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계묘년(癸卯年)은 육십간지의 40번째로 ‘흑토끼의 해’라고 한다. 계묘년의 계는(癸)는 헤아리고 분명하다는 헤아릴 규(揆)에서 파생한 말로 물(水)의 기운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계는 물의 기운이 있으며 어둠에서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키려는 성질이 있고, 또한 흑색은 예로부터 선조들이 인간의 지혜를 관장한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계묘년 흑토끼의 해는 지혜롭고 풍요로운 해라고 볼 수 있다.
토끼와 관련된 설화는 불교설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어느날, 여우와 원숭이와 토끼가 불심을 터득한 것을 자랑하러 제석천을 찾아갔다. 이들을 시험하기 위해 제석천이 시장기가 돈다고 하자, 여우는 즉시 잉어를 물어오고 원숭이는 도토리알을 들고 왔으나 토끼만 빈손으로 왔다.
그런데 토끼는 제석천 앞에서 모닥불을 피우더니 불 속에 뛰어들며 내 고기가 익거든 잡수시라 하였다. 제석천이 토끼의 진심을 가상히 여겨 중생들이 그 유해나마 길이 우러러 보도록 토끼를 달에 옮겨놓았다. 이렇게 하여 토끼가 달에서 살게 되었다고 한다. 헌신과 희생의 토끼를 상징하는 설화다.
여러 이야기에서 등장하는 토끼는 우리에게 친숙한 동물이다. ‘산토끼’, ‘옹달샘’이란 동요에도 주요 캐릭터로 등장하며, 윤동주의 시 ‘간’에도 토끼가 등장한다. 토끼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야기가 ‘구토설화’인데, 별주부전의 근원설화가 된 이 애기엔 지혜로써 위기를 극복한 영리한 토끼가 등장한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는 토끼를 지혜롭고 영리한 동물로 묘사하고 있다.
흑토끼 해에 태어난 사람은 대체로 착한 성품을 타고나 감수성과 유머가 풍부해 예능쪽으로 재능이 많거나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고 평가되고 있다. 물론 개개인의 차이는 있겠지만 낙천적인 사람이 많고 다툼을 싫어하는 온화하고 상냥한 성격이라 늘 주변에 사람이 많다고 한다.
2023년에는 흑토끼 해로 장점이 많은 토끼가 담고 있는 풍요와 번창 그리고 한수 앞을 내다보는 지혜로움으로 코로나19로 힘들었던 시간들이 지나가고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등 금융문제도 토끼의 지혜로움으로 극복하고 어려운 국제정세에 따른 경기침체도 토끼의 풍요로움으로 회복되기를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