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잠재성장률이 3년 전보다 0.4% 포인트 하락한 2%로 2년 연속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년 전보다 0.4% 포인트 하락한 2%로 2년 연속 유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다행히 2.1%를 기록한 미국을 제외한 G7 국가들보다 여전히 높습니다.
그러나, 저출산과 고령화로 2040년에는 0%대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막기위해 인재의 이민확대, 여성인력 지원, 부문간 혁신잠재력이 강한 산업 육성 등이 과제입니다.
Korea's potential economic growth rate falls to 2%
한국 잠재경제성장율 2%로 하락
By Lee Yeon-woo 이연우 기자
Posted : 2024-10-20 16:09 Updated : 2024-10-20 16:11
Korea Times
Demographic shifts could push expansion rate to 0% range: experts
전문가: 인구 통계학적 변화로 인해 성장율이 0% 범위로 하락 가능성
Korea's potential growth rate is projected to remain at 2 percent for two consecutive years, down 0.4 percentage point compared to three years ago, according to data released Sunday.
일요일에 발표된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의 잠재 성장률은 3년 전에 비해 0.4% 포인트 하락한 2%로 2년 연속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According to data submitted by the finance ministry to the National Assembly, the OECD forecasts Korea's potential growth rate to remain at 2 percent for 2024. This figure was 2.4 percent in both 2020 and 2021, decreased to 2.3 percent in 2022, and then fell to 2 percent last year, where it continues to stand this year.
기재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OECD는 2024년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2%에 머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수치는 2020년과 2021년 모두 2.4%를 기록했고 2022년 2.3%로 감소했다가 지난해 2%로 하락해 올해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The potential growth rate refers to the pace of increase in gross domestic product (GDP) — the highest level of output a country can achieve by fully utilizing its labor, capital, and resources without triggering inflation. It is generally observed that countries with higher income levels tend to experience slower growth.
잠재성장률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고 노동, 자본,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여 달성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생산량인 국내총생산(GDP)의 증가 속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성장이 둔화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Despite the downward trend, Korea's growth rate remains higher than that of any G7 country except the U.S., which stands at 2.1 percent. However, other major economies are experiencing upward trajectories, indicating that Korea's growth could decline significantly in the near future without decisive policy interventions.
이러한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성장률은 2.1%를 기록한 미국을 제외한 다른 주요 7개국(G7)보다 여전히 높다. 그러나 다른 주요 경제국들도 상승궤도를 경험하고 있어 결정적인 정책 개입 없이는 가까운 시일 내에 한국의 성장률이 크게 하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For example, the U.S. overtook Korea for two consecutive years starting in 2023, driven by influx of foreign talent and advancements in IT industry. Its potential growth rate increased from 1.9 percent in 2020 and 2021 to 2 percent in 2022 and 2.1 percent last year. Other major advanced economies also reported increases.
예를들어, 미국은 외국 인재 유입과 IT 산업 발전에 힘입어 2023년부터 2년 연속 한국을 추월했습니다. 잠재 성장률은 2020년과 2021년 1.9%에서 2022년 2%, 지난해 2.1%로 증가했다. 다른 주요 선진국들도 증가세를 보였다.
The U.K.'s potential growth rate rose from 0.9 percent in 2020 to 1.2 percent last year, stabilizing at 1.1 percent this year. Similarly, Germany's rate increased from 0.7 percent in 2020 to 0.8 percent this year.
영국의 잠재성장률은 2020년 0.9%에서 지난해 1.2%로 상승하여 올해 1.1%로 안정화되었다. 마찬가지로 독일의 성장률도 2020년 0.7%에서 올해 0.8%로 증가했다.
Multiple forecasts suggest that Korea's potential growth rate could even fall into the 0 percent range by the 2040s.
여러 예측에 따르면 한국의 잠재 성장률은 2040년대까지 0%대까지 떨어질 수 있다.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KCCI) forecast the rate to drop to 1.2 percent by 2030 and fall further to 0.7 percent by 2040. The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NABO) expects both real GDP growth and potential growth to gradually decline, reaching 2 percent by 2028.
대한상공회의소(KCCI)는 2030년까지 1.2%로 하락하고 2040년에는 0.7%로 더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국회예산정책처(NABO)는 실질GDP 성장률과 잠재성장률이 점진적으로 하락하여 2028년까지 2%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This gradual decline reflects shrinking growth potential, primarily driven by a slowdown in labor and capital input expansion," the NABO wrote.
"이러한 점진적인 감소는 주로 노동력 및 자본 투입 확대 둔화에 따른 성장 잠재력 축소를 반영한다."라고 국회예산정책처(NABO)는 기술했다.
Experts identify the decline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as the primary factor constraining Korea's potential growth.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ged 15 to 64 is projected to plummet from 71.1 percent in 2022 to 45.8 percent by 2072.
전문가들은 생산가능인구 감소를 한국의 잠재 성장을 제약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15~64세 인구 비율은 2022년 71.1%에서 2072년 45.8%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A declining birthrate and an aging population not only reduce labor supply but also hinder the recruitment of young, skilled talent essential for global leading companies, posing a threat to the nation’s innovation capacity," Kim Cheon-koo, a research fellow at KCCI said.
김천구 대한상공회의소 연구위원은 "출산율 감소와 고령화는 노동공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글로벌 선도기업에 필수적인 젊고 숙련된 인재 채용을 저해하여 국가 혁신역량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Without actively competing to attract specialized talent for future growth drivers, it will be difficult for Korea to revive its slow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potential growth rate," Kim added, recommending policies to expand immigration of skilled talent, support female researchers, and promote industries with strong cross-sector innovation potential.
김 연구위원은 "미래 성장 동력을 위한 전문인재 유치경쟁이 활발하지 않다면 우리나라가 둔화된 총 요소 생산성과 잠재성장률을 되살리기 어려울 것이라며 숙련된 인재의 이민 확대, 여성연구자 지원, 부문 간 혁신잠재력이 강한 산업 육성정책을” 권고했다.
#Potentialgrowthrate잠재성장률 #GrossDomesticProduct(GDP)국내총생산 #Laborinput노동투입 #Capitalinput자본투입 #Working-agepopulation생산가능인구 #Decliningbirthrate저출산율 #Agingpopulation고령화인구 #Innovationcapacity혁신역량 #Skilledtalent숙련된인재 #Globalleadingcompanies글로벌선도기업