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9.06.02
현재까지 업데이트 된 사회보험EDI에서
국민연금 사업장 가입자 내용변경, 정정신고서 작성방법 입니다.
*신고서에 신고가능한 부호가 총8개 입니다. 각각의 작성방법을 위해 계속 대상자등록하면서
각 부호의 작성방법을 적겠습니다.
1. 사회보험EDI 첫화면 왼쪽 메뉴 두번째에 있는 "신고서작성" (빨간네모칸)에 마우스를 대면
옆에 부메뉴가 뜹니다. 부메뉴중 "연금신고서"를 클릭해주세요 (보라색네모칸)
2. 연금 신고서 목록이 쭈욱 뜹니다. 그 중에서 5. 사업장 가입자 내용변경,정정신고서 를 클릭합니다.
3. 신고서 화면이 뜨면 일단 변경신고를 해야하는 직원의 성명,주민번호를 입력합니다 (빨간네모칸)
보라색네보칸 부분의 변경부호를 클릭하면 부호가 총 8개가 나옵니다. 이제부터 각각의 부호에 대해
변경신고하는 법을 적겠습니다.
일단 첫번째로 변경부호 중 "기준소득월액"을 선택하겠습니다.
(기준소득월액)
4. 변경부호에서 기준소득월액을 선택하면 이런 메시지가 나옵니다.
※국민연금 자격취득신고를 할때 입력하는 소득월액을 잘못입력하여 수정해야 하는 경우에만 변경신청 가능!!
하므로 이외의 경우라면 변경신청 하시면 안됩니다. 취득신고할때 소득월액을 잘못 입력하여 수정하는 경우만
확인 버튼을 누르고 계속 작성하세요.
건강보험의 경우엔 취득신고 할때 잘못입력된 보수월액/ 근무도중 변경된 보수월액/ 건설일용직 보수월액 변경
세가지가 다 가능했지만 국민연금의 경우 앞서 올렸던 글에 있던 건설일용직 기준소득월액 변경신청서와
취득신고할때 잘못입력된 소득월액만 변경가능합니다. 기존에 계속 근무를 했던 직원이고 그 직원의 월급이
변경된 경우라면 따로 국민연금 소득월액 변경신청을 하지 않고 1년에 한번 시행하는 연말정산때 변경가능
합니다.
5. 빨간네모칸 부분의 변동일자(취득일)은 직원의 취득일자(입사날짜)를 입력합니다.
보라색네모칸 부분의 변경할 소득월액은 변경해야할 소득월액을 정확히 입력합니다.
(세금 제하기전의 총 급여에서 비과세만 제외 한 금액을 입력합니다.. 비과세는 식대,차량유지비등)
※검정 네모칸 부분에 있는 말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이건 신고한지 3개월이 지난 경우엔 이 신고서를
통해 변경신고가 안되므로 공단에 직접 문의하여 서면으로 변경신고 하셔야 합니다 (국번없이 1355)
예를 들어 기준소득월액을 변경하고자 하는데 취득신고일자가 2월 18일 이라면 현재 3개월이 지났으므로
서면으로 변경신청 하셔야 하며 취득신고일자가 4월1일, 3월 30일 등 아직 3개월이 안되었다면
변경신고가 가능합니다.
6. 빨간네모칸의 변경할 소득월액 에 저는 임의대로 2,115,850원을 입력했습니다.
빨간네모칸 안 오른쪽을 보면 회색글자로 숫자가 떠있는데 이건 그냥 자동산출 되는것이므로 뜨든 안뜨든
무시하고 검정 네모칸 부분의 "대상자등록"을 클릭해주세요.
7. 제가 변동일자(취득일) 을 20090401 로 입력했더니 대상자등록 버튼 클릭시 이런 메시지가 나옵니다.
아까 설명 드렸던것처럼 취득신고할때 잘못 입력된 보수변경만 가능하며 근무중 변경된 보수는 변경이
안된다는 뜻입니다. 걍 확인 누르세요.
8. 이어거 이런 메시지가 나옵니다. 그냥 별뜻없이 변경할 내용이 정확하냐고 다시 한번 물어보는 창입니다.
이건 대상자등록 할때마다 나오는 창이므로 앞으로도 나오면 확인 클릭하세용.
9. 대상자등록 하면 빨간네모칸 처럼 입력되어있습니다.
※이 상태로 더이상 변경할 것이 없다면 바로 저장/송신 합니다. (맨위에있음)
이어서 다른 변경부호로도 신고해보겠습니다.
대상자등록 된 상태(빨간네모칸) 에서 다시 검정네모칸 부분처럼 성명,주민번호를 입력합니다.
(변경할 직원의 인적사항을 적어주세요 .. 저는 주민번호 한자리만 살짝 바꿔서 입력하겠습니다)
보라색네모칸의 변경부호를 선택하여 이번엔 "취득일" 변경방법을 보겠습니다.
(취득일)
10. 성명,주민번호,변경부호(취득일) 입력이 다 된 상태입니다.
빨간네모칸의 변동전(취득)일자는 잘못신고된 취득일자(변경하기전) 를 입력 하시고,
보라색네모칸의 정정할 취득일은 말그대로 변경할 취득일자를 입력해주세요.
옆에 납부희망여부도 함께 선택해주세요.
(납부희망여부- 취득월에 대한 보험료를 납부 할건지 안할건지 선택 가능)
└자세한 건 자격취득신고방법 글을 참조해주세요.
모두 입력(선택) 후 검정네모칸 부분의 대상자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 상태로 더이상 변경할 것이 없다면 바로 저장/송신 합니다. (맨위에있음)
(취득사유)
11. 지금까지 저는 기준소득월액,취득일 변경을 했으므로 빨간네모칸 부분에 대상자 두명 등록된거 보이시져?
이 상태에서 이번엔 변경부호를 "취득사유"로 선택하여 신고하겠습니다.
검정네모칸에 변경할 직원의 성명,주민번호 입력 후 보라색 네모칸의 변경부호는 "취득사유"를 선택하세요.
12. 검정네모칸 부분의 변동(취득)일자는 취득일자(입사한날짜)를 입력합니다.
화면 맨오른쪽 끝에 빨간네모칸 부분의 화살표를 클릭하면 보라색네모칸 처럼 변경할 취득사유 코드가 뜹니다.
일단 저는 여기서 바꿀 사유로 선택 해주세요. (사유- 자세한것은 자격취득신고방법 글을 참조하세요)
그리고 초록네모칸(검정네모칸 바로 아래) 에 있는 "대상자등록"을 클릭합니다.
※이 상태로 더이상 변경할 것이 없다면 바로 저장/송신 합니다. (맨위에있음)
(상실일)
13. 빨간네모칸 부분은 제가 대상등록을 할때마다 계속 한칸씩 늘어갑니다.
자! 검정네모칸 부분에 변경할 직원에 대한 성명,주민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보라색 네모칸의 변경부호를
이번엔 "상실일" 로 선택하여 상실일 변경신고를 해보겠습니다.
14. 빨간네모칸 부분의 변동전(상실)일자는 잘못신고된 상실일자(변경하기전의 날짜)를 입력합니다.
옆의 변경할 상실일은 말 그대로 변경할 날짜를 입력해주세요.
그리고 아래 검정네모칸 부분의 "대상자등록"을 클릭합니다.
※이 상태로 더이상 변경할 것이 없다면 바로 저장/송신 합니다. (맨위에있음)
(상실사유)
15. 빨간네모칸 부분은 제가 지금까지 4번 대상자등록 했으므로 4개가 등록되어있네요?ㅋ
검정네모칸 부분에 변경할 직원의 성명,주민번호를 입력합니다. 보라색네모칸의 변경부호를 클릭합니다.
이번엔 "상실사유"를 변경신고 해보겠습니다.
16. 검정네모칸 부분의 변동(상실)일자 는 직원의 상실일자(퇴사 다음날) 를 입력 합니다.
화면 맨 오른쪽 끝의 빨간네모칸 부분에 있는 화살표를 클릭하면 보라색네모칸처럼 변경할상실사유가 뜹니다.
(사유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자격상실신고작성방법 글을 참조하세요)
변경할 상실사유를 선택 후 초록색네모칸(검정네모칸 바로 아래)에 있는 "대상자등록"버튼을 클릭합니다.
※이 상태로 더이상 변경할 것이 없다면 바로 저장/송신 합니다. (맨위에있음)
(취득취소)
17. 검정색 네모칸 부분에 변경할 직원의 성명,주민번호를 입력 합니다.
발간네모칸 부분의 변경부호에서는 이번엔 "취득취소"를 선택 합니다.
여기서 취득취소 신고가 가능한 경우는 회사에 입사를 했다가 퇴사한후
재입사 한 경우 그 재입사에 대한 취득취소만 가능합니다.
즉 이회사에는 처음으로 취득신고를 했는데 그 취득신고를
취소할거라면 해당공단(지사)에 문의하여 취소요청을 하셔야 합니다.
18. 변경부호 "취득취소"를 클릭하면 바로 이 메시지가 나옵니다.
이 메시지는 위에 설명한것 처럼 회사에 처음으로 입사하여 취득신고를 했는데 그 취득신고를 취소할 경우라면
관할지사에 문의 및 요청 해야 한다는 겁니다. 위의 설명처럼 재입사한 경우 재입사에 대한 취득취소를
하는 거라면 확인 버튼을 클릭후 계속 작성해주세요.
(이해가 안되신다면 댓글 OR 쪽지로 문의해주세요^^)
19. 빨간네모칸 부분의 변동(취득)일자는 취득일자 (입사한날짜)를 입력하고 변경후 내용은 비활성화된
회색글씨로 9999-12-31이라고 자동으로 나오는데 이건 그냥 무시하세요.
변동(취득)일자 입력 후 검정네모칸 부분의 대상자등록 을 클릭합니다.
※이 상태로 더이상 변경할 것이 없다면 바로 저장/송신 합니다. (맨위에있음)
(상실취소)
20. 빨간네모칸엔 제가 계속 대상자등록했던 직원들이 쭉 쌓여(?) 있습니다.
검정네모칸엔 변경할 직원의 성명,주민번호 입력을 하고 보라색네모칸의 변경부호는 이번엔
"상실취소"를 선택합니다. 핑크색네모칸(검정네모칸 바로 아래)의 변동(상실)일자는
상실일자(퇴사다음날)를 입력하고 변경후 내용은 비활성화된 회색글씨로 9999-12-31 이라고
자동으로 나옵니다. 이건 그냥 무시하세요 ㅋ
변동(상실)일자까지 다 입력및 선택이 되었다면 갈색네모칸 부분의 "대상자등록"을 클릭하세요.
※이 상태로 더이상 변경할 것이 없다면 바로 저장/송신 합니다. (맨위에있음)
(취득(재개)월 납부희망여부)
21. 빨간네모칸엔 제가 계속 대상자등록 했던 직원들이 있네요.
검정 네모칸 부분에 변경할 직원의 성명,주민번호 입력 후 변경부호는 "취득(재개)월 납부희망여부"를 선택
합니다. 변동일자(취득일)은 말그대로 취득일자(입사날짜)를 입력하고 변경후 내용에 희망,미희망 둘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취득월 납부희망여부는 전에 올렸던 자격취득신고서를 참조해주세요.
※ 참고로, 매달 1일자로 변경하는 경우(ex. 5월1일 / 6월1일 등등으로 변경하는 경우)라면
납부희망여부는 무조건 "희망"이 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원인은 연금공단 (국번없이 1355)에 문의하세요.
입력이 다되었다면 보라색 네모칸 부분의 "대상자등록"을 클릭합니다.
22. 자 그럼 제가 지금까지 기준소득월액, 취득일,취득사유,상실일,상실사유,취득취소,상실취소,취득(재개)월납부희망여부... 총 8개 부호에 대해 변경신청을 하고 다 대상자등록을 했더니 빨간색 네모칸 처럼
8명의 가상의직원(ㅋㅋ) 이 8개의 부호로 작성되어 등록되어있습니다.
자 일단 각 부호에 대해 다 변경완료 되었으니 마지막으로 보라색 네모칸부분에 있는 저장/송신을
클릭하여 저장 한 후 송신까지 완료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됩니다^^
이 신고서도 신고한 후엔 다른신고서와 마찬가지로 처리결과가 들어옵니다.
항상 처리결과는 반드시 확인해주세요. 정상처리인지 반송처리 인지...
저도 본사와 건설현장 관리를 하면서 이 신고서 또한 자주 이용을 하게 되는데요.
보통 기준소득월액,취득(상실)일 변경때문에 많이 이용합니다 ㅋㅋㅋ
저 뿐만 아니라 이용하시는 다른 경리 or 총무 분들께 많은 도움 되셨음 좋겠네요^^
저는 입사한지 얼마 안되었을때 사회보험edi 에서 이런것들이 변경되는줄 모르고 있었고
그래서.. 다 공단에 문의해서 일일이 변경했답니다 팩스로 ㅜㅜ
진짜 힘들었어요ㅜㅜ 건설일용직분들 몇십명에 대해서 변경한다고 했더니
재직증명서 몇십명에 대한거 다 발급하고 제꺼 위임장도 발급하고ㅜ
(재직증명서,위임장발급도 제 업무거든여ㅜ)
변경신청서 몇십장 다 작성하고 사용인감 다 찍고 공문보내고 ㅜㅜ 재직증명서랑 위임장, 변경신청서
다 합쳐서 몇백장 되는거 다 팩스로 보내고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나중에 사회보험 edi로 간단히 된다는거 알고 진짜 열받았었어요...ㅋㅋㅋ
아무튼 저같은 분들이 없길 바라며...ㅋㅋ
★오늘은 글을 4개나 올렸네요!!!!!!!!!!!
(집컴터는 고장났고... 복구하는데 시일이 좀 걸린다네요; 고쳐도 제가 시간될때만 가능하고..
다음 글을 올리는 건 오늘처럼 한번에 몰아서만 가능하겠네요ㅜ 이번주 주말쯤 가능할듯...
회사에선 일이 바빠 댓글이나 쪽지 확인도 못했네요ㅜㅡ 이젠 예전처럼 다시 매일매일 확인할테니
댓글이나 쪽지로 질문 해주세요^^)
*무단도용금지*
1%의 가능성에도 포기하지 말자
인생은 도전의 연속이다. 현실에 안주하는 순간 도태가 시작된다. 인간은 안주하라고 만든 것이 아니고 계속적으로 발전하라고 만든 것이다. 몸과 마음이 멈춘 상태가 바로 죽음의 상태다. 결국 인간은 움직이면서 전진할 때 삶의 발전이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는 것이다.
박영석(42)씨는 세계 최초로 지구의 3극점 도달과 히말라야 14좌 및 7대륙 최고봉 완등을 모두 성취하는 `산악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인간의 도전과 극기의 정신을 일깨운 위대한 승리다.
영하 50도를 오르내리는 강추위와 눈보라 속에서 54일 동안 100㎏의 썰매를 짊어지고 설원을 한 걸음 한 걸음 가로질러, 북극점에 도달한 일은 한민족의 자부심과 긍지를 심어준 국민적 쾌거이다.
누적된 피로로 인한 골절과 설맹증세, 동상도 그들의 전진을 막지 못했다.
엄청난 역경에 포기하고 싶을 때는 “1%의 가능성만 있으면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신조를 되새기며 극한상황을 극복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