲汲速看。故科次如是。
二十五日。早起。如前考文。至未時而畢。乃十九軸一百八十九道也。申時。議定前留擬高未定之等。居二上者二人。二中者二人。二下者一人。雖不發封。姑以試卷字號擬一百人。則三下以上。二十七人。其次七十三人。則次等也。點次下。五六日推移而落。見二所榜。楊士衡,崔尙重俱中。三所榜。文緯世,李效,元沖元等亦中。皆可喜也。
二十六日。會坐明倫堂。進謄錄官及三館開坼祕封。a034_365c則以二上爲魁者。生員李寬也。以二上爲次者。金侃也。令三館書草榜。一等儒生書挂榜。書寫官書入啓單子肅拜。上命賜酒。歸舍於未時末。
二十八日。是日。冬至使拜表。余以承文院提調。早詣慕華館。○未時。出自館之東門。迂路南大門。至好賢坊吏判鄭惟吉宅。鄭公出迎于中門。吏參朴謹元適至。余入就坐。具陳曰。令監識李元祿乎。答曰。識之。希春曰。李公當乙巳丁未之士禍。盡心力救。雖不克有成。悃愊惻怛則藹然也。若退溪李先生。則初爲豐城所誣啓。幾不免死。頼廷瑞泣救。豐城還解之。希春a034_365d曾謁退溪問之。退溪曰。我若非廷瑞。豈得免死。救活善良之功。雖施於平平。猶爲可嘉。況活退溪之大賢乎。且姦兇煽禍之秋。廷瑞奮然異同於叔姪骨肉之間。此又難於疏遠之人。亦猶聖人稱泰伯曰。其心則夷齊叩馬之心。而事之難處則有甚焉者也。廷瑞之樹立如此。而還朝之後。何因流言。未經一顯職。今則病之深矣。不能運身。亦何所望。但希春嘗訪。則廷瑞曰。僕無男子。只有兄子瀞。才行堪爲庶官。而僕之身且不能恤。況能薦兄子。希春聞而悲之。且識其姪瀞爲人。甚可優於百執事。鄭吉元曰。余嘗怪朝廷待廷a034_366a瑞何薄也。其兄子誠可錄用。余曰。雖部參奉無妨。鄭問其資級有無。遂定約。余又薦權得卿之爲人。鄭亦曰。爲人不俗。吾當付優閒之官。令得食卜月之祿。余又薦柳世荗能居官治民。鄭曰。吾亦聞之云云。
二十九日。食後。以坐起詣刑曹。牒訢紛然。公事如麻。酬答裁決。至申時乃畢而出。遠至太平館側。致奠于卒參判李公友閔之柩。
初七日。昨聞南原金鏘字聲遠。戊子生。有一男二女。向我家定婚之志頗堅。以卜者云丙子年吉。余問之。亦以爲然。蓋景濂己亥生。而丙辰年受室。年方十八。a034_366b光先己未生。而丙子春入丈。則亦恰是年十八。已人丙年。亦世其父。美事也。○昭格署參奉李至男來。乃丁未同謫彦忱仲孚之子。而鄭承旨源之婿也。與之道舊。不勝悽感。九月
初八日。院啓。近年以來。嫁娶之人。知古禮之正。而或有參以舊俗之謬。二三其禮。莫適所從。請自今以後婚禮。一依朱文公家禮。上答曰。婚禮。入鄕循俗。已有其例。不必俑新。
十一日。殿試試官望來。希春預焉。是日有政。希春,李海壽,李珥入副學之望。希春以首受點。
a034_366c十六日。傳曰。尹希廉予師傅而今身死。予心悼焉。可追贈堂上。令本道各別護送事下諭。且致奠事。考啓。上之念舊隆師。至矣美矣。
十九日。頃日。聖上命追贈舊傳尹希廉堂上官。而臺諫無執論者。蓋隆師報恩。人主之美德。而將順其美。亦人臣之所當然故也。○禺中。以上官詣玉堂。校理尹晛,修撰金宇顒,副修撰金應南,著作李敬中一會。相與校正洪範初一日五行及一五行一段。到五行皆有聲色臭味。余引月令爲證。
二十一日。以坐起詣成均。大司成尹斗壽子䀚以下a034_366d先詣以待。余入明倫堂。諸官自上而下。次次行禮後。東西齋儒生。出庭而揖。旣而。色掌生請稟日講罰講。余令論語通讀。自學而首章。至曾子三省章而止。諸生問難於左右。余皆辨析森然。日昳乃罷。○戶曹判書尹鉉遣郞來啓曰。若一依橫看。則家供之法。只行於政府六曹等十餘司。而各司則不能成家供也。祿薄仕苦之員。旣無司中供饋之路。又無家供之資。非徒有乖於體羣臣之意。遠方旅宦之人。從仕實難。雖或有上直之饋。下人都受。而供饋之時。則當受之矣。輪直數日。四五升之米。誰肯受之。名爲給之。而實a034_367a歸於虛地。況如別坐之無錄。而竝無上直之饋者乎。監察。亦是憲府之官也。只有齊坐之饋。而請臺之日。遞食各司。家供之時無食。則於何可食。橫看之不給諸司之俸。必皆以爲有食之路。而不爲之所也。百工賤流。亦有稱事之廩。獨於待士夫之道。不爲之食。而使之服勞於公家乎。反覆籌之。未得其宜。請議大臣而爲之。何如。傳曰。徐當發落。
二十五日。平明詣闕。以新及第放榜賀禮故也。先入弘禮門內別侍衛依幕。與修撰金宇顒等。食館朝飯。尋出外位。辰時。入勤政殿庭行賀禮。回班于東邊。新a034_367b及第文科十五人入東庭。余於壯元鄭祥及朴光玉,柳夢鼎,申津,黃璡五人。行後拜。新及第。賜紅牌花酒蓋。畢而出。百官復還班。四拜而出。余以有議事一會。詣玉堂。校理尹鉉,修撰金宇顒,副修撰金應南,博士洪進,著作李毅中皆會。完議楊州書院賜額賜書事。皆云。事有大於此者。余始創聞而問。皆答曰。吏書鄭惟吉。曾失節於李樑。不可復當大任。余具言其寬厚無害。爲吏判時。不以李戢爲大憲。衆咸曰。不可以其所長掩其大謬。余不得已而聽之。令金宇顒起箚草。削其語之猛烈。其略曰。吏曹判書鄭惟吉。以庸懦之a034_367c資。喪失廉恥之心。當李樑秉權之日。依阿取容。及長銓曹。拔引邪黨。布滿要津。以長其勢。淸議不容。士林唾鄙。今復添重地。臺諫熟視不言。請亟命遞免。又以書院事上箚。申時末。乃歸舍。
初九日。丁璿欲上疏自薦。昨夕送疏來示。其中以尹潔爲亂臣。自敍不爲媚竈。又謂士之引身而退。要索高價。被召來仕者。至以爲行詐欺世。議論悖繆。余簡報。君之所見。何至於此。若不改此疏。必將被謗。且前銜官。著笠詣政院。甚爲不可。璿慙服。停詣闕。十月
十二日。朝聞李僉知元祿逝於去夜三更。驚悼無已。a034_367d○聞姦賊鄭礥昨昨病死。乙巳士林之禍。礥實其父順朋之疏。以鼓扇之。又以其兄𥖝守正不從邪。至欲殺之。凶邪備至。久逭天誅。今死亦云晩矣。
十三日。午後。持弔服往西小門外。尋閔承旨起文靈柩而致奠。祭文則令祝讀之。連奠三杯。讀祝後退而再拜。又再拜而出。戶判尹鉉,兵參知李湛。亦以致奠先至。余就會一處。會右相盧守愼繼至致奠。旣而。邀見我輩。吾等三人往謁之。盧公曰。聞上付公以四書經書吐釋之定。有諸。希春對曰。有之。盧公曰。文義不必致意。四方諸生。宜任其所讀。今若一定而印出。a034_368a講書之際。以是爲準。則人多冤落。況曲巧之說。非所以一衆學也。希春曰。只云未當而從至當耳。豈必以曲巧爲哉。李湛曰。必率明經數人而爲之矣。余答曰。今宜廣詢博訪而折衷之。可問於弘文館,成均館等處。而太學儒生。亦可盡問矣。盧公素惡辨析文義。至以不可讀書之說。發於御前。宜乎有此言也。
十四日。昨日經席。吏曹參判朴謹元啓請金麟厚褒奬。今日。承旨又以請議諸大臣取稟。上曰。不可輕爲。
十七日。領議政權轍,領中樞洪暹議。各司官員點心。a034_368b勿許公辦。各自家供。事若簡便。而弊役可袪。但奔走鞅掌之臣。拘於事執。或不能裹飯。而終日治務。誠難忍飢。日晩就仕。旋卽罷還。百工之値慢。庶事之不理。未嘗不由於此。其害益甚。況以該曹所啓之事。反覆商度。則橫看豈可違越。國廪將有不繼之虞。各司外員作紙。亦不可移補其缺食也。百僚料廪。勢難徧頒。而他無適可施措之策。其國計無益而有損。生民又無蒙一分之惠。而許多官員。或未免飢餒之苦。衆心多有所不便。不能無厭苦愁恨之色。當初立法。意非不善。而行未周歲。事多妨碍。何必强拂人心。而行a034_368c其所難之事。以傷國體乎。以臣等固陋之見。不如循祖宗舊規之爲便。公辦之際。其如鄙汚之習。煩濫之弊。則令法司該曹。嚴立禁令。隨現痛治。期於革弊。朴左相,盧右相以爲革公辦爲家供。此固事執之極出於不得已也。今者總計各司作紙。多至二千五百餘石。當抽出六七百。以給工匠朔料。除前所給公廪。則經費有何減省乎。若復公辦。只增防納者之氣勢。中外元元。擧被患害。寧不致慮。蓋左右二相。恥其前言之失而固守之。其爲執拗。遂非甚矣。又二公言家供之設。百弊俱去。此甚無理。權,洪二公之說。得其實矣。
a034_368d二十日。政院啓曰。昨日朝講。副提學柳希春所啓李滉考證四書五經口訣諺釋及其校正朱子大全語類等冊。訪問其家。收取上送事。慶尙監司處下諭如何。取稟。傳曰。如啓。
二十二日。早朝。詣西小門外。訪黃海監司李珥。會坐加乙頭里江邊矣。歸路。値朴君沃。約以廿七日象戲。○歸舍。卽聞沈同知逢源下世。驚悼不已。○遣人探問沈宅。則逝於去夜三更云。公之性恬靜退讓。雖爲外戚。而不惱於其族。安分養疾。人咸高之。曾以好宅假我六七年。於我有德。至矣。○午後。往沈同知喪次。a034_369a以主人未成服。不改冠服而進見。右相盧公在外廳。因陪話。又通辭于沈右尹義謙。良久乃退來。
二十四日。是日。李珥叔獻。以黃海監司拜辭。余伻問。
二十六日。質明。詣慕華館近處依幕。爲迎勅再度習禮也。適見大司諫尹毅中暫話。左議政朴淳至。及承旨來。而百官列立道邊。俟衆勅至。鞠躬。百官騎馬。自下先詣太平館。到太平館。先行迎勅禮而退。次行本朝賀禮。有叩頭山呼節次。禮畢而退。詣大倉洞。訪李政丞鐸。相公之病。其男海壽以僉知。躬執方席敬待之。出傳相公之言曰。令公勤念余病。問訊殷勤。感荷a034_369b至矣。余亦願令公善調保也。痰證歇而脾胃證不差云。○自倉洞。詣鑄字洞權經歷泳所移寓家。得卿喜迎。有餉吾上下廳。申末。詣厥洞之南江原監司崔蓋國第。繞其第三男入丈。飮小酌後。繞至大寺洞都正家。上堂繞立。新郞奠雁再拜入內後。兩邊繞客。相揖卽出。
二十九日。午。手書所製送辛觀察應時序而送之。感君望將祭光陽參議祖公之墓也。○兵曹參議崔顒過訪。相與語及丁璿上疏事。以爲悖謬之甚。益有害。當相與戒而止之。余卽通簡于丁。
a034_369c初三日。聞㺚子二十萬騎自開原入來。侵中國。爲邊將所克。斬首或一千。或四百餘級。奪馬九匹云。十一月
初六日。副修撰金應南出仕肅拜。遂來見談話。余告以乞退休於上前。金君曰。嘗隨令公入侍講。上之信向令公。至矣。不宜遠引。余語以衰病不得已之故。金曰。爲令公計則得矣。如時事何云云。
初八日。平海郡守車軾來訪。乃丁酉同年也。曾爲高城守有信。余設酌餞之。且求四書諸經之釋。辭曰。爝火安敢呈於太陽。余曰。余性本從善。可無辭也。軾曰。a034_369d古人詢于芻蕘之意也。
初九日。食後。詣玉堂校冊。而與校理尹晛,申點,修撰金宇顒,正字金晬先完議箚子事。蓋湖南之盜。安汝敬等所捕者。本獷猂大黨。監司朴民獻張皇啓聞。聖上不逆不億。偏信其言。不賞以所當之賞。乃授重加。失國人之心。請速從公論也。令金宇顒製箚。吾等四人校冊。全羅監司辛應時來受餞酌。今日出行故也。暮冒雨歸舍。
十二日。玉堂入番金宇顒,金晬書來云。旅獒第三段。時庸展親。人不易物。惟德其物之吐。前日校勘。因舊a034_370a吐親下시면。物下리이다。今更考。此是召公告武王泛言明王昭德之致。分方物亍諸侯之意也。非告武王之王字也。當做已然之說。不可作方來意看。親下시니。其物下니이다。則似乎可也。講義之說亦如此。未審盛意如何。余答曰。示意果當。親下作어시든。亦佳。
十七日。社稷參奉文昌後來。謝前日監司時薦。拙謹可取人也。
二十二日。以上問安於昌德宮懿聖殿隨駕。昧爽。詣漢城府依幕。著作李敬中來會。辰正。大駕出。a034_370b以各司一員擧動。無祗迎節次。只俯伏於私處。隨駕至敦化門外。入東邊依幕。尋被命入闕庭。賜宣醞于隨駕侍臣宰相將士。又賜囊子二品。得紫囊。旣畢。希春等先退于敦化門外。申時。上還宮。臣等隨駕至光化門。偶與吏佐郞李誠中邂逅。詳議薦金僩于翰林。李君深以爲然。李君之弟養中。時爲奉敎故也。日暮歸舍。曾與鄭承旨琢。約迎壻圍繞之會。適此日隨駕未赴。
二十四日。尹寬中出自入直言。主上善射帿好之。每夜。出慶會樓下。向北射貫革。能左右射五十矢。中a034_370c四十五矢。武藝亦絶倫。然非人主之所急。且射尤末技也。恐冬月向北而感冷。
初一日。貞伊傳光雯在湖南之書。余取書而觀之。云。頃到潭陽金應祥家。聞卜居可當之地。孫親往觀之。府五里之外有大山。大山之外。有洞曰廣洞。四山回合。有水而藏風向陽。眞卜居之吉地。大父主若卜築于此地。則金應祥所養之木。可斫以結構。孫亦隨居。應祥之妻。亦相去至近。甚好云云。余與夫人思之。誠有是理。余若居于此處。不惟聚光雯娚妹之爲幸。東通南原鰲山之妹。北近光雲之父子。亦會合骨肉之a034_370d一便。十二月
初八日。朝。坡州成持平渾。專伻送李叔獻詳定吐釋大學來。被余之求見也。
初九日。美叔在中原。遇陜西長安王之符。問我國如今理學之人。以成大谷運,李一齋恒,盧蘇齋守愼及希春對云。
十四日。禺中。被讀書堂之邀。詣通禮院。乃盆稻宴也。每歲。玉堂種稻于盆。秋收數升。載送于書堂。書堂因戲成實。設宴於城內。以嚮兩處學士故也。許佐郞篈先至。降庭祗迎。余不受入。升堂。篈就拜書堂上。洪正a034_371a字迪繼至。校理尹晛,副修撰金應南,著作李敬中,正字金晬繼至。共七員東西相對。肴饌之盛。音樂之備。特異於常筵。會許美叔欲以此會作契軸。開歲三月。又設分軸宴于讀書堂。甚盛事也。○余聞明日有夕講。欲早入直。而令上番來參。故受主邊許,洪進酒。日未暮而出。遂入玉堂。令趙啓沃,李守謙畢往宴所。受酒而飮。金修撰宇顒以氣不快。不得往參。夕雪下。今歲臘前三白。豐年之祥也。
十七日。懿聖王大妃殿在昌慶宮未寧。上驚動。卽以朝日行幸問安。未幾。以諸事未備。退三嚴于巳a034_371b時。希春又入別雲劍望受點。初以各司一員。平明出門。中道聞差雲劍。遂自光化門。至勤政殿。改服時服。入坐于臺諫食宣飯之廳。姜判尹士尙伻問相邀。余食朝飯。諸扈衛之將。皆列坐於殿庭。希春爲東邊雲劍。與礪城尉宋寅。連坐於都摠管沈守慶,尹鉉之上。適以憲府之員三人被論。其餘有故。無可隨駕者。故承旨及正言鄭以周。竝請停行。上初以爲甚無理。又曰。凡父母有疾。人子當奔走省問之不暇。豈可以一事之未備停廢乎。然二院再請。上不得已而停行。玉堂入番金宇顒,李敬中及金應南等。以爲當a034_371c箚論。余亦深然之。遂罷陳而歸玉堂。箚子略云。天下之事。有常有變。人子奔省父母之疾。不可以一節之未備而停。殿下之欲亟往者。出於人心天理之正。而政院諫院。膠於故常。至請停行。臣等惑焉。事之大小緩急。權衡不差。此實精義處事之方。伏願留神焉。箚中又云。慈殿證候之進退緊歇。臣等不得而詳也。證若小歇。今日不必更擧已停之行。若猶未也。烏可以臺諫之未備而停行哉。上答曰。正是。但今已停行。明日當問安矣。
十八日。以別雲劍。借人馬乘月詣闕。日氣甚寒。朝食a034_371d玉堂之飯。辰正。上出宮。扈衛之臣。隨至昌德宮敦化門外。下馬而趨。至協陽門。向高而步。胸喘氣困。坐于宣化門外置輦之左。與吏判金公連坐而語。談及瀞事。顯卿深許之。
二十二日。余自前小感冷氣。輒冷腹而滑泄。礪城君寅以爲當服松葉粥。今日招沈安信問之。衰年內冷。腹疾之甚。每日或二日一。摘松葉。以繩結之。以刀截取小許。和薏苡粥。或秋芋粥。半寶兒每朝服之。期年而大有效云。○因金正字晬。伏聞中殿懷孕。此乃國之大慶。何幸何幸。
二十五日。沈右尹義謙來報李僉知湛今朝歿云。驚悼不已。卽遣吏探問。則又知事金舜皐亦卒於今朝云。
初二日。以朴坡州希立之先人世荗君。嘗定經籍吐釋。余今日簡乞。答曰。今只有書傳。而爲鄕姪借去。當窮推送上云云。余以楊希元,李枝陽之子講書不通。將定軍事。簡救于咸鏡伯朴大立。閏十二月
初三日。余以鼻火證不差。招掌務吏。令送書寫官宋忠祿。書呈辭單子云。臣矣段。本以尫羸孱弱之人。今月初一日。始叱感冒風寒。鼻涕咳嗽。四肢倦痛。差復遲速。未易的期。經筵重地。久曠職事。極爲未安。臣矣職乙良。本差爲白只爲。詮次善啓云云。○順天從第榮春。去月初一日傷寒。十八日二更而逝。五寸姪尹忠男,崔旣濟,許濟,許湛,金光祖等都狀。專伻報訃送緦帶。仍請救喪葬之需。
初四日。羅仲孚昨言鄭大成等。嘆伏希春强記明辨。
與李參判後白。嘖嘖不已。蓋頃日會於明倫堂也。鄭李問難經書疑晦處。余應答如響。余起出。李公與鄭公議。以爲柳公不解漢語。漢語以念爲誦。可以此問之。及余還坐。李公問我云。小學云敎子弟以經學念c書。念字何謂。余答之曰。念卽誦也。伊川上封事云。明經專於念誦。尤不濟事。是也。二公大服。鄭卽芝衍衍之也。自恨居不隣。不得資益云。
○前正姜克誠受還給職牒。慕齋先生之外孫也。
初八日。早朝。以出仕肅拜詣闕。寓報漏門。適淮陽府使曹彦弼亦至。來邀余與語。乃昔在癸亥年爲海南有善政之城主也。巳時肅拜。歸玉堂。食朝飯。副應敎申點,修撰丁胤福,著作李敬中,正字金晬一會。丁君倡議。以爲慈殿大勢雖歇。未能快差。頃日殿下已言於經筵。昨日又有新進之藥。遽行賀禮。至爲未安。竢十分快差。然後行之未晩。遂上箚。方金正字草箚之際。余與申丁李合四員。校正大學衍義,尙書。通計三時講次。納箚于政院。遂各散。余向西門。遇崔承旨應龍於闕內。相見喜甚。暫話而出。尋元判書混而訪於壽城君洞宅。語及經書吐釋。辭甚琅琅。豈七十歲老宰相所能。可歎伏。元公以姜漢所書童蒙須知開刊次贈我。我敬受而退。○因金君晬。聞初六日經筵。晬等啓曰。副提學柳希春感寒疾。若因其再三呈辭而遞之。則非隨才用長之道。乞勿遞差。上曰。頃日。柳希春請降內冊校正以入。予適遭慈殿未寧之憂。未卽搜降。而希春又呈病。予心缺然。睟曰。柳希春本以弱質。累日以別雲劍。夙夜擧動。又入直七八日。因成感冒。上曰。有差病出仕之理。上問晬曰。柳希春自云不能文章。信否。對曰。希春天資聰明。長於記誦。詞章非其所長。
十三日。以上詣昌慶宮。臣等早朝。詣漢城府內依幕。與著作李敬中同坐。辰正三嚴。上動駕冒風而行。至昌德宮。爲久駐侍藥之計。臣等至敦化門外下馬。與金貴榮,李後白相見。約來日春秋館之會。遂逶迤向宣仁門。至昌慶宮玉堂。會同僚申點,金宇顒,李敬中,金晬。同問安于懿聖殿。答曰。日方嚴寒。每來問安。至爲未安。臣等退食于玉堂。遂各散。
十四日。早朝。詣春秋館。爲褒貶完議也。同官未至。姑入藝文館上直房。未幾。有人誤傳李大憲同知入來。余遂詣春秋館。風日甚寒。余取酒於玉堂而飮之。至巳初。李後白,大提學金貴榮。自禮曹吏曹相繼而至。共受兼春秋四員禮數。遂覽時政記。適李公季眞所覽。有書希春事實之筆。其略曰。爲人慈詳眞率。聰明强記。在謫中二十年。閒中用精力。諸子百氏。無所不讀。作續蒙求,六書附錄等書。然其學能博而不能約。於持敬內外交修之道。猶有所疏略。又性迂疏。短於剸煩之才。故處館閣之長則有餘。附以調宰之手則不足云云。○大提學金公及希春。又詣校書館議褒貶。適外貢紙十邑人來。二提調同坐捧之。完議褒貶。以正字金信玉慢忽職事。監韻會廳。而不糾擧李壽岡之太慢。議置於殿。以鄭彦湜,崔鎭國,曹景中。受由在家過限。彦湜又不上來。皆議中等。遂俱向議政府。時領右相以本院褒貶。坐起於東夾室。金判書及希春納名。則二公命入來。吾二人就前敬揖。又與三宰朴公同行而揖。復進領相權公前。呈春秋館,弘文館單子。旣磨勘。又呈春秋館單子於右相盧公前。蒙準而退。又驅軺。遠至昌慶宮左相朴公處。翰林白惟讓隨至。余暫與之語。又磨勘於左相而退。日將暮。乃至禮曹。判書洪曇,參議鄭惟一。同爲褒貶。洪公以奉常寺主簿尹泮。久不肅拜。主簿崔鎭邦。肅拜亦晩。皆置中等。余歸舍。
十五日。修撰金宇顒。以隷習官。遭中解玉堂。如此良士。六朔離經幄。誠可恨也。玉堂朝上箚。請今日仍留。勿爲還宮。大臣之言。不可從也。上以慈殿固請。不得已而申時還宮。又以明日更往問安。
十八日。儒生李好閔。故留守友閔之弟也。李善慶。後白之子也。幷來問大學疑難處。余略對以口。不令開冊。不欲開授徒之門也。
十九日。朝詣昌慶宮。問安於懿聖殿。答曰。一樣矣。適見醫女善福。聞玉候彌留。咸懷憂悶。退食于玉堂。聞黃海監司李珥。判官崔世瀣善政啓聞。同僚皆以爲公論之發久矣。○黃海監司書狀略云。海州居民金應斗等千餘人連名所志。本州牧使,判官。天性慈詳。自下車之初。首擧除弊之政。賦役至均。詞訟至簡。姦猾自息。政淸化行。邑野同歡。判官大小之事。a034_374b一依上官之令。上行下效。不爲重斂。官庫充實。不施嚴刑。事務皆辦。自能檢束。性本至簡。別無干譽之事。雖古之循吏。未過於此。雖遇瓜期。當加願留。卽千萬意外。曖昧之事。不意見罷。州民遽失杜母。各各悶望。官廳米麪魚饌之富。莫如此時。板蕩之言。出自何處。加于各各悶望。官廳虛實與否。不意擲奸如此。曖昧情實。斯速轉達。校生洪汀等連名所志內。判官下車之初。淸簡恤民。除其百弊。輕徭薄賦。量入用舒。官庫盈溢。曖昧罷職。牧使李遴牒報內。官廳見存白中米竝二千七十七石。租一百九石。太一千九十石。田米六十二石。眞荏子三百二十二石。魚鹽物稱是更良。都事李元翼乙用良。官廳擲奸。前判官處傳掌重記及時留庫數爻文書。取來憑考。大槪米麪段。加四分之二。魚物段。加三分之一。臣初巡時。入海州境內。居民等在在屯聚。請牧使,判官善政啓聞。牧使李遴段。素以善於撫字著名爲白在果。判官崔世瀣。素無名聞。有意觀其所爲。則淸謹自持。小無泛濫之失。科歛甚輕。節用蓄積。誠如居民呈狀。前監司閔起文。年老性柔。不能拒絶私行。雜客雲集。糜費不資。同崔世瀣用度不足。私自憂慮之際。起文聞知。深以爲未安。a034_374d營上魚物。移入官廳。實非世瀣之自請。大抵世瀣之門地卑微。人所輕侮。性又拙直。不能厚接。過客之人。無不嫌嫉。已曾聞知。衆口鑠金。傳干都下。言官風聞。亦所當然。惟只民生休戚。係於守令。如得其人。則一境知樂。不得其人。則百里愁苦。所關甚重。道內守令中。世瀣者罕有其比。無罪見罷。實爲曖昧。本州居民。滿庭號悶。各盡其情。閭里相弔。氣象愁慘。臣目睹厥狀。不敢不達。第念近日言路甚窄。臺諫一言之誤叱分以。百千直言。皆歸摭虛之地。今臣所達。增長聖明輕視臺諫之習。後弊無窮乙仍于。惶恐待罪。臣矣a034_375a職乙良罷黜。以重臺諫體貌事。啓下吏曹。傳曰。物待罪事。監司處下諭。可也。○監司之細達公論。上之處置至矣。
二十二日。詣政院。請承傳色啓。略曰。慈殿久未復常。聖上憂惶切至。日御內藥房。承候至昏。此實孝思之至。臣等不勝嘆伏。第以聖躬脾胃素弱。當此憂勞之際。飮膳寒溫之節。亦不可小歇。苟或一失其宜。必至重傷玉體。反貽慈殿之憂。伏願深思負荷之重。加意愼護。上慰慈殿之念。下副臣民之望。上答曰。予身幸得保安矣。第以慈殿證勢緊a034_375b歇無常。彌留至今。是以爲悶耳。○吏曹回啓。大槪崔世瀣政績。監司親見。必得其實。而諫官所論。自下難定。請上裁。上命崔世瀣仍任。快哉快哉。
二十四日。聞潭陽金成璧身死。故舊之可取者也。
二十五日。著作趙憲來謁。質語類疑難處。又議童蒙須知及朱子與塾書開刊書。校正朱全二十一卷至二十七卷。
二十九日。侍藥廳分發來。慈殿去夜穩眠云。
三十日。以問安詣慈殿。聞去夜安寢。今日又進飯七匙。玉候向歇。輿喜何極。問安後余乘軺。回到昌a034_375c德宮玉堂。與同僚議金寒暄,鄭一蠹,李退溪,安瑭,李蓂諡號。僚卽申點,金宇宏,尹晛,丁胤福,洪進,金應男,李敬中,金晬幷我爲九員也。前應敎丁琢子精考索訪問。頗勤且密。今因其大槪。但以文正擬寒暄之第二。文字忠信愛人。擬安相之第一云。
[주-D001] 晬 :
睟
[주-D002] 晬 :
睟
.............................
前應敎丁琢子精考索訪問。頗勤且密。->前應敎鄭琢子精考索訪問。頗勤且密。
鄭琢 | 1526 | 1605 | 淸州 | 子精 | 藥圃, 柏谷 | 貞簡 | 西原府院君 |
前應敎丁琢子精考索訪問。頗勤且密。->前應敎鄭琢子精考索訪問。頗勤且密。
*원문교감
鄭琢 1526 1605 淸州 子精 藥圃, 柏谷 貞簡 西原府院君
.............................
미암집 제12권 / 일기(日記) 축약함 ○갑술년(1574) 하 / 윤12월
【2일】파주(坡州) 박희립(朴希立)의 선인(先人) 세무군(世茂君)이 일찍이 경적(經籍)의 토석(吐釋)을 정하였는데 내가 오늘 편지로 요청하였다. 답하기를,
“지금은 《서전(書傳)》만 있는데 시골 조카가 빌려갔으니 마땅히 추심해서 올려보내겠습니다.”
하였다. 나는 양희원(楊希元)과 이지양(李枝陽)의 아들이 강서에서 통(通)을 못해 군(軍)으로 정해지게 된 것을 함경도 관찰사 박대립(朴大立)에게 편지를 보내 구해주었다.
【3일】내가 비화증(鼻火症)이 낫지 않아 장무리(掌務吏)를 불러 서사관(書寫官) 송충록(宋忠祿)에게 보내어 정사 단자(呈辭單子 사직(辭職)을 청하는 단자)를 쓰게 하였다. 다음과 같다.
“신은 본래 야위고 쇠약한 사람으로 이달 초하루에 처음 찬바람을 쐬어 콧물이 흐르고 기침하며 사지가 느슨하고 아파 언제 회복될지 쉽게 기약할 수 없습니다. 경연의 무거운 지위를 맡아 오랫동안 직사(職事)를 행하지 못해 지극히 미안합니다. 신의 직책을 체차하시도록 연유를 갖춰 자세히 아룁니다.”
○ 순천의 종제 영춘(榮春)이 지난달 초하루에 상한(傷寒)으로 18일 2경에 죽었다. 5촌 조카 윤충남(尹忠男)과 최기제(崔旣濟), 허담(許湛), 김광조(金光祖) 등이 도장(都狀 연명장(連名狀))을 만들어 사람을 보내 부음을 알리고 시마복(緦麻服)과 요대(腰帶)를 보냈으며 상장(喪葬)에 필요한 물품도 요청하였다.
【4일】나중부(羅中孚 나사침(羅士忱))가 어제 말하기를,
“대사성(大司成) 정지연(鄭芝衍) 등이 희춘의 뛰어난 기억력과 밝은 분별력을 탄복하여 참판 이후백과 함께 칭찬이 그치지 않았다.”
하였다. 대개 전일 명륜당에서 만났을 때 정지연과 이후백이 경서의 의심나고 어려운 곳을 질문하였는데 내가 대답을 잘하였다. 내가 일어나 나가자 이공이 정공과 의논하여 유공(柳公)이 한어(漢語)는 모르니 한어에서 염(念)을 외운다는 뜻으로 쓰는데 이것을 물어보자고 하였다. 내가 돌아와서 앉자 이공이 나에게 묻기를,
“소학에 ‘자제(子弟)에게 경학(經學)을 염서(念書)할 것을 가르치라’라고 한 말이 있는데 염자(念字)는 무슨 뜻입니까?”
하니, 내가 대답하기를,
“염(念)은 곧 외우는 것이니 이천(伊川)이 올린 봉사(封事)에 이르기를, ‘명경시(明經試)에서 염송(念誦)만을 오로지 하니 더욱 일이 되지 않습니다.’ 한 것이 이 뜻입니다.”
하였더니 두 분이 크게 탄복을 하였다. 정(鄭)은 바로 지연 연지(芝衍衍之)이다. 이웃에 살지 못하여 도움을 받지 못한 것이 한스럽다고 하였다.
○ 전정(前正) 강극성(姜克誠)이 환급해 준 직첩(職牒)을 받았다.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 선생의 외손이다.
【8일】이른 아침에 출근하여 숙배(肅拜)를 하기 위해 대궐로 가서 보루문(報漏門)에 있었는데 마침 회양 부사(淮陽府使) 조언필(曺彦弼)이 도착하였다. 와서 나를 맞아 서로 이야기를 하였는데 그는 옛날 계해년(1563, 명종18)에 해남에서 선정(善政)을 하였던 성주(城主)이다. 사시에 숙배를 하고 옥당으로 돌아와 아침밥을 먹었다. 부응교 신점(申點)과 수찬 정윤복(丁胤福)과 저작 이경중(李敬中)과 정자 김수(金睟)가 회의를 하였다. 정윤복이 먼저 말하기를,
“자전(慈殿)의 큰 증세는 비록 그쳤지만 아직 쾌차하지 않았습니다. 전일 전하께서 이미 경연에서 말씀을 하셨고, 어제 또 약을 새로 올렸으니 급히 하례를 올리는 것은 지극히 미안합니다. 십분 쾌차하시기를 기다린 뒤에 행하는 것도 늦지 않습니다.”
하였다. 드디어 차자를 올려 정자 김수가 차자를 기초(起草)할 때 나는 신점, 정윤복, 이경중과 함께 4명이 《대학연의(大學衍義)》와 《상서(尙書)》에서 세 번 강독할 분량을 교정하였다. 차자를 정원에 바치고 각자 흩어졌다.
나는 서문(西門)으로 향하다가 승지 최응룡(崔應龍)을 대궐 안에서 만났다. 서로 보고 매우 기뻐하며 잠시 이야기를 하고 나왔다. 판서(判書) 원혼(元混)을 찾아 수성군(壽城君)의 마을 집으로 찾아가 경서의 토석(吐釋)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말소리가 매우 낭랑하였다. 어찌 70세 노재상(老宰相)으로 가능할 수 있는 것인가 하고 탄복하였다. 원공(元公)이 강한(姜漢)이 쓴 《동몽수지(童蒙須知)》를 개간(開刊)할 자료를 나에게 주기에 공경히 받아 물러났다.
○ 김수를 통해 들어보니 초 6일 경연에서 김수 등이 아뢰기를,
“부제학 유희춘이 감기를 앓고 있는데 만약 두세 번의 정사(呈辭)로 인해 체직 하신다면 재주를 따라 장점을 쓰는 도리가 아니니 체차하지 마소서.”
하였다. 주상께서 답하기를,
“전일 유희춘이 내책(內冊 궁궐의 책)을 내려 주면 교정해서 주겠다고 했는데 내가 마침 자전(慈殿)이 편치 못하신 근심이 있어서 즉시 찾아 내려주지 못했다. 희춘이 또 병을 아뢰어 내 마음이 허전하였다.”
하였다. 김수가 말하기를,
“유희춘은 본디 허약한 체질인데다가 여러 날을 별운검(別雲劍)으로 일찍부터 늦게까지 거동했으며 또 7, 8일간 입직하여 감기가 들게 되었습니다.”
하니, 주상께서 “병이 나으면 출근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답하였다. 주상께서 다시 김수에게 묻기를,
“유희춘이 스스로 문장은 못한다고 말하는데 그러한가?”
하니 대답하기를,
“희춘은 천자(天資)가 총명하여 기송(記誦)은 잘 하지만 사장(詞章)은 그의 장점이 아닙니다.”
하였다.
【13일】주상께서 창경궁(昌慶宮)으로 가시기 때문에 신하들이 아침 일찍 한성부(漢城府)의 안쪽 의막(依幕)으로 갔다. 저작 이경중과 함께 앉아 있다가 신시 정각에 3엄고(三嚴鼓)가 울리자 주상의 어가가 바람을 무릅쓰고 행차하셨다. 창덕궁에 가서 오래 머무르며 시약(侍藥)을 할 계획이셨다. 신하들이 돈화문 밖에 이르러 말에서 내렸다. 김귀영, 이후백과 서로 만나 내일 춘추관에서 모이기로 약속하고 곧 멀리 돌아 선인문(宣仁門)으로 향해서 창경궁에 도착하였다. 옥당에서 동료 신점, 김우옹, 이경중, 김수가 모여 함께 의성전(懿聖殿)께 문안드렸더니, 답하기를 “날씨가 한창 몹시 추운데 늘 와서 문안하니 매우 미안합니다.” 하였다. 신하들이 옥당으로 물러나 밥을 먹고 나서 각각 흩어졌다.
【14일】이른 아침에 춘추관으로 갔다. 포폄(褒貶)을 완의(完議)하기 위해서다. 동관(同官)들이 오지 않아 우선 예문관(藝文舘) 상직방(上直房)으로 들어갔다. 얼마 후에 어떤 사람이 대사헌 이동지가 들어왔다고 잘못 전해서 곧 춘추관으로 갔다. 바람과 날이 몹시 추워 나는 옥당에서 술을 가져다가 마셨다. 사시 초가 되니 이후백과 대제학 김귀영이 예조와 이조로부터 잇달아 왔다. 함께 겸춘추(兼春秋) 4명의 예수(禮數)를 받고 드디어 시정기(時政記)를 보았다. 마침 이계진(李季眞)이 본 곳에 나의 사실을 기록한 대목이 나오는데 대략 말하기를,
“사람됨이 자상하고 진솔하며 총명하고 기억력이 좋다. 귀양살이 20년간 한가한 중에 노력하여 제자백가를 읽지 않은 것이 없었고 《속몽구(續蒙求)》와 《육서부록(六書附錄)》 등의 책을 만들었다. 그러나 학문은 넓지만 요약하지 못하였고, 경(敬)을 지녀 안팎을 아울러 닦는 공부는 여전히 소략한 바가 있다. 또 성격이 우활하고 성글어 번거로움을 결단하는 재주가 모자라니, 관각(舘閣)의 우두머리에 있기는 넉넉하나 조재(調宰 국사를 꾸림)하는 솜씨를 맡기기에는 부족하다.”
하였다.
○ 대제학 김귀영과 내가 다시 교서관(校書舘)으로 가서 포폄을 의논하였다. 마침 10읍의 외공지(外貢紙)를 지닌 사람이 와서 제조(提調)와 함께 앉아서 받아들이고 포폄을 완의하였다. 정자(正字) 김신옥(金信玉)이 직사에 태만하고 소홀하여 운회청(韻會廳)을 감독하면서 이수강(李壽岡)의 극히 태만함을 규찰하지 못하였다고 하여 전(殿 최하(最下))으로 두었다. 정언식(鄭彦湜), 최진국(崔鎭國), 조경중(曺景中)은 휴가를 받아 집에 있으면서 기한을 넘겼고 언식은 또 아직까지 올라오지 않아 모두 의논해 중등(中等)에 두었다.
곧 함께 의정부로 향하였는데 이때 영의정과 우의정이 본원(本院)의 포폄 때문에 동협실(東夾室)에서 좌기(坐起)하고 있었다. 판서 김귀영과 내가 납명(納名)을 하니 2공이 들어오라고 명하여 우리 2명이 앞으로 나아가 공경히 읍을 하고, 또 삼재(三宰 좌참찬(左參贊)) 박충원과 동행하여 읍을 하였다. 다시 영의정 권철(權轍)의 앞으로 나아가 춘추관과 홍문관의 단자를 바쳤다. 마감을 하고나서 또 춘추관의 단자를 우의정 노공의 앞으로 바치고 비준(批準)을 받고 물러났다.
또다시 초(軺)를 타고 멀리 창경궁의 좌의정 박순(朴淳)이 있는 곳으로 갔는데 한림(翰林) 백유양(白惟讓)이 따라 왔다. 나는 잠시 함께 이야기 하고 또 좌의정에게 마감(磨勘 결재)을 받고 물러나니 날이 저물어갔다. 이에 예조에 이르러 판서 홍담(洪曇)과 참의 정유일(鄭惟一)과 함께 포폄을 하였는데 홍공은 봉상시(奉常寺) 주부(主簿) 윤반(尹泮)이 오래도록 숙배를 하지 않았고 주부 최진방(崔鎭邦)은 숙배가 늦었다고 하여 모두 중등(中等)에 두었다. 나는 집으로 돌아왔다.
【15일】수찬 김우옹이 이습관(肄習官)이란 이유로 옥당에서 중도 해임되었다. 이런 좋은 선비가 6개월간 경악(經幄)을 떠나게 되니 참으로 한스럽다. 옥당에서 아침에 차자를 올려 “청컨대 오늘 그대로 머무르시고 환궁하지 마소서. 대신의 말을 따라서는 안 됩니다.” 하였는데 주상께서는 자전(慈殿)이 굳이 청하므로 부득이 신시에 환궁하고 내일 다시 가서 문안하기로 하였다.
【18일】유생 이호민(李好閔)은 고(故) 유수(留守) 우민(友閔)의 아우이고, 이선경(李善慶)은 후백(後白)의 아들이다. 함께 와서 《대학》에서 의심나고 어려운 곳을 묻기에 내가 대략 입으로 대답해주고 책을 펴지 말라고 하였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문호를 열기 싫어서다.
【19일】아침에 창경궁으로 가서 의성전께 문안을 드렸는데 여전하다고 답하였다. 마침 의녀 선복(善福)을 보고 옥후(玉候)가 차도가 없음을 듣고 모두 근심하였다. 옥당으로 물러나와 밥을 먹었다. 황해 감사 이이(李珥)와 판관 최세해(崔世瀣)의 선정(善政)을 계문(啓聞)하였다고 들었다. 동료들은 모두 공론이 드러난 지 오래되었다고 하였다.
○ 황해 감사의 서장(書狀)에서 대략 말하기를,
“해주(海州)의 거민(居民) 김응두(金應斗) 등 1000여 명이 연명(連名)해서 낸 소지(所志 소장(訴狀))를 보니 ‘본주의 목사 이린(李遴)과 판관 최세해는 천성이 자상하여 취임을 하면서 맨 먼저 폐단을 없애는 정책을 거행하여 부역을 지극히 고르게 하고 사송(詞訟)을 매우 간략하게 하니 간활(姦猾)이 저절로 그치고 정치가 맑아졌으며 교화가 행해져 읍인(邑人)과 야인(野人)이 함께 기뻐하였습니다. 판관은 크고 작은 일을 한결같이 상관(上官)의 명령을 따라서 위가 행하면 아래가 본받았습니다. 무겁게 징수를 하지 않았는데도 관의 창고가 충실하고 엄한 형벌을 시행하지 않았는데도 사무가 저절로 이루어졌습니다. 스스로 잘 검속(檢束)하고 성품이 본디 아주 간이(簡易)하여 따로 명예를 구하는 일이 없으니 비록 옛날의 순리(循吏)라도 이보다 나을 수는 없습니다. 비록 만기를 맞았지만 더 머물기를 원하려던 차에 천만뜻밖에 애매한 일로 파직을 당하게 되니 주민들이 갑자기 두모(杜母)를 잃게 되어 각각 민망해 하고 있습니다. 관청에 쌀, 밀, 고기 등의 풍성함이 이 같은 때가 없었는데 판탕(板蕩)했다는 말이 어디에서 나왔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각각 민망해 하고 있던 차에 관청의 허실 여부를 이렇게 척간(擲奸 간악한 일을 적발함)할 줄은 생각지 못했습니다. 애매한 실정을 속히 전달해 주십시오.’ 하였고 교생(校生) 홍정(洪汀) 등이 연명해서 올린 소지(所志)의 내용은 ‘판관이 부임한 초기부터 청렴과 간이(簡易)함으로 백성을 구휼하여 온갖 폐단을 없애주고 요역(徭役)을 가볍게 하고 부세(賦稅)를 박(薄)하게 했으며 수입을 헤아려서 쓰기를 더디게 하여 관고(官庫)가 가득 넘치는데도 애매하게 파직을 당했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목사(牧使) 이린(李遴)이 낸 첩보(牒報)의 내용은 ‘관청에 현존한 백미(白米), 중미(中米)가 합하여 2770석, 조가 109석, 콩이 1090석, 전미(田米)가 62석, 참깨가 322석이요, 어염(魚鹽) 등의 물품도 그에 상응합니다. 더구나 도사(都事) 이원익(李元翼)이 관청에서 척간(擲奸)할 때 전 판관이 넘겨준 중기(重記)와 현재 창고에 있는 수량을 적은 문서를 비교해보면 대충 미곡은 4분의 2가 불어났고 어물(魚物)은 3분의 1이 불어났습니다.’라고 했습니다. 신이 처음 순찰할 때 해주의 경내에 들어가니 거민들이 도처에 모여서 목사와 판관의 선정을 계문해달라고 청했습니다. 목사 이린은 본래 백성을 잘 위무(慰撫)하기로 이름이 났고 판관 최세해는 본디 이름이 알려지지 않아 뜻을 두고 그의 행위를 살펴봤더니 청근(淸謹)하게 몸가짐을 하여 조금도 넘치는 잘못이 없고 과렴(科歛)도 아주 가볍게 하여 쓰기를 절약하고 축적하여 실로 거민들의 정상(呈狀)과 같았습니다. 전 감사 민기문(閔起文)이 나이가 늙고 성격이 유약하여 사행(私行)을 거절하지 못하여 잡객(雜客)들이 운집하여 소비가 헤아릴 수 없었습니다. 최세해가 용도의 부족함을 사적으로 근심하던 차에 민기문이 이를 듣고 깊이 미안하게 생각하여 감영(監營)에 있는 어물을 관청으로 옮겨 넣어준 것이지 실로 최세해가 자청(自請)한 것이 아닙니다. 대저 최세해의 문벌과 지위가 낮고 미약하여 사람들이 무시했고 성격도 소졸하고 정직하여 후하게 접대하지 않으니 과객(過客)들이 모두 미워한다는 것을 이미 듣고 알았습니다. 많은 입은 쇠도 녹인다고 도하(都下)까지 전해져서 언관(言官)들이 풍문을 듣게 된 것도 당연한 일입니다. 다만 민생의 휴척(休戚)은 수령에게 달려 있으니 제대로 사람을 얻으면 온 경내가 화락하고 사람을 얻지 못하면 많은 고을이 수심하고 괴로우니 관련된 바가 매우 중합니다. 도내 수령 중에 최세해 같은 자는 견줄 이가 드문데 죄 없이 파직을 당하니 실로 애매한 일입니다. 본주의 거민들이 뜰에 가득히 안타까운 심정을 호소하여 각각 심정을 다 말하고, 마을에서도 서로 슬퍼하여 기상이 참담합니다.
신이 눈으로 그 실상을 보았기 때문에 감히 아뢰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다만 염려되는 것은 근일에 언로(言路)가 몹시 좁아 대간(臺諫)이 한 마디만 잘못하면 많은 직언(直言)도 모두 소용이 없게 되고 있습니다. 이제 신의 아뢴 말이 성명(聖明)께서 대간을 경시하는 기풍을 조장할 수도 있으니 훗날의 폐단이 무궁할 것 같아 황공하여 대죄(待罪)하오니 신의 직책을 파면시켜 대간의 체모(體貌)를 무겁게 하소서.”
하였다. 계문(啓文)을 이조에 내리고 전교하기를 “대죄하지 말라고 감사(監司)에게 하유(下諭)토록 하라.” 하셨다.
○ 감사가 공론을 자세히 아뢴 것을 주상께서 조처하신 것이 지극하다.
【22일】정원으로 나아가 승전색(承傳色)을 청하여 아뢰었다. 대략의 내용은
“자전(慈殿)께서 오래도록 회복되지 않으시어 전하의 근심이 간절하고 지극하여 날마다 내약방(內藥房)에 납시어 저물도록 안부를 살피시니 이는 실로 지극하신 효심이라 신 등이 탄복을 금할 수 없습니다. 다만 전하의 몸이 비위가 본디 허약하시니 이렇게 근심스러운 때에 음식과 한온(寒溫)의 절도를 조금도 쉬어서는 안 됩니다. 만약 한번이라도 잘못되면 반드시 옥체를 크게 상하여 도리어 자전께 근심을 끼치실 것입니다. 엎드려 원하옵건대 나라를 맡은 중임(重任)을 깊이 생각하시어 더욱 삼가 보호하시어 위로는 자전의 마음을 위로하시고 아래로는 신민(臣民)의 바람에 부응하소서.”
하였다. 주상께서 답하기를,
“내 몸은 다행히 보중하여 편안하다. 다만 자전의 증세가 더하고 덜함이 무상하여 지금까지 그대로이니 이것이 안타깝다.”
하였다.
○ 이조에서 회계(回啓)하였는데, 대략의 내용은 “최세해의 정적(政績)은 감사가 직접 보았으니 반드시 그 사실을 알았을 것입니다. 간관이 논한 것은 아래에서 정하기 어려우니 청컨대 주상께서 결재하소서.” 하였다. 주상께서 명하여 최세해를 그대로 유임하게 하시니 상쾌하고 상쾌하다.
【24일】담양의 김성벽(金成璧)이 죽었다고 들었다. 그는 친구로서 본받을 만한 사람이었다.
【25일】저작 조헌(趙憲)이 찾아와서 인사하고 《어류(語類)》의 의심나고 어려운 곳을 질문하였다. 또 《동몽수지(童蒙須知)》와 주자(朱子)가 숙(塾 주자의 아들)에게 준 편지를 개간(開刊)할 일을 상의하였다. 《주자대전(朱子大全)》 21권부터 27권까지 교정하였다.
【29일】시약청(侍藥廳)에서 분발(分發)이 왔는데 자전께서 지난밤에 편히 주무셨다고 하였다.
【30일】문안을 하러 자전으로 가서 들으니 지난밤에 편히 주무시고 오늘 아침은 진지도 일곱 숟가락을 드셨으며 옥후(玉候)도 쉬워진다고 하니 모든 사람의 기쁨이 한이 없다. 문안 후에 나는 초거(軺車)를 타고 창덕궁 옥당으로 돌아와 동료들과 함께 김한훤 굉필(金寒暄宏弼), 정일두 여창(鄭一蠹汝昌), 이퇴계 황(李退溪滉), 안당(安瑭), 이명(李蓂)의 시호(諡號)를 논의하였다. 동료는 바로 신점(申點), 김우옹(金宇顒), 윤현(尹晛), 정윤복(丁胤福), 홍진(洪進), 김응남(金應男), 이경중(李敬中), 김수(金晬) 그리고 나까지 9명이었다. 전(前) 응교(應敎) 정탁(鄭琢)의 아들 정(精)이 매우 부지런하고 세밀하게 고찰하고 알아보았다. 이제 그 대강을 따라 문정(文正)으로 한훤당(寒暄堂)의 두 번째 시호로 하고 충신애인(忠信愛人)의 문(文)으로 안당(安瑭)의 첫 번째 시호로 추천하였다.
.............................
전(前) 응교(應敎) 정탁(鄭琢)의 아들 정(精)이 매우 부지런하고 세밀하게 고찰하고 알아보았다.->전(前) 응교(應敎) 정탁(鄭琢) 자(字) 자정(子精)이 고찰하기 위하여 방문하였는데, 매우 부지런하고 세밀하였다.
*前應敎丁琢子精考索訪問。頗勤且密。->前應敎鄭琢子精考索訪問。頗勤且密。
鄭琢 1526 1605 淸州 子精 藥圃, 柏谷 貞簡 西原府院君
.............................
[주-D001] 3엄고(三嚴鼓) :
임금이 정전(政殿)에 나올 때나 거동할 때에 여러 관원에게 준비를 하도록 치는 북이다.
[주-D002] 이습관(肄習官) :
조선 시대 특수 전문 지식을 연마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직으로 천문학, 의학, 한어(漢語) 등의 분야에 두었다. 이들을 습독관이라고 하였다. 특히 이들 중에서 특수 지식에 정통한 자들을 뽑아 학업을 계속 전공하게 하였는데 이들을 이습관이라고 하였다.
[주-D003] 두모(杜母) :
당(唐)나라의 두시(杜詩)가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이 두모라고 불렀다.
[주-D004] 중기(重記) :
인수인계할 때에 넘겨주는 문서를 말한다.
[주-D005] 자청한 것이 아닙니다 :
감사 민기문의 사인(私人)들이 해주에 많이 찾아가 손님에 대한 경비가 많이 들어 용도가 부족한 것을 최세해가 걱정하자 민기문이 감영에 있는 어물을 해주 관아로 보내주었다는 말이다.
[주-D006] 분발(分發) :
조보(朝報)가 나오기 전 급히 알리고자 하는 일이 있을 때 앞서 배포하는 정보지를 말한다.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ㆍ조선대학교 고전연구원 | 안동교 박명희 김재희 김세종 (공역) |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