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冬至) 밤이 가장 긴 절기
24절기의 스물두 번째 절기.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동지는 태양이 황경 27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며,양력 12월 22일 무렵에 든다.
동지에는 동지팥죽을 먹는다.
음력에서는 동지가 드는 달을 11월(동짓달)로 한다.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남회귀선, 곧 적도 이남 23.5°인
동지선(冬至線)에 이르는 때이다.
이때 태양은 가장 남쪽에 위치하는데,
대한민국,독일 등과 같은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며,
남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다.
추위는 대략 이 무렵부터 강력해지기 시작한다.
동지를 작은설로 부르며 크게 축하했다.
민간에서는 동지에,설날 떡국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처럼,동짓날 팥죽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풍습이 전해진다.
동지 때 쑤어 먹는 팥죽. 새알심을 넣어 쑨다.
옛날에는 동지를 큰 명절로 지냈으나 요즘은 제사를 모시지 않고 붉은팥죽을 쑤어 나누어 먹는다.
붉은팥죽은 옛날부터 액운을 막는 절기 음식으로서, 지방에 따라서는 초상 때나
이사를 하였을 때에 액운을 막기 위해 팥죽을 쑤어 집 안팎에 뿌리고,이웃끼리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
동지가 동짓달(음력 11월) 초승에 드는
애동지에는 어린이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하여 팥죽을 쑤어 먹지 않고 대신 팥 시루떡을 해 먹었다.
서당의 입학 날짜는 대개 동짓날이었다.
이는 동지 이후로 낮의 기운이 점점 커지므로 아이들이 학문을 깨우쳐 밝게 커 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서당의 입학식을 동지에 한 것이다.
< 올해는 팥시루떡대신 팥죽 먹는 ‘중동지’ >
설과 추석 등 한국의 5대 명절이 최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됐다. 여기에는 1년 가운데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동지(冬至)’도 포함됐다.
(22일)은 동지다.
이 날 팥죽을 먹는다고 알고 있다.
왜 팥죽을 먹을까?
동지는 24절기 가운데 22번째 절기로,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말 그대로 ‘겨울에 이르렀다’는 뜻이다. 조상들은 동지 이후부터 해가 다시 살아나 낮이 길어진 다고 생각해 이 날을 ‘작은 설’이라 부르기도 했다.
동지를 기점으로 점차 낮의 길이가 길어져 축제일 또는 1년의 시작일로 삼기도 했다.
동지는 반드시 음력 11월에 든다.
그래서 ‘동짓달’이라 불렀다.
양력으로는 12월 21~23일 무렵이다.
동지에 먹는 팥죽을 ‘동지팥죽’이라고 한다.
이날 팥죽을 먹는 풍습은 중국에서 유래됐다.
‘형초세시기’에는 “공공 씨의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 역질 귀신이 되었는데, 그가 생전에 팥을 두려워하여 팥죽을 쑤어 물리쳤다.”고 기록돼 있다.
팥죽에는 찹쌀로 동글동글하게 단자를 빚어 넣어 끓였다.
새알만한 크기로 하기 때문에 ‘새알심’으로 불린다.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1~10일)에 들면 ‘애동지’, 중순(11~20일)에 들면 ‘중동지’, 그믐(21일 이후) 무렵이면 ‘노동지’라고 한다.
올해는 음력 11월 9일로 중동지이다. 그래서 팥시루떡대신 팥죽을 해먹기도 한다.
(애동지에 팥죽을 쑤어 먹으면 삼신할머니가 아이들을 돌보지 못해 병에 잘 걸리고 나쁜 일이 생긴다는 속설 때문이다.)
우리 조상들은 팥의 붉은색이 나쁜 귀신을 몰아내고 전염병을 예방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팥죽을 끓여 사당에 올리며 고사를 지냈다.
이를 ‘동지 고사’라고 한다.
동짓날 궁중에서는 관상감에서 만든 책력 (달력)을 백관에게 나눠줬다.
동지를 한 해의 시작으로 봤기 때문이다.
우리 조상들은 새 버선을 신고 동짓날부터 길어지는 그림자를 밟으면 오래 살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무병장수의 뜻을 담아 며느리가 시어머니 등에게 버선을 선물했다. 이를‘동지 헌말’이라고 한다.
추위가 시작되는 동지에 웃어른과 어린이들에게 옷을 지어주 기도 했다.
동짓날에는 날씨로 새해의 농사를 점치기도 했다.
이날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그해 풍년이 들 징조라고 여겼다.
동지 때 찾아온 추위를 ‘동지 한파’라고 한다.
동지자료..편집한 글..
삼보에 귀의 하옵고,
삼동지절에 가정에 부처님의 자비가
항상 충만하시길 기원 드립니다.
예로부터 우리조상님들은 동지를 맞아 팥죽을 쑤어서 액운을 쫓고 길운을 맞이하는 관습이 있었습니다.
전국의 사찰에서 동지법회를 봉행하오니 불자님들 불연의님들께서 사시는 곳의 가까운 절에 두루 동참하시어 팥시루떡과 팥죽도 드시고,갑진년의 새해 맞이를 스님들 과 불자님들과 함께 동지법회기도 동참하세요
가까운 절이나 포교원에 동참 하시어 액운을 면하고 다생겁래 모든 업장이 소멸되어 가정에 행복이 가득하시길 두손모아 기원합니다.
정진의 시작 동짓날 새벽 ...
새하얀 눈이 내립니다 ...
온누리에 새하얀 눈이 소담스럽게 내리네요.
동짓날 눈이 많이 오면 병치레를 안하고 농사가 풍년이 들 길조라하였답니다.
동짓날 새벽부터 풍년을 기약하는..
많은 눈이 내립니다
갑진년 한해를 보내시고 다시 맞이하시는 새해는 ...
온 세상이 모두 부처님의 자비 광명이 충만한 한해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온나라에 내리는 순백의 눈꽃처럼 불연의 인연님들과 이웃들 가족님들 모두 건강하시고 순수하고 착한 마음안에 언제나 배풀어 주위를 빛나게하는 사랑의 웃음으로 활짝 피어나는 내가족들과 내이웃이 되게 하소서..._()()_
ㅡㅡㅡㅡ자인스님글 모셔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