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 주범은 나무의 꽃가루
참나무.자작나무 등이 주로 일으켜
기온 20~30도 일 때 농도 가장 짙어
황사와 결합하면 알레르기 더 유발
미세먼지처럼 꽃가루 지수 확인을
봄바람을타고 각종 꽃가루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꽃가루는 보통 4~5월이 가장 심하다.
그런데 온난화 옆로 한반도에 봄이 일찍 찾아오면서 꽃가루가 날리는 시기가 당겨지고 기간도 늘어나고 있다.
꽃가루는 미세 먼지정도로 입자가 잦기 때문에 많 날리지 않는 한 잘 보이지 않는다.
호흡기 환자에겐 청명한 봄날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19일 기상청에 따르면, 꽃가루는 하늘이 맑고 기온은 높으며 초속 2m 정도로 약한바람이 불 때 많이 발생한다.
미세먼지와 비슷하다.
맑은 날씨에 강한 핵볕이 내리쪼이며 지표를 달구면 아지랑이 피듯 꽃가루와 미세 먼지가 공중으로 떠오른다.
이런기온과 바람 조건이 봄의 계절적 특성과 맞아떨어지기 때문에 꽃가루가 심한 것이다.
꽃가루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범은 꽃보다 나무다.
진달래.개나리처럼 곤충이 꽃가루를 전달하는 '총매화'가 아니라, 참나무.오리나무.자작나무.삼나무처럼 번식을 위해
봄바람에 꽃가루를 날려 보내는 '풍매화'가 알레르기를 주로 일으킨다.
꽃가루 농도는 기온이 20~30도일 때 가장 짙다.
그런데 올해는 이상기온으로 3월부터 한낮기온이 20도 이상 올랐고, 4월에 들어서는 30도 안팎까지 치솟는 등
전국에서 늦봄~초여름 기온이 일찍부터 나타났다.
꽃가루도 일찍부터 날리기 좋은 조건이었던 셈이다.
'엘니뇨'가 발생해 올봄처럼 이상고온 현상이 있었던 작년에는 2월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143만6824명이었지만
3월에는 187만161명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아직 집계되지 않았지만 올해도 비슷할 가능성이 크다.
작년 우리나라는 전국에 기상 관측망이 설치된 1973년 이후 처음으로 3월 첫 주에 봄이 시작됐다.
기상학적으로 봄은 '일 평균 기온이 영상 5도 이상으로 올라간 후 다시 떨어지지 않는 첫날'을 시작일로 본다.
평년(2011~2020년) 봄 시작일은 3월 9일 이었지만, 작년엔 3월 2일이었다.
올해는 아직 봄 시작일이나오지 않았지만 갈수록 당겨지는 추세다.
앞으로는 꽃가루 날림이 더 일찍 시작할 수도 있다.
봄철 중국발 호아사, 미새먼지가 알레르기 민감도를 높인다는 분석도 있다.
호아사와 미세먼지에는 모래 알갱이뿐 아니라 호아산.질산 등 오염물질도 들어 있다.
이런 물질이 꽃가루와 만나 알레프기를 잘 일으키는 물질로 변한다는 것이다.
단국대병운 이비인후과 모지훈 교수는 '오염 물질과 꽃가루 성분이 결합하면 일반적 꽃가루보다 알레르기 반응을 훨씬 잘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다'며 '최근 급격한 기온 변화와 함께 염증을 일으키는 꽃가루 속 물질이 잔뜩 터진 영향도 있다'고 했다.
꽃가루가 잘 날리는 따뜻한 날은 우리나라가 고기압 영향권에 드는 떄라서 덩달아 미센 먼지 농도가 짙어지기 쉬운 날이기도
하다.
작년 중국의 대기오염도는 2013년 이후 10년 만에 최악을 기록했다.
2013년 1m2당 72ug(마이크로그램)에서 2022년 29ug으로 절반 이상 내려갔지만, 작년부터 이 수치가 다시 올라가고 있다.
우리나라로 불어오는 미세 먼지 양도 늘어날 것으로 에상된다.
결국 꽃가루와 미세 먼지를 함께 마시면서 알레르기를 겪는 사람도 늘고 있는 것이다.
기상청은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듯 봄철 외출할 땐 '꽃가루 농도 위험 지수'를 확인해야 한다'거 말한다.
기상청은 참나무(4~6월), 소나무(4~6월), 잡초류(8~10월) 등 세 종류로 나눠 '꽃가루 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이 지수는 '매우 높음' '높음''보통' '낮음' 등 4단계로 나누는데,
'높음' 이상인 날은 알레르기 환자 대부분에게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있다.
꽃가루 농도가 낮다고 예보된 날이라도 알레르기 유발 꽃가루를 날리는 국내 대표 수종인 참나무. 오리나무.자작나무. 삼나무 등은 전국에 분포하고, 수백 km 까지 퍼지기 떄문에 꽃가루 마시기를 완전히 피하기는 어렵다.
강원도나 충청도 참나무의 꽃가루가 서울까지 날림은 4~5월 절정을 이루다가 6월 중순쯤 잦아든다.
이번 주말 수도권과 충청권을 중심으로 참나무 꽃가루 위험 지수가 '높음'으로 예보됐다. 박상현 기자
'알레르기 환자엔 미세먼지보다 위험...항히스타민제 복용도 방법'
꽃가루 심한 날은 이렇게
오전에 건조한 날에 더 많이 날여
외출 땐 마스크.모자.선글라스를
기상청이 꽃가루 농도 위험지수가 '높음' 이상 이라고 예보하는 날은 대부분 알레르기 환자에게서 증상이 나타난다.
꽃가루 농도가 '낮음'인 날도 꽃가루에 민감한 환자에게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기상청이 발표하는 꽃가루 농도 위험지수는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꽃가루 알레르기는 코막힘, 기침, 가려움증 등 중심으로 나타날 뿐 아니라 심각한 경우 환자가 호흡곤란 증세까지 겪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알레르기 환자에겐 꽃가루가 미세 먼지보다 위험할 수 있다'고 말한다.
꽃가루 농도가 높음 날에는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실내에서는 창문을 닫고 생활하는 곳이 좋다.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것도 방법이다.
부득이하게 외출을 해야 한다면 마스크나 모자 , 선글라스 등으로 얼굴이나 피부, 눈 등을 가리는 것이 안전하다.
또 꽃가루가 달라붙기 쉬운 나트나 털옷 종류는 입지 않는 것이 좋다.
꽃가루는 습도가 높은 날보다 건조할 때 많이 날린다.
또 아침에는 밤새 가라앉았던 꽃가루가 바람을 타고 날리기 때문에 오전 외출을 가급적 삼가도록 한다.
외출 후에는 손과 얼굴, 눈 등을 물로 씻어야 한다.
또 잠자리에 들기 전 샤워를 해서 침구류에 꽃가루가 묻지 않도록 해야 한다.
얼굴에 직접 닿은 침구류는 최소한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온수로 세탁하는 것이 좋다.
비염 등이 있는 사람은 식염수나 옅은 소금물로 콧속을 깨끗이 씻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알레르기가 심하다면 집 안에 꽃나무나 화초 등을 기르지 않는 것이 좋다.
또 꽃가루가 많다고 예보된 날은 빨래를 밖에 널어 말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증상이 가라앉지 않는다면 약국에서 의사 처방을 받지 않고도 살 수 있는 항히스타민제를 2~3일 복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하지만 같은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하거나 알레르기 반응이 매년 반복된다면 내성이 생겨 효과가 없을 수 있다. 김윤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