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기타자료실 311번]에 올려 놓은 [1cm-GRID (100px).pat] 화일을 적당한 폴더에 저장합니다.
이 화일은 포토샵에서 사용될 제가 만든 패턴 화일로서, 포토샵에서는 patterns란 폴더에 저장 됩니다.
이왕 이면 이 patterns 폴더에 넣어두면 좋겠죠.

=======================================================================================
예) 국토지리원 1:25000 종이 지도에 1x1 cm 격자를 그어보기.
예제지도 - [기타자료실 167번 / 아다곤님] 하동(도엽번호:357163)
포토샵을 실행 합니다 (포토샵 9.0 한글 기준)

표시된 눈금자 위에 마우스 우클릭 한뒤 단위를 cm로 설정합니다.

지도를 불러 들인뒤 [이미지 크기]를 클릭....

빨간칸 처럼 반드시 100 픽셀/cm로 맞춥니다.
* (제가 패턴을 만들때 100 픽셀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지도의 크기가 파란칸에서 보이듯이 대략 72 x 101 cm 입니다.
나중에 프린터 할때를 생각하여 알맞은 크기로 마음대로 조정 하시면 됩니다.
* (원본대로 할려면 그냥 두시면 되고, 아니면 원하는 크기로 폭 길이만 고치면 높이 길이는 비례하여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 예로 A4 사이즈가 21 x 29 cm 정도 인가 그럴겁니다. 가로폭으로 A4 두장 정도 크기로 할려면 40 cm 전후로 정하면 될것이고, A4 한장으로 할려면 20 cm 전후로 설정하면 되겠죠.
하지만 반드시 100픽셀/센티는 변경 하지 않으셔야 됩니다. (참고로 모든 단위들이 인치로 되어 있을텐데 윗 그림과 같이 모두 센티 단위로 변경하십시오.)

100 픽셀/센키로 변경하면 원래 열렸던 지도 크기보다 많이 커져 화면에 꽉 찰텐데 축소하여 보기좋게 작게 보실려면 키보드에서 Z 키를 누르면 됩니다 (그런뒤 alt 키를 누르면 축소와 확대가 번갈이 됩니다)
표시한 1번 [사각선택도구]를 클릭한뒤, 2번 처럼 격자가 그어질 원하는 크기만큼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영역을 설정 합니다.
(지도 전체를 다 그을려면 이 과정은 생략하셔도 됩니다)
(1번 사각선택도구가 보이지 않으면, 그 위치에 있는 다른 아이콘을 마우스로 클릭한채 있으면 사각도구가 나타납니다)

1번 [페인트통]을 클릭한뒤, 2번을 클릭하여 [패턴]으로 변경 , 3번을 클릭한뒤 (방법은 아래참고) 처음 폴더에 저장하였던 [1cm-GRID (100px).pat] 패턴을 불러 들인후 더블 클릭하면 윗 그림 3번 처럼 바둑판 모양이 보이는 패턴으로 활성화 됩니다.
나머지도 파란칸 처럼 수치를 변경 설정 합니다.
(이때 마우스의 커서 모양이 화살표에서 페인트 통 모양으로 바뀌어져 있을 겁니다)
*** 3번 패턴 변경법 ***

전 그림의 3번을 클릭한뒤, 나타나는 창에서 윗 그림처럼 A를 클릭한후 [패턴 대체(추천함)]나 [불러오기] 하여 미리 폴더에 저장했던 [1cm-GRID (100px).pat]를 불러오면 됩니다.

페인트통으로 변해있는 마우스커서를 위에서 선택한 영역(반짝거리는 사각 점선)위에 놓고 한번 클릭을 한뒤 잠깐 기다리면 선택한 영역 전체가 격자로 채워집니다.
(격자가 그어진뒤 반짝거리는 선택영역 사각형을 없앨려면 [ctrl + D] 키를 함께 누르시면 됩니다)
===== 끝 ====
[결과물]

표시한 파란칸에서 볼 수 있듯이 cm 눈금자와 격자가 1 cm 크기로 꼭 맞게 되었습니다.
(지도 보기 축소/확대는 키보드 [Z]키를 누른뒤 상단처럼 + 나 - 를 선택해도 되고 alt 키를 이용해도 됩니다.)
이제 완성된 지도를 프린터 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지도 크기에 관계 없이 항상 일정한 1x1 cm 크기의 격자를 그을 수가 있고, 또 필요에 따라 원하는 패턴을 작성하면 다른 어떤 크기의 격자도 만들어 그을 수가 있습니다.
첫댓글 고수님께서 어린백성들께 뭔가를 자꾸 나누어 주시는 듯한 고수의 생각이 보이는것 같읍니다, 어디론가 같이갈려면 교육시키고 방향을 설정해 주는 것이 우선인 것을 보여주시는 듯 ㄱ도 하구요 부끄럽지만 본 내용이 등록된김에 평소관련 질눈 드리보겠읍니다 격자지도를 만드는 목적이 무엇이지요? 관련글들에서 제가 얻은 해답은 현재의 위치를 정확,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라고 결론을 얻었는데, 궁금한 것은 PDA나 GPS의 지도에서 나의위치가 나오고 PDA나 GPS에 로딩시킨 동일 지도를 프린트하면 꼭 격자를 긋지 않더라도 불편이 없을 것 같은데요... 실제로 그렇게 해서 현재 나의 위치정확히 알고 그지도를 가지고 독도를 해보
해보니 아주 편리, 정확하메 감탄사!!!!, 하교 부탁드립니다
사용자 중에서는 지도가 나타나지 않는 수신기를 가지신 분들도 많습니다. 그런 경우 종이지도를 병행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종이 지도는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 도/분/초 단위를 사용하므로 편리 하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사용자가 본인이 편리 하게 임의로 만든 기준을 원점 삼아 줄을 긋고 사용하게 되는 경우을 User grid (사용자 격자)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 저번에 개인적으로 질문하신 [원점의 개념]은 제가 따로 여가가 될때 활용팁을 만들어 한번 더 설명 드리도록 해보겠습니다 / 일반적인 당일 근거리 산행등에서는 PDA와 지도를 사용하는 것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악천후, 혹한기, 장기산행등 에서는 PDA 사용이
생각과 달리 사용이 불가 합니다. (에전에 충분한 보조배터리와 지퍼락등 방수처리를 했음에도 폭우속의 당일 산행에서 조차 사용이 힘든것을 절감 하였습니다.) 한 겨울에는 액정조차 얼어서 신주단지 모시듯 손은 얼어도 PDA는 데워 가면서 사용할 형편이 되기도 합니다. / 지도가 탑재된 수신기를 사용 하더라도 종이지도에 사용자 격자를 긋은 지도를 준비하고 수신기를 그에 상응하게 했을 경우 사용이 좀더 편리해 집니다. 에를 들어 도/분/초로 보고 있는것 보다는 몇 미터 전.후방으로 머릿속에 보는 즉시 인식 될 수록 실지 산행에서는 활용도가 좋아집니다. 이렇게 사용할 경우 격자를 긋는것이 필요한 경우가 되겠습니다.
수신기를 사용하는데 정해진 방법은 없습니다. 아무리 좋은 방법이라도 익히기가 어렵다면 그림의 떡일 것이고 아무리 체계가 없는 사용법이더라도 본인에게 잘 맞는다면 그것으로 충분 합니다. 다만 이런 저런 활용법이 많아 질 수록 선택과 활용의 폭이 넓어 질 수도 있고 어쩌면 역작용에 의해 더욱더 혼란해 질 수도 있을 겁니다. / 얼마전 올린 글에서도 언급 하였지만 GPS수신기는 일반 전자제품과는 좀 다릅니다. 보기에는 금방 익혀질듯한 막대 휴대폰 같지만 내용의 깊이는 아주 초보적인 것에서 아주 고차원의 학문적 지식이 함용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 사용에는 단순기능의 수신기가 훨씬 더 도움이 됩니다.
셈을 배우기 시작한 단계에서 공학용 게산기 보다는 주판이나 탁상용 일반 계산기가 훨씬더 잘 이용 되어 질 수 있다고 표현해야 할까요. 처음 시작 하시는 경우는 지도 이용이나 제작의 기술보다 GPS 사용 설명서를 몇번 더 숙지 하시고 GPS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용어정리및 가능하시다면 좌표와 측지계에 대한 지식이 활용에 있어서는 보다 더 훌륭한 보약이 될것 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물론 처음 수신기를 손에 잡았을때 다들 상세한 지도에 쉽게 사용할 수 있을거란 기대였음을 잘 알고 있습니다
네~, 궁금증이 싹 가셨읍니다, 이제 시작하는지라 궁금증이 많읍니다, 하나하나 익힘에 상세한 도움 주셔서 한번더 감사드립니다.이번산행에서 맵매칭이 제대로 되지않아 허탈 하였는데 이럴때 대비하여 그리드 지도가 필요할 수도 있겠군요,다음 원점 관련 강의 소중히 배우겠읍니다..
~~좋은 글 잘읽고 배우고 갑니다....~ 지도 원판스캔은 어디서~ 혹 지도 스캔한 자료가 있으시면 공유 할수 있는지요~~
저도 이곳 지도 자료를 사용해서 글을 작성 하였습니다 / 제 생각에는 지도 필요하신분 100명 정도가 개인당 새로 나온 음영지형도 1:25000 (3,600원) 8장씩만 구입하여 일괄 스캔한 뒤 맵매칭 까지 마치고 함께 사용 한다면 전국 어디라도 지도 걱정은 하지 않을것 같습니다. 저작권 문제가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으나, 등산 정도의 개인사용에, 외부 유출만 시키지 않는다면 대역죄는 아닐듯 한데....
항상 고마운 마음 뿐입니다. 대신 열심히 배워 사용하겠습니다.
지도 공동 구입에 대해 관심이 많읍니다 ,먼저 공동구입 건 추진 방법에 대해 생각해보았는데, 먼저.주관하시는 분이 있으셔야 할 것 같고 주관자는 다음항목과 순서로 추진 하면 어떨까 합니다 또한 대량구입의 구매력 파워를 십분 활용하여 맵매칭을 위한 맵매칭 좌표를 별도로 지도제작사에 요청하면 가능도 할 듯 합니다 1. 대상산 지도 list 만들기 및 맵매칭 지도 활용 프로그램(Ozi, 마젤란 GPS...) 2공동구매 대상자 모집(전제조건: 임의 배포 금지 ) 3.인원비례 가격 결정 4.map matching 방법 ( 구매자 별 실시 또는 유능 희망 人 실시) 5 map matching 실시, 배포(특정 사이트 이용 로그인...
스캔, 맵매칭등도 외주용역 추진 하는 방법도 좋을 것 같읍니다(고생대비 일정금액 부담이 더 경제적이란 생각 하여....) 좀더 열의가 있고 공동 구매라던지 유사건을 추진 해보신 분이 주관 하시면 다다익선 좋~겠읍니다.
운수님 좋은생각입니다... 한번 모집 해보지요...
좋은생각에 저두 1표 던집니다~
지도공동구매 관심 있습니다. 추진하신다면 동참하고 싶습니다.
저두요. 작년에 경기도 양평을 중심으로 가평, 여주, 홍천 등 임도 정보 얻는다고 25천 지도 대략 20장 정도 샀었는데..
저두요.100명이 안되고 인원수가 좀 작아 부담이 늘어도 동참하고 싶습니다.
동참하고싶어요...전자지도의절실함이느껴집니다...
지도 공동구매, 매우 좋은 의견이라고 생각됩니다. 적극 참여하고 싶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